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2021년 2월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 AWS hosting cost )

    이번달 호스팅비용은 167.67 달러로 나와있지만 실제로 호스팅 비용 이외에 트래픽과 탄력적 IP 비용 등등 산출하면 275.50달러가 지불될것으로 예측됩니다.

    아마존에서는 프리티어라는 개념이 있어 개인이 호스팅을 할 경우 첫 1년동안 특정서버 하나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2020년 12월 중순쯤 프리티어 1개로 아마존 서버가 어떠한 곳인지 알기 위해 사용하였습니다.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그 이후로 워드프레스 모든 서버를 AWS EC2 서버로 교체하므로써 아마존 호스팅 비용은 점점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아래 아마존 EC2 호스팅 전체 비용을 보면 1월 10일부터 점점 늘어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1월 10일부터 서버가 2개, 3개 이렇게 늘어나면서 실제로 프리티어 이상의 서버를 사용하게되어 비용이 늘어나게 된것입니다.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중간에 2월 1일 날짜로 15달러 이상나온 비용은 저도 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어느순간 점점 2월 1일 날짜의 비용이 하늘높은줄 모르고 계속 치솟더군요.

    아직 2월 1일의 금액이 왜 올라갔는지 알수 없어 이부분을 확인중에 있습니다.

    혹시 AWS 서버 호스팅 하시는 분들중에 위의 그래프처럼 매월 1일 날짜가 높으신분들은 서버가 다수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aws ec2 instance

    실행중인 인스턴스 갯수는 8개이며 보안그룹도 각 서버에 맞춰서 8개 맞춰놨습니다.

    아이피를 유동적으로 접속할 일이 많다보니 Public 개념과 Private 개념을 도입하여 언제 어디서든 제 노트북에서 바로바로

    SSH접속 붙을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절해놓은 상태입니다.

    현재 서버가 8대이지만 아직 RDB관련하여 서버를 옮겨야하는상태입니다.

    대략 5대정도를 추가로 더 늘려야하는 입장이고 한달 AWS 예상 비용은 대략 30만원이 넘을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예상은 월 20만원정도로 생각했었는데… 스냅샷이랑 이것저것 뜻하지 않는 비용산출이 많더군요.

    기존 서울에서 운영중이던 IDC 두곳의 비용을 대신하고 티온 사무실에서 운영하던 서버 비용이 한달에 100만원정도 지출된것을 감안하면 70%정도 비용 절감효과가 있습니다.

    서버 사진

    이번에 티온 사무실도 아파트 매입으로 월 임대비가 나가지 않게되어 조금 더 절감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전용회선은 갯수를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고 그렇게 되면 통신비만 매월 10만원이 또 절감하게되어 50%의 지출비용이 사라지게됩니다. 그동안 고정아이피도 월 5~7만원정도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AWS 덕분에 이 고정 아이피도 월 1만원에 해결할수 있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서버1u

    2016년도에 스마일서브에서 제온서버를 이용했었는데 출고하면서 8코어 XEON CPU와 1U 서버와 2TB SSD를 획득하게되었네요.

    RDBS 하나 만들까합니다. 수집해야할 데이터도 이제는 1000억단위로 증가하게되어 2TB도 부족할듯합니다.

    [자동스크롤]150,500[/자동스크롤]

  • 개인서버 구축방법

    개인서버 구축방법

    [a]99999[/a]

    개인서버 구축방법에 대해서 기술합니다.

    여러가지 목적에 따라 개인서버는 다양하게 나뉠수가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웹서버를 구축하여 HTML을 운영할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모으기 위한 DB서버를 구축하여 MYSQL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파일(프로그램, 동영상, 각종 유틸리티)을 모아놓고 공유할 수 있는 FILE서버을 하여 친구들과 주위 동료들과 함께 사용할수도 있으며 회사에서 인트라넷 연결시켜 편하게 이동할 수 있죠. 파일서버를 보통 스토리지서버라고 부르기도 하며 파일 종류에 따라서 이미지서버, 동영상서버(스트리밍서버)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죠.

    최근에는 이 파일서버를 마치 구름위에 띄어놓고 사용한다하여 클라우드서버 라는 이름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CDN서버의 경우 미리 만들어진 라이브러리(dll, javascript, function) 함수를 띄어놓고 가져와서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었죠. jquery, ajax 등 여러 CND 서버가 있습니다.

    서버의 이름은 앞으로도 계속 많아지게되겠죠! 내가 만들면 그게 또 곧 서버가 될테니깐요. 그러면 이러한 서버는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요? 대형 큰 서버구축은 여러가지 장비가 들어가지만 개인서버 구축방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PC 1대만 있으면 누구나 개인서버를 만들수 있기때문이죠.

    이제 윈도우로 만들지 리눅스로 만들지 이 선택만하면됩니다.

    물론 OS를 설치하는 개념이라서 포맷을 해야하기때문에 부담스러울수 있습니다. 그럴때에는 vmware같은 가상윈도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리 설치해보는 실습을 해도 됩니다. 가급적이면 남는 pc에 통으로 설치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리눅스로 개인서버 만드는 큰 그림을 알려드리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각 설치와 세팅 그리고 단계별로 많다보니 이 문서에서는 전체적으로 어떻게 해서 웹서버가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웹서버 구축방법

    1. PC에 리눅스를 설치합니다. (이곳에서는 센트OS만 다룹니다.)
    2. CentOS 설치후 root세팅, 기본 언어 및 세팅을 해줍니다.
    3. WAS (apache서버, httpd)를 설치합니다
    4.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합니다
    5. PHP 를 설치합니다
    6. PHP와 HTML 연동 세팅을 합니다
    7. PHP와 MYSQL 연동 세팅을 합니다
    8. MYSQL 언어설정, 환경설정을 합니다. 이때 root암호도 넣어주세요
    9. 워드프레스 설치형 블로그를 설치합니다. (이때부터 cafe24 서비스와 동일)
    10. 기본테마를 받아서 워드프레스 사용하듯 하면됩니다

    각 단계마다 세팅할 부분이 많아 큰 그림을 우선저으로 보여드렸습니다.

    집에서 개인서버 운영할 분들은 이 블로그의 각 세부적인 부분들을 확인하셔서 개인서버 하나정도 장만해보시기 바랍니다. 초보자도 가능하지만 처음 접하는 부분이라 조금 어렵게 느껴질수있습니다. 그러나 한번 고생만하면 평생을 나만의 개인서버와 함께 할 수 있답니다^^ 제 개인서버 처럼요

     

    여러분들의 개인서버 오늘부터 지금 바로 만들어보세요!

    [a]9999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