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s 서버 구축 wordpress 설치

    nas 서버 구축 wordpress 설치

    나만의 nas 서버를 멋지게 만들어보겠습니다.

    보통 나스 서버 그러면 클라우드 같은 파일서버를 떠 올리게됩니다.

    오늘 제가 설치하는 nas 서버 구축은 파일서버가 아닌 워드프레스 설치 입니다.

     

    시놀로지 나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기능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 하여 블로그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시놀로지 나스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

     

    오늘부터 나스에 구축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열심히 운영해보시기 바랍니다.

  •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latin1_swedish_ci VS utf8mb4_unicode_ci

    CHARSET=latin1 COLLATE=latin1_swedish_ci 설정은 기본적으로 latin1 문자셋스웨덴어 대소문자 구분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utf8 또는 utf8mb4 방식이 더 널리 사용되며, 많은 경우 더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의 장단점을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latin1 (latin1_swedish_ci) 방식의 장단점

    장점

    • 공간 절약: latin1은 한 문자를 1바이트로 저장하여, 주로 영어와 같은 라틴 알파벳 기반의 데이터를 다룰 때 공간 절약 효과가 있습니다.
    • 빠른 처리 속도: utf8 방식보다 데이터가 작게 저장되기 때문에, 특정한 경우 쿼리 성능이 다소 향상될 수 있습니다.

    단점

    • 다국어 지원 부족: latin1은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의 라틴 알파벳 기반 언어는 처리할 수 있지만,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와 같은 비라틴 문자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국어 웹사이트나 다양한 언어 데이터를 저장하기엔 적합하지 않습니다.

    2. utf8 또는 utf8mb4 방식의 장단점

    장점

    • 다국어 지원: utf8은 전 세계 대부분의 언어를 지원하므로 다국어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매우 유용합니다.
    • 이모지 및 확장 문자 지원: utf8mb4utf8보다 확장된 4바이트 문자를 지원하며, 이모지와 특수 문자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

    • 공간 사용량 증가: utf8은 한 문자를 최대 3바이트, utf8mb4는 최대 4바이트로 저장하기 때문에 공간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처리 성능: 데이터 크기 증가로 인해 latin1보다 약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일반적으로 다국어 지원유연성이 필요하다면 utf8 또는 utf8mb4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일 언어(특히 영어 등 라틴 문자)를 다루는 경우라면 latin1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다국어 지원 필요성과 성능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세요.

    latin1_swedish_ci
  • 시놀로지 용량 늘리기 파일 삭제 후 부족현상

    시놀로지 용량 늘리기 파일 삭제 후 부족현상

    시놀로지 용량 늘리기

    시놀로지 용량 늘리기

    시놀로지 나스 용량이 부족하여 1TB정도를 삭제했지만 용량이 늘어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보았고 결국 드라이브 휴지통을 삭제하므로써 모든 용량이 복원되었다.

    원래는 20.5TB에서 아무리 삭제해도 늘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래 보는것처럼 18.6TB로 대략 2TB의 용량이 늘어났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처음에 파일을 삭제하였지만 용량은 그대로였다.

    그다음 각 공유폴더의 휴지통을 삭제하였지만 여전히 용량은 늘어나지 않았다.

    시놀로지 홈페이지에는 천천히 용량이 늘어난다고 적혀있었으나 그렇지 않았다. 1년 가까이 계속 용량 부족은 계속 되었다.

    공유 폴더의 휴지통 확인

    영구 삭제되지 않은 파일이 여전히 저장소 공간을 차지합니다. 다음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각 공유 폴더 의 휴지통 을 비웁니다. 1
    • 각 사용자 home 공유 폴더의 휴지통을 비웁니다. 1
      • DSM 7.1 이상의 경우:
        1. 제어판 > 공유 폴더 로 이동하여 homes 공유 폴더를 선택합니다.
        2. 편집 > 휴지통 비우기 를 클릭합니다.
        3. 모든 사용자 “home”의 휴지통 비우기를 선택하고 계속 을 클릭합니다.
        4.  를 클릭하여 확인하고 저장 을 클릭하여 완료합니다.
      • DSM 7.0 이하인 경우:
        1.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DSM 7.0) 또는 사용자 (DSM 6.2)로 이동합니다.
        2. 고급 탭의 사용자 홈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3. 휴지통 비우기 를 클릭합니다.
        4.  를 클릭하여 확인하고 저장 (DSM 7.0) 또는 적용 (DSM 6.2)을 클릭하여 완료합니다.

    Synology NAS 다시 시작

    DSM 바탕화면 오른쪽 위 구석에 있는 사람 아이콘을 클릭한 후 다시 시작 을 클릭하여 장치를 다시 부팅합니다.

    가장 많은 저장소 공간을 차지하는 공간 확인

    자세한 단계는 이 문서 를 참조하십시오.

    참고:

    1. 휴지통을 비울 때 공간이 즉시 확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삭제된 공유 폴더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재사용하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후에도 저장소가 부족하면 다른 스냅샷 또는 파일 복제가 사용 가능한 공간을 사용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시놀로지 답변은 그닥 도움이 되지 않았다.

    Drive 휴지통 비우기

    삭제되는 파일이 얼마나 많은지… 백그라운드 처리를 하고도 몇시간이 걸릴 정도였다.

    개인서버구축

    휴지통 비우기와 데이터 스크러빙을 동시에 구동시키니… 시간이 어마어마했다.

    개인서버구축

    하지만 용량도 늘어나고 파일 일관성도 높아졌으니!!

    당분간 맘놓고 나스에 파일을 저장하면된다.

    그리고 28테라 너무 부족하다.

    12테라 *4개 다시 구입해서 36테라 나스를 하나 더 만들어야겠다.

  • NAT LINUX IP MATCHING DDNS 서버 구축

    NAT LINUX IP MATCHING DDNS 서버 구축

    NAT LINUX

    NAT LINUX

    IP MATCHING is just match

    낫리눅스 생성방법

    1. 가상스위치 NAT 생성

    2. 포트 그룹 NAT 생성

    개인서버구축

    3. ___NAT_TVM7 업로드

    3.1. ___NAT_TVM7 네트워크 연결 – (1)항목에 생성한 가상 스위치 NAT

    4. ___NAT_LINUX 업로드

    4.1. ___NAT_LINUX 네트워크 연결 – (3.1)항목에 연결된 가상 스위치 NAT

    5. ___NAT_TVM7 새로운 네트워크 추가

    개인서버구축

    6. ___NAT_TVM7 네트워프 NAT 설정 및 HOSTNAME 등록

    7. crontab -e

    개인서버구축

    7. 81 MONITOR CHECKED!!

    개인서버구축

    DDNS 서버 구축

    개인서버구축

    DDNS 서버 구축완료!

    DDNS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2가지만 알면된다.

    DNS서버의 개념과 클라이언트 서버의 IP를 어떻게든 프로그램이든 뭐든 이용해서 자동으로 알아낼 수 있으면 된다.

    내 경우에는 윈도우즈와 NAT서비스를 이용하여 리눅스 서버의 IP를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만들었다.

    그리하여 2개의 OS (WINDOWS, LINUX) 만 존재하면 자동으로 서버 IP를 유지할 수 있다.

    개인서버구축

    정말 재미있는 사실은…

    이 글을 나 이외 아무도 이해를 못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시스템구축 분야는 블루오션이 아니라 독점분야라는것이다.


  • ESXi 복사 붙여넣기 isolation.tools Settings copy & paste

    ESXi 복사 붙여넣기 isolation.tools Settings copy & paste

    isolation.tools

    Unexposed/unimplemented parameters that are deprecated from vSphere 7 security guidance:
    
    isolation.bios.bbs.disable
    isolation.ghi.host.shellAction.disable
    isolation.tools.dispTopoRequest.disable
    isolation.tools.getCreds.disable
    isolation.tools.ghi.autologon.disable
    isolation.tools.ghi.launchmenu.change
    isolation.tools.ghi.protocolhandler.info.disable
    isolation.tools.ghi.trayicon.disable
    isolation.tools.guestDnDVersionSet.disable
    isolation.tools.hgfsServerSet.disable
    isolation.tools.memSchedFakeSampleStats.disable
    isolation.tools.trashFolderState.disable
    isolation.tools.unity.disable
    isolation.tools.unity.push.update.disable
    isolation.tools.unity.taskbar.disable
    isolation.tools.unity.windowContents.disable
    isolation.tools.unityActive.disable
    isolation.tools.unityInterlockOperation.disable
    isolation.tools.vixMessage.disable
    RemoteDisplay.vnc.enabled
    Parameters which default to suggested configurations in vSphere 7 and should be reviewed:
    
    isolation.device.connectable.disable
    isolation.tools.copy.disable
    isolation.tools.diskShrink.disable
    isolation.tools.diskWiper.disable
    isolation.tools.dnd.disable
    isolation.tools.paste.disable
    isolation.tools.setGUIOptions.enable
    isolation.tools.vmxDnDVersionGet.disable
    sched.mem.pshare.salt
    svga.vgaOnly
    tools.guestlib.enableHostInfo
    tools.setInfo.sizeLimit
    Parameters which should be configured to something other than the default:
    
    mks.enable3d
    RemoteDisplay.maxConnections
    log.keepOld
    log.rotateSize
    tools.guest.desktop.autolock
    isolation.device.edit.disable

    ESXi 복사 붙여넣기

    파일과 이미지를 ESXi 서버로 복사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여러 가지 설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특히 vSphere 7의 보안 가이드라인에 따라 노출되지 않거나 구현되지 않은 파라미터, 기본적으로 제안된 구성으로 설정된 파라미터, 그리고 기본값이 아닌 다른 값으로 구성해야 하는 파라미터들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 단계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1. 필요한 설정 확인 및 조정

    isolation.tools.copy.disable = FALSE

    isolation.tools.paste.disable = FALSE

    isolation.tools.dnd.disable = FALSE

    isolation.tools.hgfsServerSet.disable = FALSE

    ESXi 복사 붙여넣기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 파일 및 이미지 복사에 관련된 설정: 특히 isolation.tools.copy.disable, isolation.tools.paste.disable, isolation.tools.dnd.disable (Drag and Drop), isolation.tools.hgfsServerSet.disable 설정이 파일 및 이미지 전송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설정들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파일 전송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설정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2. 설정 변경 방법

    • vSphere Client 사용: ESXi 호스트에 접속한 후,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가상 머신을 선택합니다. 설정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가상 머신의 설정에 들어가 VM Options 탭을 선택한 다음, Advanced > Edit Configuration에서 해당 파라미터를 찾아 값을 수정합니다.
    • ESXi Shell 또는 Secure Shell (SSH) 사용: ESXi Shell 또는 SSH를 통해 ESXi 서버에 접속한 후, esxcli 명령어 또는 vim-cmd를 사용하여 필요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설정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esxcli system settings advanced set --option=/Path/To/Setting --int-value=0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고려 사항

    • 네트워크 및 방화벽 설정: ESXi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원활하고, 필요한 포트가 방화벽에 의해 차단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VMware Tools 설치 및 업데이트: 가상 머신에 VMware Tools가 설치되어 있고 최신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VMware Tools는 파일 전송과 같은 기능의 성능과 호환성을 개선합니다.

    4. 문제 지속 시

    • 로그 파일 확인: ESXi 서버 및 가상 머신의 로그 파일을 확인하여 문제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VMware 고객 지원 문의: 위 단계를 모두 시도한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VMware 고객 지원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설정 변경 시 주의를 기울여, 시스템의 보안과 안정성을 해치지 않도록 하십시오.

  • dns zone file attribute 1 Example

    dns zone file attribute 1 Example

    DNS zone file

    dns zone file

    Below is a table explaining the main elements of a DNS zone file in a simplified manner, using the ‘ddns365.com’ domain as an example.

    ElementExplanation
    SOA(Start Of Authority)The SOA record signifies the start of a DNS zone, containing the domain name and the email address of the administrator. For ‘ddns365.com’, ‘@’ represents ‘ddns365.com’ and the admin’s email uses ‘.’ instead of ‘@’.
    Refresh, Retry, Expire, MinimumThese represent the period to check zone updates, the period to retry update checks, the time when zone data expires, and the TTL for negative caching, respectively. These are necessary for managing synchronization between name servers.
    A(Address)An A record is used to assign an IP address to a host. It defines which IP address the ‘ddns365.com’ domain or its subdomains actually point to.
    TTL(Time to Live)TTL in the Domain Name System (DNS) signifies how long an external name server stores the IP address of a certain domain in its cache. This allows for faster processing of requests for the same domain.
    NS(Name Server)An NS record indicates the name server of a certain domain. For instance, the name server for ‘ddns365.com’ could be ‘ns1.ddns365.com’.
    MX(Mail Exchange)An MX record is used to designate a mail server. It defines how mail is routed to a specific server. For ‘ddns365.com’, ‘mail.ddns365.com’ could be the mail server.
    CNAME(Canonical Name)A CNAME record is used to assign an alias to a host name. This allows multiple host names to be connected to one IP address. For example, ‘www.ddns365.com‘ could point to ‘ddns365.com’.
    PTR(Pointer)A PTR record is used to map an IP address to a domain name. This is primarily used for reverse DNS lookups.
    SRV(Service)An SRV record is used to specify where a certain service is available, including the domain, port, and protocol. This makes service discovery easier.
    TXT(Text)A TXT record is used to store arbitrary text. It’s commonly used in mail authentication mechanisms such as SPF (Sender Policy Framework), DKIM (DomainKeys Identified Mail), and DMARC (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
    dns zone file

    dns zone file includes the following records

    • SOA record: Indicates the start of the zone. In this case, ns1.dns365.com is the Primary NS and admin.dns365.com is the zone administrator.
    • NS records: Indicate that ns1.dns365.com and ns2.dns365.com are the name servers for this domain.
    • A records: Indicate that dns365.com, www.dns365.com, and mail.dns365.com point to the IP addresses 192.0.2.1, 192.0.2.2, and 192.0.2.3 respectively.
    • CNAME records: Indicate that ftp.dns365.com, images.dns365.com, and docs.dns365.com all point to www.dns365.com.
    • MX record: Specifies that mail.dns365.com is used as the mail exchange server.
    • TXT record: Contains the SPF record “v=spf1 a mx ~all”, indicating the policy for sending mail.

    $TTL 86400
    @ IN SOA ns1.dns365.com. admin.dns365.com. (
    2003080800 ; Serial
    7200 ; Refresh
    120 ; Retry
    2419200 ; Expire
    86400 ) ; Negative Cache TTL

    @ IN NS ns1.dns365.com.
    @ IN NS ns2.dns365.com.

    @ IN A 192.0.2.1
    www IN A 192.0.2.2
    mail IN A 192.0.2.3

    ftp IN CNAME www
    images IN CNAME www
    docs IN CNAME www

    @ IN MX 10 mail.dns365.com.
    @ IN TXT “v=spf1 a mx ~all”

    네임서버 CNAME 세팅방법

    dns zone file 존파일 한글 설명 및 예제

    아래 표는 DNS 존파일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그 중 ‘ddns365.com’ 도메인이 사용되었습니다.

    요소상세설명
    SOA(Start Of Authority)SOA 레코드는 DNS 존의 시작을 표시하고, 도메인 이름과 관리자 이메일 주소를 포함합니다. ‘ddns365.com’의 경우 ‘@’는 ‘ddns365.com’를 가리키며, 관리자 이메일은 ‘@’ 대신 ‘.’을 사용하여 표시됩니다.
    Refresh, Retry, Expire, Minimum이들은 각각 존의 업데이트 확인 주기, 업데이트 확인 재시도 주기, 존 정보가 만료되는 시간, 네거티브 캐싱 TTL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네임서버 간의 동기화를 관리하는데 필요합니다.
    A(Address)A 레코드는 호스트에 IP 주소를 지정하는데 사용됩니다. ‘ddns365.com’ 도메인 또는 하위 도메인이 실제로 어떤 IP 주소를 가리키는지를 정의합니다.
    TTL(Time to Live)TTL은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외부 네임서버가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캐시에 저장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NS(Name Server)NS 레코드는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ddns365.com’의 네임서버는 ‘ns1.ddns365.com’일 수 있습니다.
    MX(Mail Exchange)MX 레코드는 메일서버를 지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메일이 특정 서버로 라우팅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ddns365.com’의 경우, ‘mail.ddns365.com’이 메일 서버일 수 있습니다.
    CNAME(Canonical Name)CNAME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에 별칭을 부여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IP 주소에 여러 호스트 이름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ww.ddns365.com’이 ‘ddns365.com’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PTR(Pointer)PTR 레코드는 IP 주소에서 도메인 이름으로의 매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역 DNS 조회에 사용됩니다.
    SRV(Service)SRV 레코드는 특정 서비스가 어떤 도메인, 포트, 그리고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지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발견이 용이해집니다.
    TXT(Text)TXT 레코드는 임의의 텍스트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SPF (Sender Policy Framework), DKIM (DomainKeys Identified Mail), DMARC (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과 같은 메일 인증 메커니즘에 사용됩니다.
    dns zone file example

    이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레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SOA 레코드: 존의 시작을 나타내며, ns1.dns365.com이 Primary NS이고 admin.dns365.com이 존의 관리자입니다.
    • NS 레코드: ns1.dns365.com과 ns2.dns365.com이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임을 나타냅니다.
    • A 레코드: dns365.com, www.dns365.com, mail.dns365.com 각각이 192.0.2.1, 192.0.2.2, 192.0.2.3 IP 주소를 가리킵니다.
    • CNAME 레코드: ftp.dns365.com, images.dns365.com, docs.dns365.com 각각이 www.dns365.com을 가리킵니다.
    • MX 레코드: 메일 교환 서버로 mail.dns365.com을 사용합니다.
    • TXT 레코드: SPF 레코드로 “v=spf1 a mx ~all”를 포함하고 있어 메일 발신에 관한 정책을 나타냅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리눅스맨에게 톡톡 보내주세요

    .

  • e5 2658 v2 제온 서버용 CPU 비교: e5-2670 v2, e5-2660 v2, e5-2696 v2, i7 8700K 의 성능과 가성비 분석

    e5 2658 v2 제온 서버용 CPU 비교: e5-2670 v2, e5-2660 v2, e5-2696 v2, i7 8700K 의 성능과 가성비 분석

    e5 2658 v2

    e5-2658 v2

    서버용 CPU를 선택할 때는 성능과 가격,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오늘은 인텔의 네 가지 CPU 모델인 e5 2658 v2, e5 2670 v2, e5 2660 v2, e5 2696 v2에 대해 성능과 가성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각 CPU의 성능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서, 어떤 CPU가 가장 적합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5 2658 v2

    • 코어 수: 10개, 쓰레드 수: 20개
    • 클럭 속도: 2.4 GHz (최대 Turbo Boost 3.4 GHz)
    • 캐시: 25MB L3 캐시
    • TDP: 95W
    • PassMark 벤치마크 점수: 약 11,000

    e5 2658 v2는 효율적인 95W의 TDP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10개의 코어와 20개의 쓰레드로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으며, 2.4 GHz의 클럭 속도와 25MB의 L3 캐시가 작업 효율성을 높입니다. 가성비 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선택입니다.

    e5 2670 v2

    • 코어 수: 10개, 쓰레드 수: 20개
    • 클럭 속도: 2.5 GHz (최대 Turbo Boost 3.3 GHz)
    • 캐시: 25MB L3 캐시
    • TDP: 115W
    • PassMark 벤치마크 점수: 약 11,200

    e5 2670 v2는 약간 높은 클럭 속도와 살짝 더 높은 PassMark 벤치마크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115W의 TDP는 전력 소비 면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e5 2660 v2

    • 코어 수: 10개, 쓰레드 수: 20개
    • 클럭 속도: 2.2 GHz (최대 Turbo Boost 3.0 GHz)
    • 캐시: 25MB L3 캐시
    • TDP: 95W
    • PassMark 벤치마크 점수: 약 10,000

    e5 2660 v2는 가성비와 에너지 효율성 면에서 뛰어난 선택입니다. 95W의 TDP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보장하면서 10개의 코어와 20개의 쓰레드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e5 2696 v2

    • 코어 수: 12개, 쓰레드 수: 24개
    • 클럭 속도: 2.9 GHz (최대 Turbo Boost 3.6 GHz)
    • 캐시: 30.25MB L3 캐시
    • TDP: 130W
    • PassMark 벤치마크 점수: 약 12,500

    e5 2696 v2는 e2658 v2, e2670 v2, e2660 v2보다 좀 더 강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12개의 코어와 24개의 쓰레드, 2.9 GHz의 클럭 속도와 30.25MB의 L3 캐시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더 높은 130W의 TDP는 전력 소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7 8700K:

    • 코어 수: 6개, 쓰레드 수: 12개
    • 클럭 속도: 3.7 GHz (최대 Turbo Boost 4.7 GHz)
    • 캐시: 12MB L3 캐시
    • TDP: 95W
    • PassMark 벤치마크 점수: 약 17,000

    이제, 각 CPU 모델을 종합적으로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5 2658 v2는 효율적인 성능과 가성비로 인해 구입하고 싶은 마음을 일깨울 수 있습니다. e5 2670 v2는 약간 높은 성능을 원하는 경우 고려해볼 만합니다. e5 2660 v2는 가성비와 에너지 효율성을 동시에 갖춘 선택으로 매우 매력적입니다. 마지막으로, e5 2696 v2는 좀 더 강력한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i7 8700K는 일반적인 데스크탑 용도로 사용되며 게임 및 일반적인 작업에 적합한 선택입니다.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예산에 맞게 가성비가 뛰어난 CPU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 다섯 가지 CPU를 살펴봄으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알리 익스프레스 쇼핑몰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모델이 있으면 저렴하게 서버 만들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e5 2660 v2 모델을 제외하고 제가 모두 사용해보았습니다.

    데탑은 i7 6400, 8400 그리고 10세대까지 사용해보았습니다.

    제 결론은 그냥 제일 싸고 전기요금 제일 적게 나오는 CPU최고의 가성비입니다.

    그럼 그 모델이 어떤걸까요?

    E5-2658 V2 모델입니다.

  • 워드프레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이 문장은 PHP 언어에서 에러가 발생한것입니다.

    대부분 필터, 액션 함수에서 에러가 발생하며 결과로는 아래처럼 나타납니다.

    워드프레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지침을 위해 사이트 관리자 이메일의 받은 편지함을 확인해주세요

    워드프레스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만약 위의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다고 나온다면 아래처럼 wp-config.php 파일을 FTP로 접속하여

    define( ‘WP_DEBUG’, false);

    항목을 찾으시고 아래처럼 수정해주세요

    define( ‘WP_DEBUG’, true);

    어떠한 페이지에서 PHP 오류가 발생했는지 찾아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이제 오류 페이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구축

    아까보다 더 복잡해지고, 알수 없는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져있나요?

    너무 걱정하지마세요~

    이제부터는 운영하고 계신 서버 담당자님에게 전화한통하셔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가 안되요~ 라고 한마디만 해주시면 그분들이 대부분 해결해주십니다.

    만약 해결을 하기 위해 금전적인 부분을 요구한다면 쉬운일이 아닌 시간이 걸리는 수준의 일일수도 있습니다.

    잘 되던 블로그가 갑자기 안되는 경우에는 보통 테마, 플러그인을 새로 설치하거나 수정 삭제 할때 많이 일어나는데요.

    특정 테마, 특정 플러그인을 설치하고나서 치명적인 에러가 발생했다면 DEBUG모드를 활성화 true로 만드시고

    어떠한 항목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렇게 어느부분이 문제인지 정확하게 파악이 된다면!!

    직접 소스코드를 수정해서라도 그부분을 수정할 수 있게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위의 오류는 Snippets 플러그인에서 Expert 명령어를 눌렀을때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더군요.

    “이 웹사이트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습니다. 지침을 위해 사이트 관리자 이메일의 받은 편지함을 확인해주세요.”

    오류를 파악했고 문제가 플러그인 담당자의 코딩 실수로 파악이 되어 제가 직접 수정했습니다.

    단순하게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이름을 가져와야하는데 명령어를 잘못 입력했더군요.

    아니면 워드프레스가 업데이트 되면서 그부분이 바뀌었을 수 있습니다.

    자! 해결방법을 통해서 이제 직접 혹은 누군가에게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말해서 해결 할 수 있으시겠죠?

    혹시라도 리눅스맨에게 워드프레스 문제를 의뢰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VM 자동화 시스템 구축 할때 윈도우 배치 스크립트

    VM 자동화 시스템 구축 할때 윈도우 배치 스크립트

    각 VM마다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VM안에서 쉽게 관리자 프로그램을 설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팀뷰어 원격 시스템으로 되어져있더라도 VM갯수가 100개이상 되거나 혹은 1000개 이상이 될 경우 각각 한개씩 설정한다는 시간소비와 노력소비가 많이 들어갑니다. 그로인해서 이를 쉽고 빠르고 한번에 관리자에서 할 수 있도록 기본 파일을 설치 해 놓아야 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그 중 한가지가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wget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wget.exe 파일을 윈도우 폴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변수를 지정해놓고 원하는 자동화 툴을 다운로드 받아 바로 실행 해야 합니다.

    오늘은 wget.exe 파일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VM 자동화 시스템 구축 기본 베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자동화 시스템 구축

    1. 자동화 업데이트 가능한 스크립트를 제작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우선 자동화 업데이트를 위한 wget.exe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받고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설치합니다.

    아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CMD 화면에서 동작 시킬 수 있습니다.

    copy con updateWget.bat
    
    echo off
    
    set FORDER_WGET=%HOMEDRIVE%\_자료실\티온\WGET
    set FILEDOWNLOAD_WGET=https://vlog.tion.co.kr/app/wget.exe
    set SHORT_LINK=%APP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updateWget - 바로 가기.lnk
    
    mkdir "%HOMEDRIVE%\_자료실".
    mkdir "%HOMEDRIVE%\_자료실\티온".
    mkdir %FORDER_WGET%
    
    
    IF EXIST "%HOMEDRIVE%\_자료실\티온\WGET\wget.exe" (
    	del "%HOMEDRIVE%\_자료실\티온\WGET\wget.exe"
    ) 
    
    IF NOT EXIST "%HOMEDRIVE%\_자료실\티온\updateWget.bat" (
    
    	copy updateWget.bat "%HOMEDRIVE%\_자료실\티온".
    )
    
    
    cd %FORDER_WGET%
    
    if exist "%SHORT_LINK%" (
    	ECHO "EXIST shortcut"
    	GOTO COMMON
    ) else (
    	ECHO "Making shortcut"
    	GOTO SHORTCUT
    	 
    )
    
    :SHORTCUT
    powershell -Command "$ws =  New-Object -ComObject ('WScript.Shell'); $s = $ws.CreateShortcut('%SHORT_LINK%'); $s.TargetPath = 'C:\_자료실\티온\updateWget.bat'; $s.Save()"
    
    GOTO COMMON
    
    
    :COMMON
    IF EXIST "%HOMEDRIVE%\Windows\System32\wget.exe". (
    
    	wget %FILEDOWNLOAD_WGET%
    
    	del "%HOMEDRIVE%\Windows\System32\wget.exe".
    	copy %FORDER_WGET%\wget.exe. "%HOMEDRIVE%\Windows\System32".
    
    ) ELSE (
    	powershell "(New-Object System.Net.WebClient).DownloadFile('%FILEDOWNLOAD_WGET%','%HOMEDRIVE%\Windows\System32\wget.exe')"
    	copy "%HOMEDRIVE%\Windows\System32\wget.exe". %FORDER_WGET%
    )
    
    
    
    
    #Ctrl + Z 눌러서 저장합니다. 

    Ctrl +Z 눌러야지만 파일이 저장됩니다.

    만들어진 파일을 실행 해 봅니다.

    2. wget.exe 파일이 동작하는지 확인 합니다.

    파일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했다면 wget.exe 파일이 실행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정상적으로 스크립트가 실행되었으며 파일도 잘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wget.exe 라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바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3.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합니다.

    레지스트 등록방법도 존재하지만 우리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인 숏컷 바로가기를 만들겠습니다.

    만들어진 배치파일을 그냥 이동시키거나 복사해도 되며 제가 한것처럼 바로가기를 만들어서 넣어도 됩니다.

    윈도우키+ R 버튼을 눌러서 shell:startup 이라고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아래처럼 윈도우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열립니다.

    그 폴더로 방금 만든 배치파일을 그냥 옮기셔도 됩니다. 복사하셔도 되고요.

    저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배치파일에 오른쪽마우스로 꾹 눌러서 드래그 한다음 시작프로그램 폴더에서 손을 떼면
    [ 여기에 바로가기 만들기 ] 항목을 클릭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이제부터 VM 게스트 PC를 재부팅 할 때마다 자동으로 wget.exe 새로운 버전으로 다운받고 업데이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최종적으로 CMD창을 열어서 wget 명령이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정상적으로 되었네요.

    자동화 시스템 구축 이제부터 원하는 관리자 파일을 내가 원하는 폴더에 설치하고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초 부분이 끝났습니다.

    이제 모든 VM 마다 이렇게 설치해서 자동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이렇게 만들어진 자동화 시스템 구축은 팀뷰어 같은 원격 프로그램도 필요가 없으며 오직 게스트 PC만 많으면 됩니다.

    새로운 VM에 적용해보니 바로 wget 명령어가 동작하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저처럼 자신만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면 이 방법은 여러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기초 단계의 강좌가 될겁니다.

    감사합니다.

  • 컴퓨터 원격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구축

    컴퓨터 원격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구축

    프로그램 세팅 및 AS 원격제어

    (아래 배너를 클릭하여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실행하여주세요)


    위와 같은 원격 시스템구축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컴퓨터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팀뷰어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 업로드 하여 고객 컴퓨터를 원격제어 할 수 있습니다.

    제가 하는 방법이기도 하며 팀뷰어 11 정식 버전을 이용하여 고객 컴퓨터를 직접 원격제어 하고 있습니다.

    우선 HTML 소스코드로 팀뷰어 11 QuickSupport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HTML 소스코드

    <div style="position:relative; width:200px; height:135px;">
      <a href="https://sta.tion.co.kr/wp-content/uploads/2023/04/TeamViewerQS_11.exe" style="text-decoration:none;">
        <img decoding="async" src="https://sta.tion.co.kr/wp-content/uploads/2023/04/teamviewer_badge_flat2.webp" alt="TeamViewer를 이용한 인터넷상 원격 접속 및 지원" title="TeamViewer를 이용한 인터넷상 원격 접속 및 지원" border="0" width="200" height="125" class="jetpack-lazy-image jetpack-lazy-image--handled" data-lazy-loaded="1" loading="eager"><noscript><img data-lazy-fallback="1" decoding="async" src="https://sta.tion.co.kr/wp-content/uploads/2023/04/teamviewer_badge_flat2.webp" alt="TeamViewer를 이용한 인터넷상 원격 접속 및 지원" title="TeamViewer를 이용한 인터넷상 원격 접속 및 지원" border="0" width="200" height="125"  /></noscript>
        <span style="position:absolute; top:93px; left:5px; display:block; cursor:pointer; color:White; font-family:Arial; font-size:14px; line-height:1.2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width:190px;">
          티온스테이션 원격지원 QS
        </span>
      </a>
    </div>

    개인서버구축

    팀뷰어 원격제어 프로그램 업로드

    만약 실행파일 확장자 .exe 파일이 업로드 안 될 경우 아래 방법대로 따라 하면 팀뷰어 실행 파일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워드프레스 페이지 생성

    워드프레스 글 생성, 페이지 생성 이 중 한가지를 이용하여 보여줄 랜딩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은 배너가 만들어지게되며 고객은 그 랜딩 페이지에서 배너를 클릭하여 원격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습니다.

    고객은 위의 배너를 클릭하여 팀뷰어 Quick Support 11 버전을 다운받고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은 팀뷰어 퀵 서포트 화면이 나타나면 [ 귀하의 ID ] 와 [ 비밀번호 ] 두 항목을 알려달라고 하여 팀뷰어 원격 프로그램으로 접속하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이제 고객 화면을 인터넷이 연결되는 컴퓨터에서 언제든지 즉시 원격제어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감사합니다.

  • ESXi 하드디스크 추가 SSD 데이터스토어 익스텐트 확장

    ESXi 하드디스크 추가 SSD 데이터스토어 익스텐트 확장

    ESXi 하드디스크 추가 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합니다.

    기존 256GB SSD로 동작하는 서버입니다.

    ESXi 8 버전으로 동작하고 있으며 500GB SSD를 하나 더 추가하여 데이터스토어 익스텐트 확장 기능으로 용량을 늘립니다.

    새 데이터스토어 이용할 경우 윈도우로 따지면 드라이브가 2개 생성되지만 데이터스토어 익스텐트 확장 기능을 이용하면 1개의 단일 데이터스토어로 이용할 수 있어 VM 이미지를 관리하기 더 용이해집니다.

    개인서버구축

    ESXi 하드디스크 추가

    1. datasotore 속성 용량 증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ESXi 7 에서도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만약 datastore 속성에서 만들지 않고 스토리지 항목에서 새 데이터스토어 생성으로 만들게 되면

    개인서버구축

    항목이 조금 다르지만 [ 새 VMFS 데이터스토어 ] 생성 버튼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하나의 데이터스토어에 용량이 합쳐지는것이 아니라 드라이브 2개 즉 데이터스토어 2개를 운영하게 되는겁니다.

    한개로 합치려면 이미 만드러진 데이트스토어 속성에서 [ 기존 VMFS 데이터스토어에 익스텐트 확장 ] 항목을 클릭해야 합니다.

    개인서버구축

    2. 디바이스 선택을 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새로 구입한 SSD 500기가를 선택합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티셔닝 옵션 선택에서 [ 전체 디스크 사용 ] 으로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용량 분리하실 분들은 사용자 지정으로하시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3. 완료버튼을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이 디스크의 전체 컨텐츠가 지워지고 지정된 구성으로 대체됩니다.

    계속하시겠습니까? [ 예 ] 버튼을 누르면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를 초기화 하고 용량을 기존 데이터스토어에 합쳐버립니다.

    개인서버구축

    4. 용량 확인과 익스텐트 1 추가 된 하드를 확인하고 마무리합니다.

    개인서버구축

    250기가에서 500기가 용량이 늘어났습니다.

    이렇게 1개의 단일 데이터스토어로 용량을 늘리면 관리가 편합니다.

    개인서버구축

    만약 에러메시지와 함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면 재부팅 후 다시 시도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보통 이런경우는 데이터스토어를 새로 만들때 ESXi 서버 버전 문제로 많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