•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CHARSET=latin1 COLLATE=latin1_swedish_ci 설정은 기본적으로 latin1 문자셋스웨덴어 대소문자 구분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utf8 또는 utf8mb4 방식이 더 널리 사용되며, 많은 경우 더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의 장단점을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latin1 (latin1_swedish_ci) 방식의 장단점

    장점

    • 공간 절약: latin1은 한 문자를 1바이트로 저장하여, 주로 영어와 같은 라틴 알파벳 기반의 데이터를 다룰 때 공간 절약 효과가 있습니다.
    • 빠른 처리 속도: utf8 방식보다 데이터가 작게 저장되기 때문에, 특정한 경우 쿼리 성능이 다소 향상될 수 있습니다.

    단점

    • 다국어 지원 부족: latin1은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의 라틴 알파벳 기반 언어는 처리할 수 있지만,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와 같은 비라틴 문자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국어 웹사이트나 다양한 언어 데이터를 저장하기엔 적합하지 않습니다.

    2. utf8 또는 utf8mb4 방식의 장단점

    장점

    • 다국어 지원: utf8은 전 세계 대부분의 언어를 지원하므로 다국어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합니다.
    • 이모지 및 확장 문자 지원: utf8mb4utf8보다 확장된 4바이트 문자를 지원하며, 이모지와 특수 문자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

    • 공간 사용량 증가: utf8은 한 문자를 최대 3바이트, utf8mb4는 최대 4바이트로 저장하기 때문에 공간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처리 성능: 데이터 크기 증가로 인해 latin1보다 약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일반적으로 다국어 지원유연성이 필요하다면 utf8 또는 utf8mb4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일 언어(특히 영어 등 라틴 문자)를 다루는 경우라면 latin1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다국어 지원 필요성과 성능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세요.

    latin1_swedish_ci
  •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아마존 소유자 변경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아마존 소유자 변경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직접 기록 남기면서 수정해봅니

    아마존 Route53 도메인 서비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개인적으로 제 도메인 위주로 관리를 해 왔었습니다.

    최근들어 서버호스팅과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을 도와주는 서버 유지보수쪽을 함께 진행하다보니 상대방의 도메인을 직접 관리하는 일이 하나 둘씩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존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관리할때에는 상관이 없지만,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혹은 다른 호스팅 업체로 이전을 대비하여 도메인 소유권에 대해서 이전 방법을 우선적으로 제가 알고 있어야겠다 싶어서 직접 해보게되었습니다.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소유자 변경

    도메인 소유권 이전을 진행하게되면 한국 도메인 업체에서는 등본, 인감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자산에대한 부분이라보니 예전에는 까다로웠는듯하네요.

    아마존에서는 따로 등본이라던지 인감을 요구하지는 않고 기본적으로 소유자 계정에서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변경하는부분이라

    ICANN의 소유권 변경 승인만 받아내면 정상적으로 소유자가 변경됩니다.

    연락처 편집 항목을 클릭하여 변경할 소유자의 정보로 수정합니다.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위의 화면은 이미 수정 이후에 소유자 변경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 여러분들이 보는거랑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항목 도메인 등록 연락처, 관리 연락처, 기술 연락처 항목을 모두 변경해야합니다.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방법

    도메인에 대한 세부 정보를 검토하고 소유권 변경 신청합니다.

    아마존 도메인 소유권 변경

    이 항목에서 따로 비용이 청구되지 않습니다.

    변경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변경된 도메인 소유자에게 이메일이 발송되었다고 나타납니다.

    웹호스팅이전

    메일 인증을 하면 자동으로 소유자가 변경됩니다.

    웹호스팅이전

    Route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비용

    아마존 Route 53 도메인 소유권 이전 과정에 필요한 비용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그냥 상대방 개인정보와 이메일 주소 그리고 그 이메일 주소로 접속하여 이메일 주소가 바른지만 확인되면 바로 변경됩니다.

    변경된 소유자 정보를 최종 확인

    웹호스팅이전

    최종적으로 변경된 등록 연락처, 관리 연락처, 기술 연락처 항목을 꼭 확인해야합니다.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먼저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합니다.

    Route53 service: 콘솔에서 “Route53”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도메인 선택: 소유권을 이전할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레코드 세트 편집: 선택한 도메인의 레코드 세트 편집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소유자 정보 수정: “등록자 연락처”, “관리자 연락처”, “기술 연락처” 및 기타 관련 연락처 정보를 새 소유자의 세부 정보로 업데이트합니다.

    변경 내용 저장: 수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적용합니다.

    변경 사항 검토: 정확성을 위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다시 확인합니다.

    전자 메일 및 인증 확인: 확인 링크와 함께 새 도메인 소유자에게 전자 메일이 전송됩니다. 새 소유자가 전송을 인증하려면 링크를 클릭해야 합니다.

    소유권 이전 완료: 전자 메일 인증이 완료되면 도메인 소유권이 성공적으로 이전됩니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면 Amazon Route53에서 도메인 소유권 이전 절차를 효율적으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 ICANN 또는 기타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관련 지침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이제 새로운 소유자에게 도메인을 이전 시키면 됩니다.

  • AWS 도메인 이전 Route53 도메인 가격

    AWS 도메인 이전 Route53 도메인 가격

    AWS 도메인 이전

    AWS 도메인 이전

    AWS 도메인 이전 할 때 자신의 도메인 갯수가 20개인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개일때 그다음 21번째에는 도메인을 구입도 할 수 없으며 외부 도메인 업체로부터 도메인 이전도 할 수 없게됩니다.

    도메인 갯수를 1000개까지 늘리는 방법은 아래 글을 클릭해서 확인해보세요

    우선적으로 도메인 20개 제한 해제 꼭 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전에 도메인을 구입할 수 없어 위의 제한을 고객센터를 통해 1000개까지 늘려놓은 상태입니다.

    AWS 도메인 이전 방법

    KSDOM 도메인 업체에서 AWS 도메인 이전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4개의 도메인을 이전하고 있는 중입니다. 확인 메일 왔네요.

    웹호스팅이전

    이전에 이전했던글이 있어서 이 부분은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자세히 나와 있으니 보고 따라 하시면 됩니다.

    도메인 이전 방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AWS Route53 .com 도메인 가격

    Route53 도메인 가격 정보는 도메인별로 모두 다르지만 .com (닷컴) 도메인은 13달러입니다.

    AWS 도메인 이전

    이번에는 이지혜닷컴 도메인을 KSDOM (한국기업)에서 AWS Route53 (아마존)으로 이전을 진행하였습니다.

    달러 환율과 카드사 수수료로 인해서 대략 2만원정도 비용이 지출됩니다.

    다른 기업보다 AWS Route53을 이용하는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한가지는 DNS서버를 운영하고 있는데 AWS EC2를 이용하고 있기때문이고요.

    또 다른 이유는 매년 자동갱신 때문입니다.

    신경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결제가 되버리니 도메인을 따로 시간내서 결제할 일이 사라져버렸죠.

    아마존 도메인 가격 Vs 후이즈 가비아 KSDOM 도메인 가격

    국내, 국외 가격비교를 해보았는데 저는 가장 안정적인 기업 AWS에 제 도메인 모두 운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도메인 이전 관련해서 에러나거나 힘드신분들은 저에게 의뢰하셔서 이전을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웹호스팅이전

    감사합니다.

  •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워드프레스 도메인 옮기기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워드프레스 도메인 옮기기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방법에 대한 구체적 포스팅입니다

    카페24에서 워드프레스 웹호스팅을 이용하고 있으며 월 5.5천원으로 비즈니스 (2020년도) 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웹하드 용량은 2GB 이며 현재 모든 용량이 가득 찬 상태라서 워드프레스가 가끔 멈추거나 에러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버 사양은 자세한 스팩이 없어 정확히 알수 없지만 다수의 기업들이 하나의 서버에서 vHost를 나눠서 사용하는 듯 합니다.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메인 페이지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광고 등 많은 트래픽이 몰릴 경우 카페24의 비즈니스 상품으로는 트래픽이 금방 소진됩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 그 다음단계 상품을 구입하셔야 하는데 아래처럼 역시 제한적입니다.

    월 1.1만원, 월 2.2만원, 월 3.3만원 상품이 존재하지만 모두 웹용량은 14GB 아래이며 실제로 월 5.5천원 상품에서 4GB 웹용량을 제공한다고 하였으나 2GB로 3년째 사용하고 계시더군요.
    그리고 한가지 더 데이터베이스 무제한이라고 하여 저는 DB를 맘대로 늘리면 되겠네~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카페24 호스팅 가격

    하지만 방금 카페24에서 꽉찬 용량 1.99GB 파일을 FTP로 다운받은 후 DB를 백업 받으려하니 용량이 있어야지만 백업을 할 수 있도록 최근에 변경되어져 있더군요. 결국 용량 부족으로 DB는 백업을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되버렸습니다.

    초보자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백업받기 어렵도록 변경되었더군요.

    카페24 에러

    암튼! 카페 24에서 리눅스맨 서버로 이전하기 위해 복잡한 부분들까지 모두 제가 직접 하기로 했습니다.

    도메인은 AWS로 1년 기간 연장하면서 13달러의 비용이 청구되므로 그 비용은 대표님께서 지불하셔야 합니다.

    카페 24 호스팅 월 3.3만원 상품으로 제공되는 스팩보다 보다 더 좋은 하드웨어 구성을 해드렸습니다.

    금액은 리눅스맨 호스팅 비용 월 2.2만원과 HTTPs 보안서버 설치 및 자동화 그리고 웹SEO, 워드프레스 DB 백업 및 이전

    도메인 AWS 이전, 워드프레스 테마 및 모듈 업데이트까지 하여 1년에 30만원으로 관리를 해드리기로 했습니다.

    서버 웹 하드 용량은 넉넉하게 20GB로 세팅해드렸으며 CPU는 2개와 메모리 4GB로 증설해드렸습니다.

    이 부분은 초기 리눅스맨 호스팅을 이용해주셔서 보다 더 많은 혜택을 드린 부분입니다.

    리눅스맨에서 제공해드릴 수 있는 호스팅 월 2.2만원 상품은 1 CPU, 1RAM, 10GB SSD, 트래픽 1TB/월 입니다.

    금액이 높을수록 조금 더 좋은 성능과 더 여유있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니 규모가 있으신 업체에서는 이부분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방법

    1. 카페 24 FTP 접속하여 파일을 백업받기

    파일질라 FTP 툴을 이용하여 카페24에 접속하여 모두 파일 데이터를 백업 받았습니다.

    카페24 웹호스팅 이전 백업하기

    2. 카페 24 용량 확보를 위하여 불필요한 파일 정리

    3.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를 위한 phpMyAdmin 설치

    4.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5. AWS 도메인 이전신청

    6. 리눅스맨 서버 설치

    7. 리눅스맨 서버에 DB 설치 및 복원

    8. 리눅스맨 서버에 파일 복원

    9. 보안서버 SSL 신청 및 자동화

    10. 도메인 DNS 변경 및 워드프레스 정상 동작 확인

    11. 워드프레스 업데이트 진행

    12. 워드프레스 웹SEO 진행

    13. 최종 보고서 작성 및 완료

    이러한 순대로 카페 24에서 리눅스맨 서버로 호스팅 이전을 진행합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 이전 및 에러로 인해서 서버를 교체 하셔야 하는 분들께서는 언제든지 신청하셔서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