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aws 개인 서버 비용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aws 개인 서버 비용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지금까지 나온 통계를 보았습니다.

    AWS 운영에 도움이되셨으면 합니다.

    아래 보시는것처럼 올해 2021년 1월부터 AW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준비는 2020년 12월부터 했던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11월 아니면 12월일겁니다.

    그당시 제가 운영하던 서버에 해킹과  보안상의 문제로 아마존을 선택하였습니다.

    가장 좋은 부분은 서버를 제 마음대로 교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맘에 듭니다.

     

    5월까지 꾸준히 AWS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증가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워드프레스 중에서 방문자가 많이 오는게 몇개 있는데 그 사이트의 동시접속자가 많아서 서버부하로 DB가 자꾸 멈추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럴때마다 사양을 1단계씩 증가시키다보니 점점 비용이 많이 나오게 된것입니다.

    현재 워드프레스는 대략 100개정도 운영하고 있고요. 서버는 총 8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중에는 무료 프리티어도 1개가 존재하지만 제가 사용하는 트래픽 양만 보면 프리티어는 하루만에 소진되기도합니다.

    달러로 표기되다보니 정확한 금액이 산출안되실텐데요..

    대략 30만원이내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서버 또 증설해야하니 30~35만원까지 더 증가할수도 있습니다.

    원래 사무실 운영할 당시 전기요금과 사무실 비용을 다 따지면 한달에 유지비용만 100만원이 넘었습니다.

    지금은 사무실을 아파트 구입으로 해결한상태라 월 5만원정도의 관리비와 전기요금 25만원정도가 전부라서 유지비가 확 줄어들었죠.

    그만큼 아마존에 더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t3 계열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워드프레스는 m5 EC2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거 한대가 다른녀석들 전체와 맞먹는금액일겁니다.

    사양이 빵빵하다보니 동시접속자가 많더라도 개인 홈페이지 운영치고는 잘돌아갑니다.

     

    aws 개인서버 비용 얼마정도 나올까싶어 검색하시는 분들 많으실꺼라 봅니다.

    제가 만약 워드프레스 1개 (티스토리 대신 사용할) 운영한다면…

    한달 3-5만원정도 잡으면 완전 널널합니다. (하루 방문자 1만명이상도 거뜬합니다)

    사실 개인서버 구축 용도로 애드센스 솔솔하게 버는 수준이라면 메모리 4GB정도에 듀얼 CPU 정도면 적당합니다.

    이정도 사양이면 t3 미디엄이나 t3a 미디엄 정도 됩니다. 3만원~4만원 정도 되는 금액이죠.

    만약 2기가로 파이썬 명령어로 메모리 관리를 할 수 있다면 한달 2만원선으로도 운영하능해집니다.

    제가 EC2 가격을 정리해놓은 글이 있는데 한번 읽어보시고요.

    파이썬으로 메모리 관리하는 글도 올려놓은게 있습니다.

    아개 글 각각 한번 읽어보세요

    amazon aws price for linux

    아마존 EC2 메모리 부족 아파치 자동 재실행 파이썬 스크립트

     

    감사합니다.

  •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2021년 2월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 AWS hosting cost )

    이번달 호스팅비용은 167.67 달러로 나와있지만 실제로 호스팅 비용 이외에 트래픽과 탄력적 IP 비용 등등 산출하면 275.50달러가 지불될것으로 예측됩니다.

    아마존에서는 프리티어라는 개념이 있어 개인이 호스팅을 할 경우 첫 1년동안 특정서버 하나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2020년 12월 중순쯤 프리티어 1개로 아마존 서버가 어떠한 곳인지 알기 위해 사용하였습니다.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그 이후로 워드프레스 모든 서버를 AWS EC2 서버로 교체하므로써 아마존 호스팅 비용은 점점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아래 아마존 EC2 호스팅 전체 비용을 보면 1월 10일부터 점점 늘어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1월 10일부터 서버가 2개, 3개 이렇게 늘어나면서 실제로 프리티어 이상의 서버를 사용하게되어 비용이 늘어나게 된것입니다.

    아마존 서버 호스팅 비용

    중간에 2월 1일 날짜로 15달러 이상나온 비용은 저도 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어느순간 점점 2월 1일 날짜의 비용이 하늘높은줄 모르고 계속 치솟더군요.

    아직 2월 1일의 금액이 왜 올라갔는지 알수 없어 이부분을 확인중에 있습니다.

    혹시 AWS 서버 호스팅 하시는 분들중에 위의 그래프처럼 매월 1일 날짜가 높으신분들은 서버가 다수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aws ec2 instance

    실행중인 인스턴스 갯수는 8개이며 보안그룹도 각 서버에 맞춰서 8개 맞춰놨습니다.

    아이피를 유동적으로 접속할 일이 많다보니 Public 개념과 Private 개념을 도입하여 언제 어디서든 제 노트북에서 바로바로

    SSH접속 붙을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절해놓은 상태입니다.

    현재 서버가 8대이지만 아직 RDB관련하여 서버를 옮겨야하는상태입니다.

    대략 5대정도를 추가로 더 늘려야하는 입장이고 한달 AWS 예상 비용은 대략 30만원이 넘을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예상은 월 20만원정도로 생각했었는데… 스냅샷이랑 이것저것 뜻하지 않는 비용산출이 많더군요.

    기존 서울에서 운영중이던 IDC 두곳의 비용을 대신하고 티온 사무실에서 운영하던 서버 비용이 한달에 100만원정도 지출된것을 감안하면 70%정도 비용 절감효과가 있습니다.

    서버 사진

    이번에 티온 사무실도 아파트 매입으로 월 임대비가 나가지 않게되어 조금 더 절감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전용회선은 갯수를 절반으로 줄일 계획이고 그렇게 되면 통신비만 매월 10만원이 또 절감하게되어 50%의 지출비용이 사라지게됩니다. 그동안 고정아이피도 월 5~7만원정도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 AWS 덕분에 이 고정 아이피도 월 1만원에 해결할수 있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서버1u

    2016년도에 스마일서브에서 제온서버를 이용했었는데 출고하면서 8코어 XEON CPU와 1U 서버와 2TB SSD를 획득하게되었네요.

    RDBS 하나 만들까합니다. 수집해야할 데이터도 이제는 1000억단위로 증가하게되어 2TB도 부족할듯합니다.

    [자동스크롤]150,500[/자동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