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하기 위한 준비물을 살펴보고 이번기회에 홈서버 하나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맨
    아파트 개인서버

    집에서 운영 가능한 젠서버, ESXi 서버,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현재 만들어 구축하고 있으며

    아파트 2채를 구입하여 그곳에 각각 서버를 배치하여 실제 IDC처럼 운영하고 있습니다.

    AWS (아마존 웹서버 인스턴스는 라이트세일1개를 포함하여 총 9개를 운영)운영과 수집을 위한 다수의 서버를 매일마다 실행중입니다.

    2년전에는 코인 채굴이 또 핫하여 1000만원치 정도 채굴기도 사서 돌리고 있는데 어제부터 여름이고해서 모두 꺼놓았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채굴기 케이스는 서버를 장착하기 위해서 주문한 모델이며 서버 메인보드가 대부분 많이 크다보니

    일반 케이스에 잘 들어가지 않아 보시는 분들마다 채굴기 아니냐고 오해도 받습니다 ㅎㅎ

    코인 채굴기는 다른 방에서 돌아가는데 지금은 전기요금수준밖에 안나오고해서 신경도 끌겸 그냥 모두 꺼놓았습니다.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홈서버 만들때 준비물)

    1. 개인 서버 구축 사용할 PC

    (사양이 높을수록 좋지만 단순 개발서버로는 셀러론도 가능)

    개인 서버 구축

    CPU, 메모리, SSD,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 등등 어떠한 제품을 써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그냥 셀러론급에 메모리 8기가 정도 달고 SSD 128기가만 장착한 내장형 그래픽으로도 개인 웹서버 정도는 충분히 돌릴수 있습니다.

    개인 서버 구축 장비

    지금 보고 계신 이러한 워드프레스 정도를 집 서버로 돌리기엔 셀러론급이면 충분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게임서버라던지 빅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실서버 운영으로 다수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CPU 코어가 높은 제온 등을 사용하겠지만 그렇지 않고서는 i7 정도만 되더라도 왠만한 중소기업 회사운영도 가능할수 있습니다.

    메모리야 많을수록 좋지만 8기가에서 16기가면 딱 적당하고… 이또한 사람들이 많을수록 부하가 걸리므로 개인적인 홈페이지는 8기가도 할 만합니다.

    SSD는 홈페이지에 사진이나 영상 미디어, 파일 자료 등 용량이 큰 파일을 FTP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테라급이 필요하겠지만…

    단순히 워드프레스 하나만 단독으로 구동시킨다면 128GB 하나로도 충분합니다. 

    저도 개인서버로 운영하는 워드프레스는 10GB정도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메모리, SSD는 향후에도 언제든지 추가할수 있기때문에 처음에 고민대상이 안닙니다.

    그냥 집에서 놀고 있는 PC로 서버 설치해보는것이 가장 좋으며 한대 마련해야한다면 개인적으로 20~30만원선으로 테스트용서버 만들어보세요.

    제온 서버 만들기
    서버 듀얼 cpu

    왼쪽은 제온 cpu 1 이용해서 ESXi 서버를 운영중이며 오른쪽 사진은 제온 cpu 2개를 이용하여 ESXi 서버를 운영합니다.

    아파트 전기는 일반전기로 돌리고 한전에서 검사 나와서 서버실인거 확인하고 두채 모두 일반전기로 서버실 운영중입니다.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집서버를 저처럼 운영하시는 분들 드물지 싶습니다.

    아파트 두채를 통으로 일반전기 바꾸고 서버실로 꾸미고 …이것도 부족하여 또 3번째 아파트를 구입하여 서버실을 만들 계획중입니다.

    2. ISP 인터넷 회선 신청

    KT, SKT, LGT 그 이외에도 지방케이블 등이 있습니다.

    지방 케이블은 업로드 속도가 너무 느려서 왠만해선 권해드리지 않으며 양방향 속도가 빠른 KT같은 ISP업체를 선호합니다.

    보통 100M 급만 하더라도 홈페이지 운영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파일 전송이라던지 외부에서 답답하지 않을수준으로는 500M 급은 사용해야합니다.

    서버 IDC를 이용하기에 회선비용이 금액적으로 부담스러울 경우에는 집에서 100M급으로 서버를 운영도 할만합니다.

    ISP 업체 3사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저는 KT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이유는 딱히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여러가지 서버 운영에 있어서 장점이 많은업체입니다.

    3.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 서버 또는 윈도우 서버) 선택

    보통 리눅스 서버를 선택합니다. 윈도우 서버는 라이선스로 인해서 개인이 운영하기에는 어렵습니다.

    가끔 해적판이나 크랙등을 이용하시는 분들 계실듯합니다. 이 방법은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며 불법적인 요소로 인해서

    이후에 알지 못하는 일들로 어려움을 당할수 있기에 필히 정식라이선스로 등록된 서버로만 사용해야합니다.

    서버는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버리는게 아닌 대부분 장기 1년~10년 이상 사용하기때문에 라이선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개인들은 무료로 제공하는 리눅스 기반으로 서버를 만들곤합니다.

    리눅스를 바로 설치하기 어렵다면 VMWARE같은 가상윈도우를 만들 수 있는 툴을 이용하여 설치를 시도해보세요

    개인 서버 구축

    저도 보통 CentOS 위주로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 위에 MySQL 기반으로 사용중입니다.

    윈도우가 UI가 제공되어서 좋을수 있으나 그로인한 퍼포먼스를 OS쪽에 뺏기게 되어 단순 콘솔기반의 리눅스보다 퍼포먼스가 낮다 보시면됩니다.

    CentOS, 우분투 같은 이름있는 리눅스를 설치하여 그 위에 아파치 서버와 php모듈을 설치하여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 할 수 있습니다.

    4. 개인 서버 구축 HUB 및 네트워크 장비

    공유기는 집에 있는 공유기를 사용하면 되지만 허브같은 경우에는 KT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나 다른 업체에서는 확인을 해야합니다.

    허브와 공유기의 차이라면 IP를 맥 단위로 쪼개냐 아니면 DHCP 기능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로 다수의 아이피를 만드냐 정도로 보면됩니다.

    이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없다면 그냥 단순하게 IPTIME의 허브를 하나 구입하여서 서버에 연결하고 다른 한 선은 기존 공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됩니다.

    이렇게 해야지만 IP관리가 되며 만약 이렇게 하지 않고 공유기에 포트를 통해서 열고 닫고를 할경우 공유기에도 부하가 많이 가지만

    그보다 아이피에 대한 개념을 잡기가 어렵고 향후 2대의 서버를 운영할 경우 아이피를 2개 얻을 수 없으므로 쿠팡이나 이런곳 가셔서

    꼭 허브 4포트짜리 하나를 구입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 네트워크 어댑터

    그 이외에도 1G지원 인텔용 랜카드를 하나 따로 구입해놓고 ESXi 같은 서버를 운영 할 수도 있습니다.

    준비물이 준비가 되었다면…

    이제 서버를 각 상황에 맞게끔 설치를 하면됩니다.

    보통 집에서 웹서버 운영 많이 하시죠?

    준비물 들고 센트OS나 우분트 리눅스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다음 순서는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서

    yum install httpd
    
    yum install php
    
    yum install mariadb

    이렇게 입력하면 웹서버가 만들어지게됩니다.

    보고 따라하면 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 만들때 비용은 대부분 갖고 계신 PC로 만들때에는 거의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전기요금은 제가 제온 서버 1대를 24시간 한달 켜놓으면 한달에 1만원정도 나오는 수준입니다.

    100kw 정도라고 보시면 되고요 가정요금은 누진요금제로 인해서 조금 더 커질수 있으니 그부분만 확인하면됩니다.

    그외 통신비 3만원 (500메가로 할 경우) 정도랑 전기1만원…. 

    그리고 30만원짜리 셀러론 PC 한대면 운영할 수 있습니다.

    게임서버도 비슷하며 조금 사양높이면 i5 정도에 램 32기가정도만 올리셔도 됩니다.

    개인 서버 구축 사례

    개인 서버 구축 비교

    AWS랑 비교하면 비용이 엄청 저렴하죠

    제가 AWS 한달에 25만원~35만원씩 지출했는데 그에 비하면 많이 적습니다.

    다만 저는 아파트 2채로 운영하다보니 기본 전기요금 3만원 *2 + 추가 서버만큼 개당 1만원씩 나가고요

    그리고 아파트 관리비도 각각 빠지고 또 회선 3개 총 15만원이 빠집니다.

    뭐 이것저것 다 해서 AWS 보다 더 나가긴합니다 ㅎㅎ

    AWS랑 개인 서버 비용 다 합치면 대략 월 100만원 정도 고정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서버 만들어보세요.

    감사합니다.

  •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Synology ds220j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ds220j 흰색

    개인 NAS 서버 구축하실분들은 알아야 할 몇가지 사항이 있는데 혹시 알고 계신가요?

    중요한 정보를 알려드릴테니 정독으로 천천히 읽어보시고 필요하신분들은 아래 쿠팡에서 구입하시면 되십니다.

    외장하드, 온라인 웹하드, 안전한 나만의 클라우드 하나정도 갖고 싶다면 오늘 이 글은 너무 중요한 글이 되실겁니다.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를 구입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개인 나스를 저렴한 금액에 구입했으면 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어제(2021년 10월 29일) 저희 교회 목사님께서 저에게 나스 하나를 구입하고 싶다며 어떤 브랜드, 어떤 모델, 몇테라의 하드를 구입해야할지 물으셨습니다.

    일단 저는 예산부터 질문을 드릴수 밖에 없었습니다.

    사진찍어놓은게 나스에서 찾아야하니 이것도 참 난감하네요 ㅎㅎ

    나중에 찍을때 20장~50장씩 찍어놓고 찾기 쉽게 해야할듯합니다.

    결국 지역별로 검색해서 사무실 지역에서 하나 겨우 건졌습니다.

    예전에 사무실은 또 다른 지역이라 집이랑 겹치더군요.

    제가 사용하는 나스는 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DS918+ 모델에 8TB * 4 (24TB)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구입하려면 대략 150만원 정도의 금액이 들어갑니다.

    개인 나스를 구입하기 위해서 이렇게 큰 비용을 지출하기엔 대부분 무리가 있으실겁니다.

    보통 직장인, 학생 등 일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모델을 굳이 구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금액이 높든 낮든 상관없이 모든 유틸리티를 사용할수 있기때문에 낮은 금액대의 나스를 구입하시더라도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얼마까지 구입할수 있는지 예산을 먼저 알아야합니다.

    그 예산에 맞춰서 이미 나스 모델과 하드 용량이 정해져있기때문입니다.

    저희 목사님의 경우에는 50만원정도의 예산을 제안해드렸습니다.

    (3일걸려서 도착했습니다) Synology ds220j

    50만원 다음으로는 대략 70만원 이렇게 갑자기 20만원씩 확 올라가게됩니다.

    모델은 같지만 하드용량이 4TB에서 8TB로 늘어나기때문이죠.

    시놀로지 나스 서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

    시놀로지 나스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은 DS120j 모델을 구입하면됩니다.

    [a]나스ds120j[/a]

    시놀로지 나스 DS 모델 서버 만드실분 클릭해서 쿠팡에서 구입하세요

    하드는 지금 갖고 계신 하드 아무꺼나 1TB이상 꽂으시면 온라인 1TB 나만의 개인나스 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새로운 하드를 구입해서 나도 2TB, 4TB 혹은 8TB 운영해보고 싶다면 10만원~20만원 정도 더 추가된다고 보면됩니다.

    대부분 집에 사용중인 외장하드 3.5인치 하나 정도 있으시죠? 그거 꽂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스 ds220j
    나스 4TB 하드

    생각해보니… 저도 집에 8TB 한개가 놀고 있는데… 이 모델 하나 더 구입해서 개인서버 하나 더 만들고 싶어지네요.

    최근에 이메일 서버를 하나 더 만들고 싶었는데… 14만5천원이면… 지르고 싶어지네요.

    ※ 8TB, 10TB, 12TB, 14TB, 16TB 대용량은 아마존에서 구입해야합니다.

    개인 NAS 서버 구축 할때 꼭 알고 있어야 할 몇가지 사항

    1. 어떤 모델명의 나스를 구입해야하는가? DS118, DS220j, DS220+, DS918+, DS920+ 등등

    2. 내가 사용하는 용도는 어느 용도인가? 자료 동기화, 자료 백업, 사진 클라우드, 이메일 서버운영,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운영 등등

    3. 나스 예산은 얼마인가? 30만원,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등등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 구축을 하시는 분들이 대상입니다.

    다른 나스 모델을 구입하셔도 되지만 제가 특별히 시놀로지만을 강조하는 이유는 몇가지 있습니다.

    UI가 화려한 다양한 유틸리티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솔찍히 저도 다 사용못할정도입니다.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이 모든 서비스를 다 이용하기란 어렵죠.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사용하면됩니다.

    모델명에 따라서 유틸리티 서비스 제한이 없습니다. 이게 시놀로지 나스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럼 모두 가장 저렴한 모델을 구입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하드를 넣을 수 있는 BAY 갯수라던지 CPU성능이라던지 RAM용량 등등이 시놀로지 나스의 가격을 대부분 차지합니다.

    1베이 2베이 짜리에 아무리 용량이 큰 16TB를 꽂는들 제가 사용하는 24TB를 넘을수 없기때문이죠.

    저도 4베이짜리 모델이기에 16TB를 4개 꽂아서 업그레이드 해버리면 순식간에 64TB 용량의 서버를 만들수 있습니다.

    지금 24테라 용량도 거의 다 사용해 가는데… (대략 3년정도 걸린듯합니다)

    대부분 유튜브 영상촬영으로 인해서 동영상이 차지합니다.

    유튜버라던지 영상을 다루시는분들이라면 나스 용량이 클수록 유리하실테니 4베이에 16테라꽂기보다는 8베이에 16테라 꽂으시는게

    훨씬 더 유리하게되는겁니다.

    개인용 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DS120j (1BAY) RAM 512MB - 145,000원
    DS220j (2BAY) RAM 512MB - 246,000원

    기업용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금액은 올라갑니다) 2021년 10월 30일 현재 가격

    Synology ds220j
    DS220+ (2BAY) RAM 2GB - 436,000원
    DS720+  (2BAY) RAM 2GB - 582,000원
    DS920+ (4BAY) RAM 4GB - 692,000원
    DS1520+ (5BAY) RAM 8GB - 974,000원
    DS1621+ (6BAY) RAM 4GB - 1,310,000원
    DS1821+ (8BAY) RAM 4GB - 1,455,000원

    가격대별 나스 모델

    15만원대 (DS120j 모델 + 집에서 사용하는 HDD)

    [a]나스ds120j[/a]

    개인나스를 구축하실때에는 DS120j 모델에 원하시는 수준의 하드용량을 구입하시면됩니다.

    하드는 집에 사용중인 1TB 라던지 남아돌고 있는 하드를 구입하시면됩니다.

    메모리가 512MB라서 실제 사진 변환이라던지 인덱싱할때 시간이 더 많이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저렴한 금액대로 나스를 하나 만들수 있고 외부에서 언제든지 자료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괜찮은 모델이죠.

    30만원대 (DS120j 모델 + 2TB, 4TB)

    [a]나스ds120j[/a]

    30만원대라고해서 나스 모델이 바뀌진 않습니다.

    DS220j 모델 + 1TB *2개 장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용량이 훨씬 많이 줄어들게되죠.

    15만원대와 비슷하게 안정성보다는 용량위주의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아도 될 자료들 위주로 관리하실때 좋은 전략입니다.

    2베이로 올리는 순간 25만원정도의 나스 비용이 발생하므로 구입 가능한 하드용량이 줄어들게되죠.

    30만원대에는 그냥 ds120j 모델과 2TB 또는 4TB 하나 꽂아서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5만원~30만원대 나스를 구입하신분들은 갑작스럽게 하드가 깨지거나 에러나는 경우를 대비할수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저렴한 금액으로 뭔가 사진 클라우드라던지 개인 서버를 집에서 운영해볼수 있다는 경험정도로 사용해 볼만 합니다.

    이메일 서버가 필요한데 자료는 오랫동안 보관할 필요가 없다~ 이럴때에도 20만원대로 구성하면 좋죠.

    DS112j + 2TB 이정도면 멋진 이메일 서버가 됩니다.

    50만원대 (DS220j 모델 + 4TB *2)

    [a]나스ds220j[/a]

    이때에는 모델이 2베이 상품을 구입 할 수 있습니다.

    30만원대 상품과 용량적인 부분에서는 큰 차이는 없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때부터는 레이드(RAID)구성으로 가야하기때문에 하드 1개를 백업용으로 사용해야합니다.

    30만원대와 큰 차이라면 하드 한개가 도중에 날라가더라도 남은 1개가 버티면서 자료를 안전하게 계속 유지해나갈수 있습니다.

    언제 하드가 날라갈지 모르는 불안감을 갖고는 있지만 사실 하드가 그리 쉽게 날라가진않습니다.

    저도 지금 3년 넘도록 5개의 8TB가 단 한개도 날라가지 않았습니다.

    70만원대 (DS220+ 모델 + 4TB*2)

    [a]나스ds220+[/a]

    50만원대 나스환경과 70만원대도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용량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으며 50만원대에 하드를 2배로 늘려서 70만원대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지금처럼 모델을 한단계 올려서 성능이 조금 더 높다보니 모든 면에서 빨라집니다.

    이 모델은 메모리가 일단 2GB 이며 모든 성능이 50만원대보다 한단계가 높습니다.

    소규모 기업용으로 저렴하게 사용하기에도 좋은 모델입니다.

    DS220j 모델보다 사진 클라우드의 변환속도가 빨라지고 문서 정렬등등 색인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는 수준입니다.

    저는 70만원 금액대에 나스를 운영하신다면 50만원대 나스모델에 하드만 2배로 늘려서 8TB 사용하시는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150만원대 (DS920+ 모델 + 14TB*4 아마존해외직구)

    [a]시놀로지나스[/a]

    이 모델은 제가 사용하는 모델과 매우 비슷합니다.

    제가 2018년도에 구입했기때문에 ds918+모델을 사용하는것이고요. 이 모델은 918+ 후속 모델이며 여러모로 성능이 좋아진 모델입니다.

    보통 소규모 기업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이 다음모델부터는 금액이 백단위로 올라가기때문에 4베이로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싶은 분들이 사용하는듯합니다.

    저도 처음에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2베이로 할지 4베이로 할지 4베이 중에서도 조금 낮은 모델을 사용할지 등등….

    제가 918+모델을 구입한 이후로 지금까지 매우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었고 성능이 느리다거나 사용중에 에러가 난다는 등

    잘 못느꼈기때문에 앞으로 개인 1인 사업자 대표님들이 기업용으로 쓸만한 모델을 권해달라고 한다면 전 이 모델을 세팅해드릴듯합니다.

    그리고 저처럼 8TB를 4개 꽂아 사용하시면 1개는 백업용으로 사용되고 3개 즉 24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가성비가 12TB에 있다보니 12TB 4개를 구입하시면 150만원대에 만드실수 있습니다.

    DS뒤의 숫자는 보통 베이스와 년도라고 보시면됩니다.

    9라고해서 9개는 아니고요.

    9는 4베이 제품을 뜻합니다.

    20은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 뜻입니다.

    1520+ 5베이 제품이고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것이죠.

    1621+  6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1821+ 8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최신 출시 제품들이 CPU성능이라던지 메모리 성능이 그당시 모델로 출시되어 더 유리한부분은 있습니다.

    이 글이 만약 시간이 지나더라도 DS918+와 DS920+ 를 구입하고 싶다면

    지금 년도를 확인하셔서 9시리즈를 구입하시면 딱 좋으실듯합니다.

    2023년도에 신모델이 나왔다면 DS923+ 모델이겠죠!

    이상 가격대별로 어떤 나스모델과 하드용량을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알려드렸습니다.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서버 결론

    개인사용자

    싼맛에 이런 신세계가 있구나 그리고 중요한 자료가 아닌 언제든지 날려도 되지만 잠시 자료를 모아야 한다면 DS120j 모델을 사용

    나는 안정적이고 백업 위주로 하실려면 DS220j 이상 모델을 구입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30~50만원정도면 개인 나스 서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50만원정도 나스 비용 생각하시고 구입하시면 개인에게는 딱 좋습니다.

    기업사용자

    (작은기업입니다. 저처럼 1인기업이나 5인이하 소규모입니다)

    그냥 DS920+ 처럼 9시리즈로 가시기 바랍니다.

    하드는 가성비 따지고 해외직구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14TB이니깐 아마존에서 구입하셔서 설치하면됩니다.

    150만원~200만원 정도 생각하시고 나스 구축하시면됩니다.


    아래 사진은 올해 8월 한참 더울때 사진이 저장되어져있는건데….

    제 918+ 나스에 올라온 사진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뭐가 이상한지 한번 맞춰보세요~

    재미있고 소중한 나의 사진들 추억들, 에피소드를 잘 지켜야합니다.

    이제 랜섬웨어라던지 하드깨짐현상에 의해서 날리는 불상사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3년전에 하드 깨져서 여행 사진, 동영상 싹 날리면서 뒤늦게 깨달은게 많습니다.

    무조건 소중한 내 자산은 내가 지켜야한다!

    감사합니다.

  • 시놀로지 포토 얼굴인식 이름으로 사진 찾기

    시놀로지 포토 얼굴인식 이름으로 사진 찾기

    시놀로지 포토 기능중에 얼굴인식 하여 이름으로 사진 찾기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서 정말 재미있는 나만의 개인 서버 시스템을 만들수 있습니다.

    바로 가족들 사진들을 몽땅 모아놓고 각 이름별로 찍은 모든 사진들을 구분 할 수 있다는것입니다.

     

    위의 인물 사진들은 제가 그동안 촬영해온 스마트폰 속에 들어 있는 인물입니다.

    저를 포함한 저희 가족과 그리고 친구, 지인들 모두~ 이곳에서 검색 할 수 있습니다.

    장소 검색과 사물 검색도 되지만 오늘 알려드릴 부분은 인물 검색에 대한 부분입니다.

     

    Synology Phots 기능으로는 사진, 앨범, 공유, 검색 이렇게 나눌수 있습니다.

    검색 방법으로는 사람 이름 검색, 장소 이름 검색, 태그 검색, 그리고 사물 등 관련 이름을 검색하면 검색이 됩니다.

     

    사람 인물 검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물검색으로 분류된 사진들에 한명한명 이름을 부여해야합니다.

    아래 보시는것처럼 인물 사진중에 제가 여러사진으로 분류되어 나옵니다.

    아래는 8개로 분류되었지만 실제로는 10개 이상 분류되어져있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모자를 쓰고 있거나, 나이가 들어 점점 얼굴형태가 바뀌었거나, 사진이 각도가 돌아갔거나, 웃거나, 마스크를 착용했거나, 안경을 착용하고 안하고 차이일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여러가지 상황을 Ai 인공지능이 해결하기에는 아직 벅찬듯합니다.

    이를 위해 [ 누구입니까? ] 라는 항목을 만들어 강제로 [ 문호영 ] 이라고 넣어주면됩니다.

     

    그리고 2번이상 겹치는 이름(동명인)에 대해서 병합할것인지도 물어보게됩니다.

    만약 여러개로 이름이 나뉘어져있다면 모두 마우스를 각각 클릭하셔서 병합하면됩니다.

     

    이렇게 병합을 하고나면 [ 문호영 ] 이라고 검색할 경우 제 사진만 분류되어 나오게됩니다.

    정말 편합니다.

    물론 저 혼자만 나온 사진이 아닌 제가 포함된 모든 사진들이 나오는것입니다.

    자! 어떠한가요? 인물검색 시놀로지 나스 포토 기능 하나로 이러한 것들을 누릴수 있습니다.

     

    이게 왜 편하냐하면…. 지금 당장은 내 사진과 가족사진에 대한 구분이 필요없으실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추억과 자신만의 사진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는 날이 오게됩니다.

    그날이 저는 이미 지금입니다.

    제 사진을 사용하여 마케팅도 해야하고 브랜드 사진에 활용도 해야하다보니 그동안 찍어온 사진을 찾아야합니다.

     

    암튼 필요한 날들이 다가오게될겁니다.

    여러분들의 자녀가 성장했을때 그 성장 일기를 년도별로 포토 앨범 책으로 만든다거나 영상을 만들고 싶을때

    당장 이런 기능이 얼마나 좋은지 알게됩니다.

     

    단순 추억용도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인물검색뿐만 아닌 사물검색, 장소검색, 태그검색을 할 수 있다보니 사진을 잘 정리하여 마케팅 용도로 사용하실수도 있습니다.

    가령 내가 운영하는 업체가 100개 업체가 되는데, 각 업체별로 사진들을 취합하고 싶고 정리하고 싶을때!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실껀가요?

    각 지점 업체대표님들에게 사진 모두 찍어서 각각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하고 취합하실건가요?

    아니면 저처럼 그냥 시놀로지 포토 앱 설치해놓고 마구마구 ~ 찍어만 주세요 하고 자동으로 필터링 되도록 관리하실건가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앞선 대표님들께서 선택사항인것으로 보입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기업용으로는 아래 제품 918+, 920+ 이러한 모델을 구입하시면됩니다.

    920모델이 아무래도 신형이니 몇마원 더 비싸더라도 920모델구입하시는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18년도에 구입을 했기에 918+모델을 사용중입니다. 만약 지금 구입한다면 저도 920+모델을 구입합니다.

     

    [a]시놀로지나스[/a]

     

    이 글이 마케팅 뿐만 아니라 가족 사진 저장 관리에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나스 서버 구축 시놀로지 나스 ds918+ ds920+ 어느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나스 서버 구축 시놀로지 나스 ds918+ ds920+ 어느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시놀로지 나스 DS918+ 모델을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용량은 8TB 총 4개를 꽂아 24TB 세팅을 하였습니다.

    제가 구입한 곳은 쿠팡과 아마존입니다. 쿠팡에서 나스 구입하고 아마존에서 하드 8테라 4개 샀습니다.

    [a]시놀로지나스[/a]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DS918+모델이 DS920+모델로 업그레이드가 된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DS918+ 모델의 가격과 DS920+ 모델의 가격이 거의 비슷하고 4BAY (하드 4개 장착) 하드웨어 성능만 과거 2년보다 더 좋아졌으니…

    결국 같은 라인으로 보이는것이 제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실제 맞을수도 있고요 ㅎㅎ

    지금 설치되어져 있는 장소는 티온 칠곡 HUB 입니다.

    아파트 사무실이구요. 사무실이 아파트라보니 층고가 낮습니다.

    1.8m 선반 가장 위에 올려놓으니 천장에 닿일랑 말랑 합니다.

     

    제가 구입한 모델은 DS918+ 모델입니다.

    18년도 19년도 20년도 초까지 저에게 어떤 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라고 물으면 저는 당연히 기업에서 사용하시는거라면 DS918+ 모델을 권해드렸습니다.

    지금 2021년도에서는 위의 두 모델중 어느것을 권하냐 물으면 당연히 저는 DS920+ 모델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저도 새로 또 구입한다면 당연히 지금 현재로는 DS920+ 모델을 구입해서 하드 장착을 할듯합니다.

     

     

    지금 인터넷 500M 회선에 연결해 놓은상태이며 이정도 속도면 왠만해선 업로드 다운로드가 빠릅니다.

    집에서도 500M를 사용하다보니 보통 업/다운 속도가 50Mb/s 정도 속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1기가 정도되는거는 초당 50메가일경우 10초에 500메가니깐 20초정도안에 다운 받거나 업로드합니다.

    FTP 를 이용하기때문에 속도는 엄청나죠.

    관련해서는 제가 나중에 시놀로지 나스 세팅방법 응용 프로그램, 개인 나스 만드는 법 관련해서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글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시놀로지 나스 DS918+모델과 DS920+ 모델중 어느것을 사야할지 고민하고 계신분들을 위해!!

    제가 DS918+모델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그보다 2년후에 만들어진 DS920+ 모델을 권해드리는것입니다.

     

    구입은 각자 알아서 구입하셔도 되지만 혹시라도 제가 구입한 모델과 동일한 상품을 구입하시려면 아래 쿠팡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a]시놀로지나스[/a]

     

    하드는 8TB가 현재 아마존에서 가장 가성비가 좋습니다. 4TB도 계산해보고 괜찮다 싶으면 구입해도 됩니다.

    한국은 아직까지 많이 비싸기에 금액 잘 확인하셔서 구입해야합니다.

     

    혹시 개인적으로 업체나 기업이 아닌 지극히 집에서 혼자 쓰실분들은 DS220 이러한 모델을 구입하셔도 쓸만합니다.

    기능은 대부분 포함되어져있고 하드웨어적인 성능과 하드 장착 갯수 정도만 차이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