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하기 위한 준비물을 살펴보고 이번기회에 홈서버 하나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맨
    아파트 개인서버

    집에서 운영 가능한 젠서버, ESXi 서버,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현재 만들어 구축하고 있으며

    아파트 2채를 구입하여 그곳에 각각 서버를 배치하여 실제 IDC처럼 운영하고 있습니다.

    AWS (아마존 웹서버 인스턴스는 라이트세일1개를 포함하여 총 9개를 운영)운영과 수집을 위한 다수의 서버를 매일마다 실행중입니다.

    2년전에는 코인 채굴이 또 핫하여 1000만원치 정도 채굴기도 사서 돌리고 있는데 어제부터 여름이고해서 모두 꺼놓았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채굴기 케이스는 서버를 장착하기 위해서 주문한 모델이며 서버 메인보드가 대부분 많이 크다보니

    일반 케이스에 잘 들어가지 않아 보시는 분들마다 채굴기 아니냐고 오해도 받습니다 ㅎㅎ

    코인 채굴기는 다른 방에서 돌아가는데 지금은 전기요금수준밖에 안나오고해서 신경도 끌겸 그냥 모두 꺼놓았습니다.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홈서버 만들때 준비물)

    1. 개인 서버 구축 사용할 PC

    (사양이 높을수록 좋지만 단순 개발서버로는 셀러론도 가능)

    개인 서버 구축

    CPU, 메모리, SSD,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 등등 어떠한 제품을 써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그냥 셀러론급에 메모리 8기가 정도 달고 SSD 128기가만 장착한 내장형 그래픽으로도 개인 웹서버 정도는 충분히 돌릴수 있습니다.

    개인 서버 구축 장비

    지금 보고 계신 이러한 워드프레스 정도를 집 서버로 돌리기엔 셀러론급이면 충분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게임서버라던지 빅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실서버 운영으로 다수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CPU 코어가 높은 제온 등을 사용하겠지만 그렇지 않고서는 i7 정도만 되더라도 왠만한 중소기업 회사운영도 가능할수 있습니다.

    메모리야 많을수록 좋지만 8기가에서 16기가면 딱 적당하고… 이또한 사람들이 많을수록 부하가 걸리므로 개인적인 홈페이지는 8기가도 할 만합니다.

    SSD는 홈페이지에 사진이나 영상 미디어, 파일 자료 등 용량이 큰 파일을 FTP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테라급이 필요하겠지만…

    단순히 워드프레스 하나만 단독으로 구동시킨다면 128GB 하나로도 충분합니다. 

    저도 개인서버로 운영하는 워드프레스는 10GB정도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메모리, SSD는 향후에도 언제든지 추가할수 있기때문에 처음에 고민대상이 안닙니다.

    그냥 집에서 놀고 있는 PC로 서버 설치해보는것이 가장 좋으며 한대 마련해야한다면 개인적으로 20~30만원선으로 테스트용서버 만들어보세요.

    제온 서버 만들기
    서버 듀얼 cpu

    왼쪽은 제온 cpu 1 이용해서 ESXi 서버를 운영중이며 오른쪽 사진은 제온 cpu 2개를 이용하여 ESXi 서버를 운영합니다.

    아파트 전기는 일반전기로 돌리고 한전에서 검사 나와서 서버실인거 확인하고 두채 모두 일반전기로 서버실 운영중입니다.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집서버를 저처럼 운영하시는 분들 드물지 싶습니다.

    아파트 두채를 통으로 일반전기 바꾸고 서버실로 꾸미고 …이것도 부족하여 또 3번째 아파트를 구입하여 서버실을 만들 계획중입니다.

    2. ISP 인터넷 회선 신청

    KT, SKT, LGT 그 이외에도 지방케이블 등이 있습니다.

    지방 케이블은 업로드 속도가 너무 느려서 왠만해선 권해드리지 않으며 양방향 속도가 빠른 KT같은 ISP업체를 선호합니다.

    보통 100M 급만 하더라도 홈페이지 운영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파일 전송이라던지 외부에서 답답하지 않을수준으로는 500M 급은 사용해야합니다.

    서버 IDC를 이용하기에 회선비용이 금액적으로 부담스러울 경우에는 집에서 100M급으로 서버를 운영도 할만합니다.

    ISP 업체 3사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저는 KT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이유는 딱히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여러가지 서버 운영에 있어서 장점이 많은업체입니다.

    3.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 서버 또는 윈도우 서버) 선택

    보통 리눅스 서버를 선택합니다. 윈도우 서버는 라이선스로 인해서 개인이 운영하기에는 어렵습니다.

    가끔 해적판이나 크랙등을 이용하시는 분들 계실듯합니다. 이 방법은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며 불법적인 요소로 인해서

    이후에 알지 못하는 일들로 어려움을 당할수 있기에 필히 정식라이선스로 등록된 서버로만 사용해야합니다.

    서버는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버리는게 아닌 대부분 장기 1년~10년 이상 사용하기때문에 라이선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개인들은 무료로 제공하는 리눅스 기반으로 서버를 만들곤합니다.

    리눅스를 바로 설치하기 어렵다면 VMWARE같은 가상윈도우를 만들 수 있는 툴을 이용하여 설치를 시도해보세요

    개인 서버 구축

    저도 보통 CentOS 위주로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 위에 MySQL 기반으로 사용중입니다.

    윈도우가 UI가 제공되어서 좋을수 있으나 그로인한 퍼포먼스를 OS쪽에 뺏기게 되어 단순 콘솔기반의 리눅스보다 퍼포먼스가 낮다 보시면됩니다.

    CentOS, 우분투 같은 이름있는 리눅스를 설치하여 그 위에 아파치 서버와 php모듈을 설치하여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 할 수 있습니다.

    4. 개인 서버 구축 HUB 및 네트워크 장비

    공유기는 집에 있는 공유기를 사용하면 되지만 허브같은 경우에는 KT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나 다른 업체에서는 확인을 해야합니다.

    허브와 공유기의 차이라면 IP를 맥 단위로 쪼개냐 아니면 DHCP 기능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로 다수의 아이피를 만드냐 정도로 보면됩니다.

    이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없다면 그냥 단순하게 IPTIME의 허브를 하나 구입하여서 서버에 연결하고 다른 한 선은 기존 공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됩니다.

    이렇게 해야지만 IP관리가 되며 만약 이렇게 하지 않고 공유기에 포트를 통해서 열고 닫고를 할경우 공유기에도 부하가 많이 가지만

    그보다 아이피에 대한 개념을 잡기가 어렵고 향후 2대의 서버를 운영할 경우 아이피를 2개 얻을 수 없으므로 쿠팡이나 이런곳 가셔서

    꼭 허브 4포트짜리 하나를 구입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 네트워크 어댑터

    그 이외에도 1G지원 인텔용 랜카드를 하나 따로 구입해놓고 ESXi 같은 서버를 운영 할 수도 있습니다.

    준비물이 준비가 되었다면…

    이제 서버를 각 상황에 맞게끔 설치를 하면됩니다.

    보통 집에서 웹서버 운영 많이 하시죠?

    준비물 들고 센트OS나 우분트 리눅스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다음 순서는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서

    yum install httpd
    
    yum install php
    
    yum install mariadb

    이렇게 입력하면 웹서버가 만들어지게됩니다.

    보고 따라하면 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 만들때 비용은 대부분 갖고 계신 PC로 만들때에는 거의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전기요금은 제가 제온 서버 1대를 24시간 한달 켜놓으면 한달에 1만원정도 나오는 수준입니다.

    100kw 정도라고 보시면 되고요 가정요금은 누진요금제로 인해서 조금 더 커질수 있으니 그부분만 확인하면됩니다.

    그외 통신비 3만원 (500메가로 할 경우) 정도랑 전기1만원…. 

    그리고 30만원짜리 셀러론 PC 한대면 운영할 수 있습니다.

    게임서버도 비슷하며 조금 사양높이면 i5 정도에 램 32기가정도만 올리셔도 됩니다.

    개인 서버 구축 사례

    개인 서버 구축 비교

    AWS랑 비교하면 비용이 엄청 저렴하죠

    제가 AWS 한달에 25만원~35만원씩 지출했는데 그에 비하면 많이 적습니다.

    다만 저는 아파트 2채로 운영하다보니 기본 전기요금 3만원 *2 + 추가 서버만큼 개당 1만원씩 나가고요

    그리고 아파트 관리비도 각각 빠지고 또 회선 3개 총 15만원이 빠집니다.

    뭐 이것저것 다 해서 AWS 보다 더 나가긴합니다 ㅎㅎ

    AWS랑 개인 서버 비용 다 합치면 대략 월 100만원 정도 고정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서버 만들어보세요.

    감사합니다.

  •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Synology ds220j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ds220j 흰색

    개인 NAS 서버 구축하실분들은 알아야 할 몇가지 사항이 있는데 혹시 알고 계신가요?

    중요한 정보를 알려드릴테니 정독으로 천천히 읽어보시고 필요하신분들은 아래 쿠팡에서 구입하시면 되십니다.

    외장하드, 온라인 웹하드, 안전한 나만의 클라우드 하나정도 갖고 싶다면 오늘 이 글은 너무 중요한 글이 되실겁니다.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를 구입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개인 나스를 저렴한 금액에 구입했으면 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어제(2021년 10월 29일) 저희 교회 목사님께서 저에게 나스 하나를 구입하고 싶다며 어떤 브랜드, 어떤 모델, 몇테라의 하드를 구입해야할지 물으셨습니다.

    일단 저는 예산부터 질문을 드릴수 밖에 없었습니다.

    사진찍어놓은게 나스에서 찾아야하니 이것도 참 난감하네요 ㅎㅎ

    나중에 찍을때 20장~50장씩 찍어놓고 찾기 쉽게 해야할듯합니다.

    결국 지역별로 검색해서 사무실 지역에서 하나 겨우 건졌습니다.

    예전에 사무실은 또 다른 지역이라 집이랑 겹치더군요.

    제가 사용하는 나스는 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DS918+ 모델에 8TB * 4 (24TB)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구입하려면 대략 150만원 정도의 금액이 들어갑니다.

    개인 나스를 구입하기 위해서 이렇게 큰 비용을 지출하기엔 대부분 무리가 있으실겁니다.

    보통 직장인, 학생 등 일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모델을 굳이 구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금액이 높든 낮든 상관없이 모든 유틸리티를 사용할수 있기때문에 낮은 금액대의 나스를 구입하시더라도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얼마까지 구입할수 있는지 예산을 먼저 알아야합니다.

    그 예산에 맞춰서 이미 나스 모델과 하드 용량이 정해져있기때문입니다.

    저희 목사님의 경우에는 50만원정도의 예산을 제안해드렸습니다.

    (3일걸려서 도착했습니다) Synology ds220j

    50만원 다음으로는 대략 70만원 이렇게 갑자기 20만원씩 확 올라가게됩니다.

    모델은 같지만 하드용량이 4TB에서 8TB로 늘어나기때문이죠.

    시놀로지 나스 서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

    시놀로지 나스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은 DS120j 모델을 구입하면됩니다.

    [a]나스ds120j[/a]

    시놀로지 나스 DS 모델 서버 만드실분 클릭해서 쿠팡에서 구입하세요

    하드는 지금 갖고 계신 하드 아무꺼나 1TB이상 꽂으시면 온라인 1TB 나만의 개인나스 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새로운 하드를 구입해서 나도 2TB, 4TB 혹은 8TB 운영해보고 싶다면 10만원~20만원 정도 더 추가된다고 보면됩니다.

    대부분 집에 사용중인 외장하드 3.5인치 하나 정도 있으시죠? 그거 꽂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스 ds220j
    나스 4TB 하드

    생각해보니… 저도 집에 8TB 한개가 놀고 있는데… 이 모델 하나 더 구입해서 개인서버 하나 더 만들고 싶어지네요.

    최근에 이메일 서버를 하나 더 만들고 싶었는데… 14만5천원이면… 지르고 싶어지네요.

    ※ 8TB, 10TB, 12TB, 14TB, 16TB 대용량은 아마존에서 구입해야합니다.

    개인 NAS 서버 구축 할때 꼭 알고 있어야 할 몇가지 사항

    1. 어떤 모델명의 나스를 구입해야하는가? DS118, DS220j, DS220+, DS918+, DS920+ 등등

    2. 내가 사용하는 용도는 어느 용도인가? 자료 동기화, 자료 백업, 사진 클라우드, 이메일 서버운영,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운영 등등

    3. 나스 예산은 얼마인가? 30만원,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등등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 구축을 하시는 분들이 대상입니다.

    다른 나스 모델을 구입하셔도 되지만 제가 특별히 시놀로지만을 강조하는 이유는 몇가지 있습니다.

    UI가 화려한 다양한 유틸리티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솔찍히 저도 다 사용못할정도입니다.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이 모든 서비스를 다 이용하기란 어렵죠.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사용하면됩니다.

    모델명에 따라서 유틸리티 서비스 제한이 없습니다. 이게 시놀로지 나스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럼 모두 가장 저렴한 모델을 구입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하드를 넣을 수 있는 BAY 갯수라던지 CPU성능이라던지 RAM용량 등등이 시놀로지 나스의 가격을 대부분 차지합니다.

    1베이 2베이 짜리에 아무리 용량이 큰 16TB를 꽂는들 제가 사용하는 24TB를 넘을수 없기때문이죠.

    저도 4베이짜리 모델이기에 16TB를 4개 꽂아서 업그레이드 해버리면 순식간에 64TB 용량의 서버를 만들수 있습니다.

    지금 24테라 용량도 거의 다 사용해 가는데… (대략 3년정도 걸린듯합니다)

    대부분 유튜브 영상촬영으로 인해서 동영상이 차지합니다.

    유튜버라던지 영상을 다루시는분들이라면 나스 용량이 클수록 유리하실테니 4베이에 16테라꽂기보다는 8베이에 16테라 꽂으시는게

    훨씬 더 유리하게되는겁니다.

    개인용 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DS120j (1BAY) RAM 512MB - 145,000원
    DS220j (2BAY) RAM 512MB - 246,000원

    기업용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금액은 올라갑니다) 2021년 10월 30일 현재 가격

    Synology ds220j
    DS220+ (2BAY) RAM 2GB - 436,000원
    DS720+  (2BAY) RAM 2GB - 582,000원
    DS920+ (4BAY) RAM 4GB - 692,000원
    DS1520+ (5BAY) RAM 8GB - 974,000원
    DS1621+ (6BAY) RAM 4GB - 1,310,000원
    DS1821+ (8BAY) RAM 4GB - 1,455,000원

    가격대별 나스 모델

    15만원대 (DS120j 모델 + 집에서 사용하는 HDD)

    [a]나스ds120j[/a]

    개인나스를 구축하실때에는 DS120j 모델에 원하시는 수준의 하드용량을 구입하시면됩니다.

    하드는 집에 사용중인 1TB 라던지 남아돌고 있는 하드를 구입하시면됩니다.

    메모리가 512MB라서 실제 사진 변환이라던지 인덱싱할때 시간이 더 많이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저렴한 금액대로 나스를 하나 만들수 있고 외부에서 언제든지 자료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괜찮은 모델이죠.

    30만원대 (DS120j 모델 + 2TB, 4TB)

    [a]나스ds120j[/a]

    30만원대라고해서 나스 모델이 바뀌진 않습니다.

    DS220j 모델 + 1TB *2개 장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용량이 훨씬 많이 줄어들게되죠.

    15만원대와 비슷하게 안정성보다는 용량위주의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아도 될 자료들 위주로 관리하실때 좋은 전략입니다.

    2베이로 올리는 순간 25만원정도의 나스 비용이 발생하므로 구입 가능한 하드용량이 줄어들게되죠.

    30만원대에는 그냥 ds120j 모델과 2TB 또는 4TB 하나 꽂아서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5만원~30만원대 나스를 구입하신분들은 갑작스럽게 하드가 깨지거나 에러나는 경우를 대비할수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저렴한 금액으로 뭔가 사진 클라우드라던지 개인 서버를 집에서 운영해볼수 있다는 경험정도로 사용해 볼만 합니다.

    이메일 서버가 필요한데 자료는 오랫동안 보관할 필요가 없다~ 이럴때에도 20만원대로 구성하면 좋죠.

    DS112j + 2TB 이정도면 멋진 이메일 서버가 됩니다.

    50만원대 (DS220j 모델 + 4TB *2)

    [a]나스ds220j[/a]

    이때에는 모델이 2베이 상품을 구입 할 수 있습니다.

    30만원대 상품과 용량적인 부분에서는 큰 차이는 없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때부터는 레이드(RAID)구성으로 가야하기때문에 하드 1개를 백업용으로 사용해야합니다.

    30만원대와 큰 차이라면 하드 한개가 도중에 날라가더라도 남은 1개가 버티면서 자료를 안전하게 계속 유지해나갈수 있습니다.

    언제 하드가 날라갈지 모르는 불안감을 갖고는 있지만 사실 하드가 그리 쉽게 날라가진않습니다.

    저도 지금 3년 넘도록 5개의 8TB가 단 한개도 날라가지 않았습니다.

    70만원대 (DS220+ 모델 + 4TB*2)

    [a]나스ds220+[/a]

    50만원대 나스환경과 70만원대도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용량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으며 50만원대에 하드를 2배로 늘려서 70만원대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지금처럼 모델을 한단계 올려서 성능이 조금 더 높다보니 모든 면에서 빨라집니다.

    이 모델은 메모리가 일단 2GB 이며 모든 성능이 50만원대보다 한단계가 높습니다.

    소규모 기업용으로 저렴하게 사용하기에도 좋은 모델입니다.

    DS220j 모델보다 사진 클라우드의 변환속도가 빨라지고 문서 정렬등등 색인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는 수준입니다.

    저는 70만원 금액대에 나스를 운영하신다면 50만원대 나스모델에 하드만 2배로 늘려서 8TB 사용하시는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150만원대 (DS920+ 모델 + 14TB*4 아마존해외직구)

    [a]시놀로지나스[/a]

    이 모델은 제가 사용하는 모델과 매우 비슷합니다.

    제가 2018년도에 구입했기때문에 ds918+모델을 사용하는것이고요. 이 모델은 918+ 후속 모델이며 여러모로 성능이 좋아진 모델입니다.

    보통 소규모 기업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이 다음모델부터는 금액이 백단위로 올라가기때문에 4베이로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싶은 분들이 사용하는듯합니다.

    저도 처음에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2베이로 할지 4베이로 할지 4베이 중에서도 조금 낮은 모델을 사용할지 등등….

    제가 918+모델을 구입한 이후로 지금까지 매우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었고 성능이 느리다거나 사용중에 에러가 난다는 등

    잘 못느꼈기때문에 앞으로 개인 1인 사업자 대표님들이 기업용으로 쓸만한 모델을 권해달라고 한다면 전 이 모델을 세팅해드릴듯합니다.

    그리고 저처럼 8TB를 4개 꽂아 사용하시면 1개는 백업용으로 사용되고 3개 즉 24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가성비가 12TB에 있다보니 12TB 4개를 구입하시면 150만원대에 만드실수 있습니다.

    DS뒤의 숫자는 보통 베이스와 년도라고 보시면됩니다.

    9라고해서 9개는 아니고요.

    9는 4베이 제품을 뜻합니다.

    20은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 뜻입니다.

    1520+ 5베이 제품이고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것이죠.

    1621+  6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1821+ 8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최신 출시 제품들이 CPU성능이라던지 메모리 성능이 그당시 모델로 출시되어 더 유리한부분은 있습니다.

    이 글이 만약 시간이 지나더라도 DS918+와 DS920+ 를 구입하고 싶다면

    지금 년도를 확인하셔서 9시리즈를 구입하시면 딱 좋으실듯합니다.

    2023년도에 신모델이 나왔다면 DS923+ 모델이겠죠!

    이상 가격대별로 어떤 나스모델과 하드용량을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알려드렸습니다.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서버 결론

    개인사용자

    싼맛에 이런 신세계가 있구나 그리고 중요한 자료가 아닌 언제든지 날려도 되지만 잠시 자료를 모아야 한다면 DS120j 모델을 사용

    나는 안정적이고 백업 위주로 하실려면 DS220j 이상 모델을 구입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30~50만원정도면 개인 나스 서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50만원정도 나스 비용 생각하시고 구입하시면 개인에게는 딱 좋습니다.

    기업사용자

    (작은기업입니다. 저처럼 1인기업이나 5인이하 소규모입니다)

    그냥 DS920+ 처럼 9시리즈로 가시기 바랍니다.

    하드는 가성비 따지고 해외직구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14TB이니깐 아마존에서 구입하셔서 설치하면됩니다.

    150만원~200만원 정도 생각하시고 나스 구축하시면됩니다.


    아래 사진은 올해 8월 한참 더울때 사진이 저장되어져있는건데….

    제 918+ 나스에 올라온 사진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뭐가 이상한지 한번 맞춰보세요~

    재미있고 소중한 나의 사진들 추억들, 에피소드를 잘 지켜야합니다.

    이제 랜섬웨어라던지 하드깨짐현상에 의해서 날리는 불상사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3년전에 하드 깨져서 여행 사진, 동영상 싹 날리면서 뒤늦게 깨달은게 많습니다.

    무조건 소중한 내 자산은 내가 지켜야한다!

    감사합니다.

  • aws 서버 구축 방법 아마존 웹서버 워드프레스 설치 2부

    aws 서버 구축 방법 아마존 웹서버 워드프레스 설치 2부

    aws 서버 구축 방법

    1부에서 AWS 서버 구축을 스냅샷을 이용하여 빠르게 만들어보았습니다.

    아마 초보분들은 AMI 이미지가 없기때문에 시작조차 할수 없는 글일수도 있습니다.

    이번에 서버를 새로 만들면서 설정값이 더 추가되는 부분이 생겨 스냅샷을 다시 찍었습니다.

    파이썬 자동 재실행 스크립트와 crontab 수정 그리고 새로운 모듈도 설치하였습니다.

    다음번에 서버 만들때에는 지금보다 더 빠른 시간으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만들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서버 만드는 과정에 대한 내용은 이미 제가 리눅스맨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올려놓았기때문에 하나하나 찾아서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1부과정에서는 스냅샷을 이용한 아마존 서버 만들기

    2부과정에서는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접속

    1부과정에서 준비물 중 워드프레스와 phpMyAdmin 툴이 있었습니다.

    이번과정에서는 이 두개를 우선 다운받아 설치부터 하겠습니다.

    제 경우에는 이미 스냅샷에서 httpd 설치와 php설치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심지어 phpmyadmin 까지 설치가 되어져있지만 2021년 1월달 버전이기때문에 최신버전으로 교체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직접 마지막 버전을 다운받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번외이기는 하지만 웹서버가 도중에 다운되지 않도록 파이썬3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해놓을겁니다.

    이를 해두어야지만 갑작스러운 트래픽증가에도 잘 버틸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제일 중요할수도있겠네요)

    아마존 웹서버(AWS)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1. 워드프레스를 다운받습니다.

    wordpress.org 사이트에 가면 워드프레스를 다운받을 수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서버에 이 파일을 올려야하므로 서버에사 바로 다운받도록 합니다.

    wget https://wordpress.org/latest.zip

    다운을 받았다면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압축을 해제해야합니다.

    zip 파일이므로 unzip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unzip lastest.zip

    압축이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wordpress 폴더가 만들어졌습니다.

    나중에 chown 명령어로 root 대신 apache 계정으로 변경하겠지만 그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리눅스맨 다른 문서에 이미 관련하여 내용을 올려놓았습니다.

    vHost를 위해서 폴더명도 따로 변경되니 그점도 확인해야합니다.

    2. phpMyAdmin을 다운받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바로 서버에서 다운받으세요

    wget https://files.phpmyadmin.net/phpMyAdmin/5.1.1/phpMyAdmin-5.1.1-all-languages.zip

    역시 zip 파일로 되어져있어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축을 풀면됩니다.

    압축을 풀면 폴더가 하나 만들어지는데 나중에 이 또한 phpMyAdmin 이런형식으로 자신만의 이름으로 vHost에 등록하면됩니다. (생략)

    3. vHost 등록합니다.

    구입한 도메인을 서버에 포워딩 걸도록 합니다.

    이부분은 각 도메인 업체에 웹 DNS 같은 부가서비스 항목으로 제공하기때문에 도메인 업체마다 참고하셔서 등록해야합니다.

    아래 내용을 자신의 홈페이지 도메인에 맞게끔 넣어야합니다.

    vi /etc/httpd/conf/httpd.conf
    
    <VirtualHost *:80>
    ServerAdmin 이메일주소@이메일.com
    DocumentRoot /홈페이지폴더주소
    ServerName 도메인명
    ServerAlias 서브도메인명
    
    ErrorLog logs/error_log
    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Directory /홈페이지폴더주소>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VirtualHost>

    1부에서도 말씀드렸다싶이 큰 틀 위주로 설명을 빠르게 진행합니다.

    그 이유는 제가 이 글을 작성하면서 실제로 서버구축과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지금 카페에서 서버 구축하면서 글도 함께 작성하는 중입니다. 도중에 스냅샷 만들기 위해서 또 삭제하고 반복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도 빨리 만들어야해서 중간중간 설명까지 다 할수 없어 큰 틀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있는것입니다.

    vhost 등록도 예전에 글로 다 작성해놓았기에 군데군데 필요한 부분들을 리눅스맨 블로그에서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아래 데이터베이스 생성과 워드프레스 설치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메인도 오늘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오늘 글 작성(2021년 10월 12일) 하기 직전에 구입하였습니다.

    지난번에 워드프레스 만들때에는 애드센스 얼마를 벌수 있을까? 하고 막연했는데..

    오늘 만드는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는 글로벌하게 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서비스라서 엄청난 수익으로 늘어날듯합니다.

    아! 그리고 저는 제가 만들 프로그램 중에서 vHost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덕분에 vHost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않고 도메인명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미리 짜여진 스크립트대로 결과물이 만들어집니다.

    암튼 위에 제가 vhost 간단하게 올려놓았으니 그부분이라도 보시고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됩니다.

    4.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vhost가 등록되었고 도메인에 아이피가 포워딩 되었다면 이제 도메인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user와 database를 생성하고 나오면 됩니다.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유저명을 영어로 만들고 아래쪽 동명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모든 권한을 부여. 체크한 다음 생성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까지 만들어집니다.

    호스트명에는 꼭 % 대신 localhost 로 지정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해킹 걱정을해야합니다. 로컬로 바꾸셔도 관리 소홀하면 해킹은 마찬가지긴하지만 그대로 조금 더 안심이 됩니다.

    5. 워드프레스를 설치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는 그냥 프로그램 설치보다 더 쉽습니다.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모든부분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아래처럼 설치 언어를 묻고 진행합니다.

    만약 위의 언어선택이 나오지 않고 아래처럼 나온다면 권한문제입니다.

    Let’s go!

    Database Name 과 Username 그리고 Password를 입력합니다.

    Submit

    아랫부분은 wp-config.php 파일을 아래 내용그대로 복사해서 서버에 입력하라는 이야기입니다.

    Run the installation

    저는 에디트플러스를 이용하여 위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고 다시 실행하였습니다.

    보통 이 부분이 진행되는데 왜 이렇게 뜨냐하면… 권한 지정을 안해주어서 그렇습니다.

    저도 이거 하면서 생각난 부분입니다.

    꼭 워드프레스 복사 하고나서 chown apache.apache -R 워드프레스설치된폴더명 해주시고 또 chmod 이용해서 701 권한도 주어야합니다.

    644 권한인데 그부분도 제 리눅스 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644검색하면 자세히 나온 글이 있습니다.

    업로드한 파일의 퍼미션(권한)을 설정합니다.
    
    파일을 644모드로 변경합니다.
    
     find . -type f -exec chmod 644 {} \; 
    
    폴더를 755모드로 변경합니다. 
    
    find . -type d -exec chmod 755 {} \; 
    
    755로 안될경우 모두 777로 바꾸셔서 업데이트 하시고 다시 기존대로 돌리면됩니다. 
    
    아파치권한으로 모든폴더와 파일을 수정합니다.
    
    chown apache.apache -R /wordpress
    
    
    

    파일명을 수작업으로 변경해주고 다시 Run the installation 눌러주면 다시 언어 선택화면이 나오게됩니다.

    한글로 지정하셔도 되지만 저는 글로벌한 워드프레스를 만들기 위해서 그냥 English 버전으로 했습니다.

    다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하는 분들도 계실테고요 그냥 저처럼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는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이름과 로그인 아이디를 그리고 암호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됩니다.

    이때 Search engine visiblity 라는 항목에 체크를 절대 하면 안됩니다.

    여러분들의 사이트는 이순간부터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이 안되게됩니다.

    암튼 잘 판단하셔서 Install WordPress 클릭하시면됩니다.

    고생하였습니다.

    아래 내용도 보시면 중복되기는 하지만 도움이 되실겁니다.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

    ‘에이~ 이미 웹 전문가니깐 잘하는거잖아요!!’ 그럴수 있습니다.

    어쩌면 맞는말일수도 있고요. 저는 이미 다 알고 하는거라서 쉽고 빠를수 있습니다.

    하지만 잊지마세요!

    저는 지금 이 기록을 여러분들을 위해서 기록 남기는 부분도 있지만 미래에 제가 더 빠른 구축을 하기 위해서 남겨놓는 기록물이라는 사실을요!!

    저도 여러분들처럼 몰라서 웹사이트 검색해가면서 구글 네이버를 뒤져가며 밤을 샌적이 수도없이 많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은 밤을 새가며 힘들게 배우셔야 하는 단계일수도있으니 큰 틀내용으로 마스터 하려하지마시고 내가 이정도 진행과정에 있구나 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여러분들은 그저 제가 이곳저곳 펴저있는 정보를 이렇게 글 하나로 뭉쳐놓아 한눈에 편하게 보실수 있고 따라하실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제가 전문가라서 쉽고 빠르게 한다고 생각하실수 있으니… 받아드리는건 각자의 선택의 몫이라 제가 어찌할수는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분명 도움이 되시는분들은 분명 계실겁니다.  (그게 접니다!! ㅎㅎ)

    6. Python3 자동 부하 자동 재실행 스크립트 설치

    이 부분은 제가 개발한 부분인데 아래 주소를 보시고 따라 하시면됩니다.

    저는 이 모니터링을 만들고 이후로 자동으로 서버가 재실행되면서 손이 많이 가지 않게되었습니다.

    대부분 트래픽이 갑자기 늘어날 경우 서버가 다운되는경우가 많은데…

    이때 잠시 신경 못쓰게되면 장시간동안 서버다운이 이어지게됩니다.

    실전에는 메모리가 85% 를 사용하게되면 아파치서버(httpd)를 재실행하도록 해놓았습니다.

    잠시 테스트를 위해서 15%로 지정하고 돌려보았는데 역시 잘 실행되고 log까지 남겨놓았더군요.

    데몬(crontab)에 1분마다 실행하기 때문에 제가 테스트 하려고 하는 그 짧은 시간에 2번 실행된듯합니다.

    파이썬은 프로그래밍으로 되어져있어서 제가 원하는대로 만들수 있는 장점이 있어 좋더군요.

    7. crontab -e 항목에는 아래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합니다.

    crontab -e
    
    00 03 * * * /root/autoLogsDelete.sh
    */30 * * * * rdate -s time.bora.net
    00 00 * * *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1 * * * * python3 /root/_PYTHON3/memcheck_httpd_restart.py

    아마도 autoLogsDelete.sh 파일과 memcheck_httpd_restart.py 파일은 여러분들이 없을겁니다.

    이 파일은 제가 직접 만들서 사용하고 있는 파일이며 이항목은 빼고 등록해도 됩니다.

    아래 내용을 그대로 따라 입력하면됩니다.

    vi /root/autoLogsDelete.sh
    
    service httpd stop
    find /etc/httpd/logs/ -size +100M -exec rm -rf {} \;
    service httpd start

    파일이 만들어지고 나면 실행을 해야하므로 꼭 chmod 명령어로 701 권한을 주어야합니다.

    chmod 701 /root/autoLogsDelete.sh
  • aws 서버 구축 방법 아마존 웹서버 홈페이지 만들기 1부

    aws 서버 구축 방법 아마존 웹서버 홈페이지 만들기 1부

    AWS 서버 구축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고 구축한 웹서버에 홈페이지 만들기 도전해보겠습니다.

    제가 만드는 AWS 서버 구축 방법은 아마존에 이미 스냅샷(템플릿)으로 만들어놓은 서버 입니다.

    그냥 뚝딱뚝딱 만들어지기때문에 서버가 순식간에 생성됩니다.

    구체적인 순서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큰 흐름만 잘 파악하셔서 진행하시면 누구나 멋진 나만의 홈페이지를 만들수 있을겁니다.

     

    1부과정에서는 스냅샷을 이용한 아마존 서버 만들기까지입니다.

    2부과정에서는 만들어진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접속되도록 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집에 리눅스 서버와 윈도우 서버를 구축한것입니다. )

    (오늘 내용과는 관계는 없으며 채굴기 아닙니다. 듀얼CPU를 사용하는 엄청 큰 메인보드라서 장착할수 있는 곳이 없더군요. )

     

    우선 준비물

    -> AWS 계정에 가입하여 신용카드까지 결제 되도록 세팅이 되어져있어야 합니다. (1부)

    (간혹 무료티어를 이용해서 만들수 없냐고 질문을 많이 하시지만… 가급적이면 돈내고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실력이 향상되실겁니다.

    아마존 무료티어는 유튜브 등 검색하시면 자세히 나와있으니 무료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그쪽으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 phpMyAdmin 파일 다운로드 (2)

    phpmyadmin 파일은 없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만들기 위해서 설치합니다.

    -> 워드프레스 파일다운로드 (2부)

    워드프레스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만들겁니다.

    아마존 웹서버에서 wget 명령어로 다운받을 계획이라 아래 명령어만 따라 입력하면됩니다.

    -> 무슨 주제로 만들지 홈페이지 주제를 머릿속에 구상 (2부)

    제가 만들 홈페이지는 너무 많아서 다 적을수가 없을정도입니다.

    오늘 만들 홈페이지는 블로그 겸 웹사이트 기능을 할 수 있는 멀티 사이트를 만들 계획입니다.

    -> 도메인 구입 (2부)

    주제에 맞는 도메인명을 구입하면 됩니다.

    1년에 1만2천원~3만원 정도로 임대 할수 있습니다.

    구매표현이 더 맞을수 있으나 사실 돈 안내면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으므로 임대개념이 더 맞을겁니다.

     

     

    준비가 되셨다면 이제부터 웹서버를 만들겠습니다.

     

    아마존 전체 서비스를 켜놓고 확인해보면 제가 사용하는 항목은 크게 2가지 입니다.

    컴퓨팅 항목의 EC2 부분과 AWS 비용 관리 항목의 AWS Cost Explorer 부분입니다.

    서버 인스턴스와 그에 대해 돈이 얼마나 지출되었는지 확인하는 정도입니다.

     

    스냅샷을 이용한 AWS 서버 구축 방법

    1. EC2 항목에서 왼쪽 메뉴중 이미지 – AMI 부분을 클릭합니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요.

    아마도 처음 아마존 서버를 만드시는 분들에게는 스냅샷이 없으실겁니다.

    스냅샷은 제가 특정 시각에 서버 전체를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놓은 한 부분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즉, 이미 완벽히 동작하는 서버는 만들어진 상태이고 다음번에 새로 만들기 위해서 이미지화 시켜서 스냅샷으로 보관한것입니다.

     

    2. TION BASIC 이라는 AMI이름을 선택하고 작업 버튼을 눌러 시작하기 클릭합니다.

     

    저도 스냅샷을 만들당시 열심히 아마존 서비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고 싶어 서버 설치만 엄청나게 했습니다.

    컴퓨팅 서버마다 속도도 알고 싶어서 이미지 생성 삭제를 몇번했는지 기억도 안날정도입니다.

    서버 비용때문에 많이 고민하실겁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내가 그 비용에 대한 가치를 모른다는 부분일겁니다.

    그럴땐 그냥 월 2만원정도 내고 써보면서 업그레이드 해도 되니 우선 t3.small 서버를 신청하셔서 진해하면됩니다.

    아래 아마존 웹서버 가격에 대한 리눅스 금액을 제가 정리해놓았으니 한번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지금 보고 계신 이 글이 작성된 워드프레스의 서버가 바로 t3.small 서버입니다.

    하루 방문자 1000명정도 무리없이 운영할수 있습니다.

    amazon aws price for linux

     

    인스턴스 구성에서 종료방지 기능 활성화 항목에 우발적인 종료로부터 보호 항목을 체크하고

    네트워크 항목에서 기본적으로 적용해야할 부분을 추가만 하고 검토 및 시작버튼을 눌렀습니다.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기존 키 페어 선택 또는 새 키 페어 생성 팝업이 뜹니다.

    해당 프라이빗 키 파일에 엑세스 할 수 있으며 이 파일이 없으면 내 인스턴스에 로그인 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항목을 선택하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완료됩니다.

    성공멘트를 확인하였다면 아래처럼 인스턴스 갯수가 추가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탄력적 IP g할당 받고 인스턴스 연결하기

    마지막으로 탄력적 IP 할당을 받아 연결하면 서버는 동작합니다.

    할당된 IPv4 주소와 프라이빗 IP주소가 정상적으로 할당되었는지 확인하고 서버에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AWS 서버 접속 및 서버 상태 확인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해보았습니다.

    처음에 보안으로 설정해놓은 키페어로 인해서 root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우선 ec2-user 로 변경해서 접속하고 su – 명령어로 root로 접속해야합니다.

    저는 이 부분도 까다로워서 바로 root 로 접속하도록 아래 항목을 지워버렸습니다.

     

    vi /root/.ssh/authorized_keys

    지우고 접속하니

     

    df -h 명령어로 SSD 용량을 확인해보니 8GB 용량 확인되었고, free -h 명령어로 메모리를 확인해보니 2G 용량이 확인되었습니다.

    free -h
    
    df -h

     

    리눅스 업데이트가 필요해보여서 yum update 명령어로 업데이트를 하여 최신 보안상태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외부에서 홈페이지 접근이 되어야 하므로 IP 를 이용해서 접속해보았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2021년 1월달에 만든 이미지라서 상당히 오래전에 만들었고.. 또 그사이에 많은 업데이트가 있었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번 서버를 기본으로 또 스냅샷 만들어야겠네요.

    이미지 보관도 하드용량도 트래픽도 모두 돈으로 이어지기때문에 딱 필요한 만큼 만들어놓아야합니다.

     

    1부는 이렇게 마무리하겠습니다.

    2부 내용은 아래 링크 연결해놓았습니다.

    aws 서버 구축 방법 아마존 웹서버 워드프레스 설치 2부

     

    블로그시크릿 회원님들 중에서 아마존 AWS 웹서버 만드실때 궁금하신 부분있으면 톡톡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aws 개인 서버 비용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aws 개인 서버 비용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지금까지 나온 통계를 보았습니다.

    AWS 운영에 도움이되셨으면 합니다.

    아래 보시는것처럼 올해 2021년 1월부터 AWS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준비는 2020년 12월부터 했던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11월 아니면 12월일겁니다.

    그당시 제가 운영하던 서버에 해킹과  보안상의 문제로 아마존을 선택하였습니다.

    가장 좋은 부분은 서버를 제 마음대로 교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맘에 듭니다.

     

    5월까지 꾸준히 AWS 아마존 웹서비스 과금 증가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워드프레스 중에서 방문자가 많이 오는게 몇개 있는데 그 사이트의 동시접속자가 많아서 서버부하로 DB가 자꾸 멈추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럴때마다 사양을 1단계씩 증가시키다보니 점점 비용이 많이 나오게 된것입니다.

    현재 워드프레스는 대략 100개정도 운영하고 있고요. 서버는 총 8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중에는 무료 프리티어도 1개가 존재하지만 제가 사용하는 트래픽 양만 보면 프리티어는 하루만에 소진되기도합니다.

    달러로 표기되다보니 정확한 금액이 산출안되실텐데요..

    대략 30만원이내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서버 또 증설해야하니 30~35만원까지 더 증가할수도 있습니다.

    원래 사무실 운영할 당시 전기요금과 사무실 비용을 다 따지면 한달에 유지비용만 100만원이 넘었습니다.

    지금은 사무실을 아파트 구입으로 해결한상태라 월 5만원정도의 관리비와 전기요금 25만원정도가 전부라서 유지비가 확 줄어들었죠.

    그만큼 아마존에 더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t3 계열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워드프레스는 m5 EC2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거 한대가 다른녀석들 전체와 맞먹는금액일겁니다.

    사양이 빵빵하다보니 동시접속자가 많더라도 개인 홈페이지 운영치고는 잘돌아갑니다.

     

    aws 개인서버 비용 얼마정도 나올까싶어 검색하시는 분들 많으실꺼라 봅니다.

    제가 만약 워드프레스 1개 (티스토리 대신 사용할) 운영한다면…

    한달 3-5만원정도 잡으면 완전 널널합니다. (하루 방문자 1만명이상도 거뜬합니다)

    사실 개인서버 구축 용도로 애드센스 솔솔하게 버는 수준이라면 메모리 4GB정도에 듀얼 CPU 정도면 적당합니다.

    이정도 사양이면 t3 미디엄이나 t3a 미디엄 정도 됩니다. 3만원~4만원 정도 되는 금액이죠.

    만약 2기가로 파이썬 명령어로 메모리 관리를 할 수 있다면 한달 2만원선으로도 운영하능해집니다.

    제가 EC2 가격을 정리해놓은 글이 있는데 한번 읽어보시고요.

    파이썬으로 메모리 관리하는 글도 올려놓은게 있습니다.

    아개 글 각각 한번 읽어보세요

    amazon aws price for linux

    아마존 EC2 메모리 부족 아파치 자동 재실행 파이썬 스크립트

     

    감사합니다.

  • 나스 서버 구축 시놀로지 나스 ds918+ ds920+ 어느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나스 서버 구축 시놀로지 나스 ds918+ ds920+ 어느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시놀로지 나스 DS918+ 모델을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용량은 8TB 총 4개를 꽂아 24TB 세팅을 하였습니다.

    제가 구입한 곳은 쿠팡과 아마존입니다. 쿠팡에서 나스 구입하고 아마존에서 하드 8테라 4개 샀습니다.

    [a]시놀로지나스[/a]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DS918+모델이 DS920+모델로 업그레이드가 된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DS918+ 모델의 가격과 DS920+ 모델의 가격이 거의 비슷하고 4BAY (하드 4개 장착) 하드웨어 성능만 과거 2년보다 더 좋아졌으니…

    결국 같은 라인으로 보이는것이 제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실제 맞을수도 있고요 ㅎㅎ

    지금 설치되어져 있는 장소는 티온 칠곡 HUB 입니다.

    아파트 사무실이구요. 사무실이 아파트라보니 층고가 낮습니다.

    1.8m 선반 가장 위에 올려놓으니 천장에 닿일랑 말랑 합니다.

     

    제가 구입한 모델은 DS918+ 모델입니다.

    18년도 19년도 20년도 초까지 저에게 어떤 모델을 구입해야할까요? 라고 물으면 저는 당연히 기업에서 사용하시는거라면 DS918+ 모델을 권해드렸습니다.

    지금 2021년도에서는 위의 두 모델중 어느것을 권하냐 물으면 당연히 저는 DS920+ 모델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저도 새로 또 구입한다면 당연히 지금 현재로는 DS920+ 모델을 구입해서 하드 장착을 할듯합니다.

     

     

    지금 인터넷 500M 회선에 연결해 놓은상태이며 이정도 속도면 왠만해선 업로드 다운로드가 빠릅니다.

    집에서도 500M를 사용하다보니 보통 업/다운 속도가 50Mb/s 정도 속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1기가 정도되는거는 초당 50메가일경우 10초에 500메가니깐 20초정도안에 다운 받거나 업로드합니다.

    FTP 를 이용하기때문에 속도는 엄청나죠.

    관련해서는 제가 나중에 시놀로지 나스 세팅방법 응용 프로그램, 개인 나스 만드는 법 관련해서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글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시놀로지 나스 DS918+모델과 DS920+ 모델중 어느것을 사야할지 고민하고 계신분들을 위해!!

    제가 DS918+모델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그보다 2년후에 만들어진 DS920+ 모델을 권해드리는것입니다.

     

    구입은 각자 알아서 구입하셔도 되지만 혹시라도 제가 구입한 모델과 동일한 상품을 구입하시려면 아래 쿠팡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a]시놀로지나스[/a]

     

    하드는 8TB가 현재 아마존에서 가장 가성비가 좋습니다. 4TB도 계산해보고 괜찮다 싶으면 구입해도 됩니다.

    한국은 아직까지 많이 비싸기에 금액 잘 확인하셔서 구입해야합니다.

     

    혹시 개인적으로 업체나 기업이 아닌 지극히 집에서 혼자 쓰실분들은 DS220 이러한 모델을 구입하셔도 쓸만합니다.

    기능은 대부분 포함되어져있고 하드웨어적인 성능과 하드 장착 갯수 정도만 차이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