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트세일 단점 5가지

    라이트세일 단점 5가지

    라이트세일 단점 5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라이트세일 단점 5가지

    1. 서비스 명령어가 달라서 매번 정리한 글을 봐야합니다.

    sudo /opt/bitnami/ctlscript.sh status
    
    apache already running 
    mariadb already running 
    php-fpm already running
    
    
    #모든 Bitnami 서비스 재시작 명령어
    sudo /opt/bitnami/ctlscript.sh restart

    2. 용량이 고정이고 CPU 성능에 따라 개별 업그레이드가 안됩니다.

    라이트세일 단점

    CPU, 메모리를 올릴려면 볼륨을 스냅샷 떠 놓고 그 스냅샷으로 새로운 더 좋은 사양의 인스턴스로 선택해서 시작해야합니다.

    성능이 더 좋은 방향으로는 쉽게 해결되지만 반대로 성능을 낮출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낮출경우 하드용량이 서로 맞지 않기때문에 오히려 따로 개별 백업을 해야합니다.

    3. 라이트세일 단점 암호가 여기저기 퍼져있습니다.

    라이트세일 단점
    sudo passwd
    #암호 새로 입력 후 
    sudo su -
    
    #root 바로 접속하기 위함
    vi /root/.ssh/authorized_keys
    
    #alias 연결하기 위함 (주석제거)
    vi /root/.bashrc
    
    #SSH Port 22 변경
    vi /etc/ssh/sshd_config
    
    #파일 SSH전송
    sudo apt-get install lrzsz 
    sudo apt-get install python3-distutils
    
    reboot
    
    #wp-cache 설치 후 다시 644 되돌려놓기
    chmod 664 /opt/bitnami/wordpress/wp-config.php
    chmod 644 /opt/bitnami/wordpress/wp-config.php
    #마우스 복사 할 경우 위의 선행작업 후 아래를 복사 붙여넣기 해야합니다.
    
    #phpmyadmin URL
    vi /opt/bitnami/apache/conf/bitnami/phpmyadmin.conf
    
    #암호확인
    cat /home/bitnami/bitnami_application_password
    
    #phpmyadmin, wordpress 로그인 암호 동일합니다
    #유저는 user 입니다
    
    

    4. 대부분 앱들이 이미 기성 세팅값으로 저장되어져있다.

    개인서버구축

    제 경우에는 이미 특정 세팅값으로 설정이 되어 더 좋았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자신의 세팅대로 서버를 설정하시는분들이 많기때문에 이런 부분들로 인해서 매우 단점이 될듯합니다.

    암호를 바꾸면 되지만 심지어 phpmyadmin 까지 암호를 정해놓은 상태입니다.

    5. phpmyadmin 경로를 수정해주어야 합니다.

    Alias /phpmyadmin "/opt/bitnami/phpmyadmin"
    <Directory "/opt/bitnami/phpmyadmin">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Require local
    ErrorDocument 403 "For security reasons, this URL is only accessible using localhost (127.0.0.1) as the hostname."
    # AuthType Basic
    # AuthName phpmyadmin
    # AuthUserFile "/opt/bitnami/apache/users"
    # Require valid-user
    
    
    <IfVersion < 2.3 >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Satisfy all
    </IfVersion>
    <IfVersion >= 2.3>
    Require all granted
    </IfVersion>
    ErrorDocument 403 "For security reasons, this URL is only accesible using localhost (127.0.0.1) as the hostname"
    </Directory>

    라이트세일 구입해서 워드프레스 운영하려했는데 에러나는 부분이 왜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액세스 차단됨: GAinWP님의 요청이 잘못되었습니다

    결국 이 부분은 처음부터 세팅이 안되어서 그냥 방치해놓았습니다.

    라이트세일 저렴한 금액이라 구입하시려는 분들에게 말씀드리자면…

    EC2 서버 운영할 정도 여력되시면 저는 EC2를 권해드립니다.

    개인서버구축

    라이트세일은 요금도 이상하지만 내가 구입한 요금제에서 초과 트래픽이 발생하면 진짜 괴롭습니다.

    EC2는 과금이라도 더 내면서 빠르게 사용할수 있지만 라이트세일은 느린 상태로 메모리 부족현상이 풀리기만 기다려야합니다.

    어쩔땐 10분넘도록 멈출때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홈페이지에 누군가가 접속하면 계속 병목현상이 일어나겠죠 ㅎㅎ

    이상 라이트세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서버구축

    라이트세일 장점이라면 저렴한 금액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3개월 무료 사용가능하니 성능 한번 비교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저도 저렴해서 라이트세일 2개 구입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라이트세일 단점 결론!

    필요한 서버가 임시라면 라이트세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필요한 서버가 학교 수업용이라면 라이트세일 사용해도 됩니다.

    필요한 서버가 테스트 서버라면 라이트세일 사용해도 됩니다.

    필요한 서버가 실서버로 회사에서 운영해야한다면? 무조건 EC2 쓰셔야 합니다.

    개인용으로는 연습하기에 쓸만하나 기업용으로는 EC2를 사용하는것이 더 유리합니다.

    감사합니다.

  •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하기 위한 준비물을 살펴보고 이번기회에 홈서버 하나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맨
    아파트 개인서버

    집에서 운영 가능한 젠서버, ESXi 서버,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현재 만들어 구축하고 있으며

    아파트 2채를 구입하여 그곳에 각각 서버를 배치하여 실제 IDC처럼 운영하고 있습니다.

    AWS (아마존 웹서버 인스턴스는 라이트세일1개를 포함하여 총 9개를 운영)운영과 수집을 위한 다수의 서버를 매일마다 실행중입니다.

    2년전에는 코인 채굴이 또 핫하여 1000만원치 정도 채굴기도 사서 돌리고 있는데 어제부터 여름이고해서 모두 꺼놓았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채굴기 케이스는 서버를 장착하기 위해서 주문한 모델이며 서버 메인보드가 대부분 많이 크다보니

    일반 케이스에 잘 들어가지 않아 보시는 분들마다 채굴기 아니냐고 오해도 받습니다 ㅎㅎ

    코인 채굴기는 다른 방에서 돌아가는데 지금은 전기요금수준밖에 안나오고해서 신경도 끌겸 그냥 모두 꺼놓았습니다.

    집에서 개인 서버 구축 (홈서버 만들때 준비물)

    1. 개인 서버 구축 사용할 PC

    (사양이 높을수록 좋지만 단순 개발서버로는 셀러론도 가능)

    개인 서버 구축

    CPU, 메모리, SSD,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 등등 어떠한 제품을 써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그냥 셀러론급에 메모리 8기가 정도 달고 SSD 128기가만 장착한 내장형 그래픽으로도 개인 웹서버 정도는 충분히 돌릴수 있습니다.

    개인 서버 구축 장비

    지금 보고 계신 이러한 워드프레스 정도를 집 서버로 돌리기엔 셀러론급이면 충분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게임서버라던지 빅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실서버 운영으로 다수의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CPU 코어가 높은 제온 등을 사용하겠지만 그렇지 않고서는 i7 정도만 되더라도 왠만한 중소기업 회사운영도 가능할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메모리야 많을수록 좋지만 8기가에서 16기가면 딱 적당하고… 이또한 사람들이 많을수록 부하가 걸리므로 개인적인 홈페이지는 8기가도 할 만합니다.

    SSD는 홈페이지에 사진이나 영상 미디어, 파일 자료 등 용량이 큰 파일을 FTP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테라급이 필요하겠지만…

    단순히 워드프레스 하나만 단독으로 구동시킨다면 128GB 하나로도 충분합니다. 

    저도 개인서버로 운영하는 워드프레스는 10GB정도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메모리, SSD는 향후에도 언제든지 추가할수 있기때문에 처음에 고민대상이 안닙니다.

    그냥 집에서 놀고 있는 PC로 서버 설치해보는것이 가장 좋으며 한대 마련해야한다면 개인적으로 20~30만원선으로 테스트용서버 만들어보세요.

    제온 서버 만들기
    서버 듀얼 cpu

    왼쪽은 제온 cpu 1 이용해서 ESXi 서버를 운영중이며 오른쪽 사진은 제온 cpu 2개를 이용하여 ESXi 서버를 운영합니다.

    아파트 전기는 일반전기로 돌리고 한전에서 검사 나와서 서버실인거 확인하고 두채 모두 일반전기로 서버실 운영중입니다.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집서버를 저처럼 운영하시는 분들 드물지 싶습니다.

    아파트 두채를 통으로 일반전기 바꾸고 서버실로 꾸미고 …이것도 부족하여 또 3번째 아파트를 구입하여 서버실을 만들 계획중입니다.

    2. ISP 인터넷 회선 신청

    KT, SKT, LGT 그 이외에도 지방케이블 등이 있습니다.

    지방 케이블은 업로드 속도가 너무 느려서 왠만해선 권해드리지 않으며 양방향 속도가 빠른 KT같은 ISP업체를 선호합니다.

    보통 100M 급만 하더라도 홈페이지 운영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파일 전송이라던지 외부에서 답답하지 않을수준으로는 500M 급은 사용해야합니다.

    서버 IDC를 이용하기에 회선비용이 금액적으로 부담스러울 경우에는 집에서 100M급으로 서버를 운영도 할만합니다.

    ISP 업체 3사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저는 KT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이유는 딱히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여러가지 서버 운영에 있어서 장점이 많은업체입니다.

    3. 개인 서버 구축 (리눅스 서버 또는 윈도우 서버) 선택

    보통 리눅스 서버를 선택합니다. 윈도우 서버는 라이선스로 인해서 개인이 운영하기에는 어렵습니다.

    가끔 해적판이나 크랙등을 이용하시는 분들 계실듯합니다. 이 방법은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며 불법적인 요소로 인해서

    이후에 알지 못하는 일들로 어려움을 당할수 있기에 필히 정식라이선스로 등록된 서버로만 사용해야합니다.

    서버는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버리는게 아닌 대부분 장기 1년~10년 이상 사용하기때문에 라이선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개인들은 무료로 제공하는 리눅스 기반으로 서버를 만들곤합니다.

    리눅스를 바로 설치하기 어렵다면 VMWARE같은 가상윈도우를 만들 수 있는 툴을 이용하여 설치를 시도해보세요

    개인 서버 구축

    저도 보통 CentOS 위주로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 위에 MySQL 기반으로 사용중입니다.

    윈도우가 UI가 제공되어서 좋을수 있으나 그로인한 퍼포먼스를 OS쪽에 뺏기게 되어 단순 콘솔기반의 리눅스보다 퍼포먼스가 낮다 보시면됩니다.

    CentOS, 우분투 같은 이름있는 리눅스를 설치하여 그 위에 아파치 서버와 php모듈을 설치하여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4. 개인 서버 구축 HUB 및 네트워크 장비

    공유기는 집에 있는 공유기를 사용하면 되지만 허브같은 경우에는 KT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나 다른 업체에서는 확인을 해야합니다.

    허브와 공유기의 차이라면 IP를 맥 단위로 쪼개냐 아니면 DHCP 기능을 이용하여 사설 아이피로 다수의 아이피를 만드냐 정도로 보면됩니다.

    이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없다면 그냥 단순하게 IPTIME의 허브를 하나 구입하여서 서버에 연결하고 다른 한 선은 기존 공유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됩니다.

    이렇게 해야지만 IP관리가 되며 만약 이렇게 하지 않고 공유기에 포트를 통해서 열고 닫고를 할경우 공유기에도 부하가 많이 가지만

    그보다 아이피에 대한 개념을 잡기가 어렵고 향후 2대의 서버를 운영할 경우 아이피를 2개 얻을 수 없으므로 쿠팡이나 이런곳 가셔서

    꼭 허브 4포트짜리 하나를 구입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 네트워크 어댑터

    그 이외에도 1G지원 인텔용 랜카드를 하나 따로 구입해놓고 ESXi 같은 서버를 운영 할 수도 있습니다.

    준비물이 준비가 되었다면…

    이제 서버를 각 상황에 맞게끔 설치를 하면됩니다.

    보통 집에서 웹서버 운영 많이 하시죠?

    준비물 들고 센트OS나 우분트 리눅스 설치하시면 됩니다.

    그다음 순서는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서

    yum install httpd
    
    yum install php
    
    yum install mariadb

    이렇게 입력하면 웹서버가 만들어지게됩니다.

    보고 따라하면 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 만들때 비용은 대부분 갖고 계신 PC로 만들때에는 거의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전기요금은 제가 제온 서버 1대를 24시간 한달 켜놓으면 한달에 1만원정도 나오는 수준입니다.

    100kw 정도라고 보시면 되고요 가정요금은 누진요금제로 인해서 조금 더 커질수 있으니 그부분만 확인하면됩니다.

    그외 통신비 3만원 (500메가로 할 경우) 정도랑 전기1만원…. 

    그리고 30만원짜리 셀러론 PC 한대면 운영할 수 있습니다.

    게임서버도 비슷하며 조금 사양높이면 i5 정도에 램 32기가정도만 올리셔도 됩니다.

    개인 서버 구축 사례

    개인 서버 구축 비교

    AWS랑 비교하면 비용이 엄청 저렴하죠

    제가 AWS 한달에 25만원~35만원씩 지출했는데 그에 비하면 많이 적습니다.

    다만 저는 아파트 2채로 운영하다보니 기본 전기요금 3만원 *2 + 추가 서버만큼 개당 1만원씩 나가고요

    그리고 아파트 관리비도 각각 빠지고 또 회선 3개 총 15만원이 빠집니다.

    뭐 이것저것 다 해서 AWS 보다 더 나가긴합니다 ㅎㅎ

    AWS랑 개인 서버 비용 다 합치면 대략 월 100만원 정도 고정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서버 만들어보세요.

    감사합니다.

  • Windows 7 Thin PC 한글 ISO 순정 lp.cap 파일 패치 방법 다운로드

    Windows 7 Thin PC 한글 ISO 순정 lp.cap 파일 패치 방법 다운로드

    윈도우 7 SP1 Thin PC 영어 순정 버전 ISO 는 아래 마소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C/D/7/CD789C98-6C1A-43D6-87E9-F7FDE3806950/ThinPC_110415_EVAL_x86fre.iso

     

    이미지는 통합으로 합쳐놓은 ISO 파일을 받아서 32비트 64비트 설치 가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11887

    Download Summary:
    KBMBGB
    1.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1.exe
    2. Standard_7SP1_32bit\Standard 7 SP1 32bit IBW.part1.exe
    3. Standard_7SP1_32bit\Standard 7 SP1 32bit IBW.part2.rar
    4. Standard_7SP1_32bit\Standard 7 SP1 32bit IBW.part3.rar
    5. Standard_7SP1_32bit\Standard 7 SP1 32bit IBW.part4.rar
    6. Standard_7SP1_32bit\Standard 7 SP1 32bit IBW.part5.rar
    7.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1.exe
    8.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2.rar
    9.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3.rar
    10.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4.rar
    11.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5.rar
    12.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6.rar
    13. Standard_7SP1_64bit\Standard 7 SP1 64bit IBW.part7.rar
    14.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2.rar
    15.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3.rar
    16.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4.rar
    17.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5.rar
    18.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6.rar
    19.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7.rar
    20. Standard_7SP1_Toolkit\Standard 7 SP1 Toolkit.part08.rar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일단 3일 사용가능하며 3일안에 정품인증은 KMS로 다들 알아서 해결하셔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CAP 한글 파일은 페이지가 사라져서 더 이상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습니다.

    파일 링크만 알면 받을 수는 있어보이는데 너무 오래전에 만들어진 URL이라서 찾기가 어렵네요.

    용량도 얼마 안되어서 일단 제 서버에 올려놓았으니 필요하신 분들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lp.cap 파일과 윈도우 Thin PC 설치 가이드 PDF 파일입니다.

    Windows Language Pack – Windows Embedded Standard 7 SP1

    Windows Thin PC Quick Start Guide v1 0

     

    그리고 보안업데이트 받으셔야지만 vmware 에서 마우스 이외 vmware-tools가 정상적으로 설치됩니다.

    2개 다운받으시면됩니다.

     

    https://www.catalog.update.microsoft.com/search.aspx?q=kb4474419

    https://www.catalog.update.microsoft.com/Search.aspx?q=KB4490628

     

    C:\Users\Administrator>dism /online /add-package /packagepath:c:\_자료실\lp.cab
    
    

    개인서버구축

    진행이 완료되면 아래처럼 성공멘트가 나타납니다.

     

    Microsoft Windows [Version 6.1.7601]
    Copyright (c) 2010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Users\Administrator>dism /online /add-package /packagepath:c:\_자료실\lp.cab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tool
    Version: 6.1.7600.16385
    
    Image Version: 6.1.7601.17514
    
    Processing 1 of 1 - Adding package Microsoft-Windows-Embedded-LanguagePack-Packa
    ge~31bf3856ad364e35~x86~ko-KR~6.1.7601.17514
    [==========================100.0%==========================]
    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C:\Users\Administrator>

     

    개인서버구축

     

     

     

    이제 부팅모드에서 다시 dism 을 실행해야합니다.

    윈도우 7, 윈도우 10 부팅가능한 ISO를 이용해서 dism 명령어를 한번 더 실행합니다.

     

    CMOS에서 CD-ROM선택하여 부팅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이곳에서 shift + F10 눌러서 콘솔창을 만들어줍니다.

    개인서버구축

     

    아래 명령어 각각 입력하고 재부팅하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c: d: 확인하셔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지정합니다.

    dism /image:d: /set-skuintldefaults:ko-kr

     

    부팅할때 한글로 바꾸려면 아래처럼 입력하면 됩니다.

    bcdboot d:\Windows /l ko-kr

     

    이제 한글 나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

  • how to edit esxi 7 crontab 크론탭 IP 자동 하는 방법

    how to edit esxi 7 crontab 크론탭 IP 자동 하는 방법

    크론탭을 이용하여 esxi 7 서버의 IP를 주기적으로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서버구축

    홈 PC등 개인적으로 집에서 서버를 운영할 경우 갑작스럽게 서버가 셧다운되거나 IPS사의 게이트웨이 주소 변경으로 IP가 변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직접 서버 아이피를 확인해야하지만 원격지에서 변경된 아이피를 확인 할 수 없습니다.

    재부팅하더라도 아래처럼 입력해놓을경우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etc/rc.local.d/local.sh

    /vmfs/volumes/datastore1/root/serverChecker.sh

    exit 0 위에 한줄 추가

    개인서버구축

    만약 cronjob 에 초기화 안되게 하려면

    local.sh 항목에 매번 부팅할때마다 cronjob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명령어를 입력해야합니다.

    #put to crontab
    
    echo "*/1 * * * * /vmfs/volumes/datastore1/root/serverChecker.sh" >> /var/spool/cron/crontabs/root
    
    #cronjob force stop
    
    kill `cat /var/run/crond.pid`
    
    #cronjob start
    
    /usr/lib/vmware/busybox/bin/busybox crond


    vi /etc/rc.local.d/local.sh
    
    echo "*/1 * * * * /vmfs/volumes/datastore1/root/serverChecker.sh" >> /var/spool/cron/crontabs/root
    kill `cat /var/run/crond.pid`
    /usr/lib/vmware/busybox/bin/busybox crond

    그때 ESXi 7에 등록된 cronjob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변경되는 실시간 IP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크론탭 자동 등록하는 방법

    how to VMWARE ESXi 7 crontab

    1. VMWARE ESXi 7 SSH 접속을 하고 아래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var/spool/cron/crontabs

    yum 으로 따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이미 크론탭과 기능이 동일한 스케줄러가 동작하고 있습니다.

    2. root 파일에 쓰기권한을 추가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읽기전용 root 파일을 쓰기 권한으로 변경합니다.

    chmod 777 root

    3. 1분마다 서버 IP를 확인 하도록 스케쥴을 등록합니다.

    vi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파일에 기존 리눅스 crontab -e 명령어로 사용했던 그대로 일정을 기록합니다.

    재부팅, 서버부팅마다 /root 폴더가 사라지므로 폴더는 꼭 /vmfs/volumes/datastore1/root 에 만드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구축
    */1 * * * * /root/serverChecker.sh
    
    #min hour day mon dow commmand
    
      *       *        *       *       *      /shellscript.sh

    4. root파일을 다시 읽기 권한 다시 변경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쓰기 권한을 다시 읽기전용 root 파일로 변경합니다.

    chmod 444 root

    4. 1분마다 서버 IP를 확인 하도록 등록합니다.

    serverCheck.sh 파일은 /root 폴더 아래에 두었으며 내용은 wget을 이용하여

    특정 웹서버에 1분마다 페이지를 읽어 그 서버에서 ESXi 7 서버의 ip를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재미있는 방법으로는 ESXi 7 서버내에 CentOS 리눅스 하나 설치해서 워드프레스 서버를 하나 운영하고 그 워드프레스 주소로 ip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wget http://yourWebServerDomain/serverChecker.php?SERVER_NAME
    개인서버구축

    1분마다 ESXi 서버의 IP가 확인 됩니다.

    serverCheck.php 파일에 mysql 을 연결하여 매 분마다 들어오는 IP를 저장하고

    최근 등록된 IP 순서대로 ( order by regDate DESC ) 추출하면 자신의 ESXi 서버 리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serverChecker.sh 파일

    SERVER_DOMAIN="domain=domainName"
    SERVER_INFO="&cpu=x4cpu22core44thread&cpuinfo=Intel_E7-8880v4_2.20GHz&ram=1024gb_64gx16&ssd=8TB_2TBx4"        
    cd /vmfs/volumes/datastore1/root/
     
    wget http://33.34.246.187/serverChecker.php?$SERVER_DOMAIN$SERVER_INFO
    rm -rf /vmfs/volumes/datastore1/root/serverChecker.php*
    
    # 1 - 30 = 4 - 10

    최근에는 위의 설정도 많이 복잡해서 그냥 호스트네임 그대로 땡겨와서 IP만 체크합니다.

    SERVER_HOSTNAME=`hostname`
    wget http://33.34.246.187/serverChecker.php?ESXi=${SERVER_HOSTNAME} >> /etc/serverChecker.logs
    echo "*/1 * * * * wget http://33.34.246.187/serverChecker.php?ESXi=${SERVER_HOSTNAME} >> /etc/serverChecker.logs" >> /var/spool/cron/crontabs/root
    kill `cat /var/run/crond.pid`
    /usr/lib/vmware/busybox/bin/busybox crond
    rm -rf serverChecker.php*
    
    # 1 - 30 = 4 - 10
    # 1 - 30 = 4 - 10
    # 두번 변경해야함!!
    
  •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7에서 닷넷프레임워크 4.8을 설치할 때 이와 같은 문구를 보게 됩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인증서 체인은 처리되었지만, 신뢰 공급자에 의해 신뢰되지 않는 루트 인증서에서 중지되었습니다.
    인증서 체인은 처리되었지만, 신뢰 공급자에 의해 신뢰되지 않는 루트 인증서에서 중지되었습니다.

    윈도우 7 SP1 이하에서는 닷넷프레임워크가 설치 되지 않습니다.

    또한 윈도우 7 SP 1 임에도 불구하고 설치가 안되는 경우에는 윈도우7 SP1 다른 버전의 ISO를 이용하여 다시 설치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같은 윈도우 7 SP1 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보안업데이트와 윈도우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서 닷넷프레임워크가 설치 안될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르 하면 이렇습니다.

    윈도우 7 닷넷프레임워크 4.8 설치 방법

    1. SP1으로 업데이트를 합니다.

    2. 업데이트를 하였지만 그래도 설치가 안될 경우에는 새로운 정식 ISO를 이용하여 윈도우7를 재설치 합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설치 에러 문구이 두가지가 충복하게되면 보시는것처럼 윈도우7 SP1에서 닷넷프레임워크 4.8 버전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C#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다보니 닷넷프레임워크 버전업으로 인해서 가상화된 윈도우 7에서 동작하지 않는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니 업데이트와 윈도우 재설치 참고하셔서 진행하면 됩니다.

    닷넷프레임워크 4.8 다운로드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503548/microsoft-net-framework-4-8-offline-installer-for-windows

    다운로드: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88631

    .NET Framework 4.8 설치 방법

    1. 닷넷프레임워크 4.8을 다운받아 실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2. 동의와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가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3.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재부팅하고 닷넷4.8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습니다.

    이 운영 체제에서는 .net framework 4.8이 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8, 윈도우10에서는 닷넷프레임워크4.8 설치가 잘 됩니다.

    윈도우7에서 설치 하다가 에러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Xshell 일치하는 host key 알고리즘을 찾을 수 없습니다

    Xshell 일치하는 host key 알고리즘을 찾을 수 없습니다

    새로 설치한 테스트 서버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xShell툴로 SSH접속이 안되었습니다.

    Xshell 일치하는 host key 알고리즘을 찾을 수 없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이 메시지는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Putty 툴로 SSH를 접속하면 접속이 되지만 xShell 툴에서 접속이 안되는것을 보고 xShell 툴의 알고리즘이 빠진것 같아 최근에 올라온 xShell로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xShell 최신버전 다운로드

    그리고 접속을 하니 잘 되더군요. 제가 그동안 사용해온 버전이 xShell 5 버전이더군요.

    최근 버전은 xShell 7 버전인데 설치하고 바로 접속이 되더군요.

    개인서버구축

    혹시라도 서버와 암호 알고리즘 매칭이 안된다거나 메시지가 뜨게되면 Putty 최신버전이나 xShell 최신버전으로 접속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ESXi 서버에서는 자체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SSH 접속 방법도 있으니 무엇을 사용하든 SSH만 접속 하면 됩니다.

  • [해결]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해결]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VMWARE ESXi SSH 콘솔 접속할 때  아래 메시지를 보여주면서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DEPRECATED Secure Shell App 버전 0.40을(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의 답변: https://goo.gl/muppJj(Ctrl을 누른 상태로 링크 클릭하여 열기)
    
    [전문가의 팁] Ctrl + W 키를 눌러도 터미널이 닫히지 않게 하려면 '창으로 열기' 또는 '전체 화면'을 사용하세요.
    [전문가의 팁] 자세한 내용은 https://goo.gl/muppJj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변경 기록/출시 노트: /html/changelog.html
    전문가의 랜덤 팁 #1: 링크를 열려면 Ctrl(macOS의 경우 Cmd)을 누른 상태로 링크를 클릭하세요.
    알림: 새로운 Secure Shell 확장 프로그램(link)으로 이전하세요.
    Chrome 앱은 지원 중단되므로 이 버전에서는 업데이트를 수신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가이드(link)를 참조하세요.
    
    
    NaCl 플러그인 로드 중... 완료되었습니다.
    root@192.168.0.2에 연결 중...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a host key has just been changed.
    The fingerprint for the ECDSA key sent by the remote host is
    SHA256:IXZoJHW/pQx458fL+ukb43oiFsgndKSYSqjrDY9OUBw.
    Please contact your system administrator.
    Add correct host key in /.ssh/known_hosts to get rid of this message.
    Offending ECDSA key in /.ssh/known_hosts:1
    ECDSA host key for 192.168.0.2 has changed and you have requested strict checking.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다시 연결(R)하거나 다른 연결을 선택(C)하거나 종료(x)하시겠습니까?

     

    개인서버구축

    SSH 접속을 하기 위해서 vCenter의 SSH 콘솔을 클릭하면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인 [ DEPRECATED Secure Shell App ] 앱이 실행됩니다.

    하지만 이전에 등록된 정보를 기억한 상태에서 서버가 재부팅이 되거나 혹은 서버를 재설치 할 경우 위와 같이 기존 연결로 인해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NaCl 플러그인이 상태 코드 255(으)로 종료되었습니다

     

    ESXi SSH 콘솔 접속 에러 해결 방법

    1. vCenter 관리에서 작업 기능 SSH 콘솔 항목을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2. 자바스크립트 콘솔창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Ctrl + Shift + J 단축키를 눌러서 자바스크립트 콘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term_.command.removeKnownHostByIndex(1)

    만약 위의 명령어로 에러만 나오고 안될 경우에는 아래 (3) 항목대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됩니다.

     

    3. 확장 프로그램(DEPRECATED Secure Shell App)을 삭제합니다.

    개인서버구축

    ESXi SSH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삭제 합니다.

    어차피 SSH 실행하면 다시 또 설치한다고 나옵니다.

     

    4. 다시 ESXi 호스트에서 SSH 콘솔을 실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다시 처음 (1) 항목처럼 진행하면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 하고 처음처름 Yes 입력한 다음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접속은 매번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SSH 접속제한으로 인해서 접속이 안될 때에는 SSH 세팅을 바꿀 때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실겁니다.

  • 젠서버 vm-tools 설치 방법 (윈도우7 텍스트 복사 붙여넣기 가능해집니다)

    젠서버 vm-tools 설치 방법 (윈도우7 텍스트 복사 붙여넣기 가능해집니다)

    젠서버에 윈도우 7를 설치하고 가장 먼저 해야 할 부분이 vm-tools 설치 입니다.

    vmware 도 마찬가지지만 모든 윈도우는 처음에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합니다.

    가상화된 윈도우에서도 이처럼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하는데 그것들을 묶어놓은 툴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젠서버 vm-tools 설치 방법 (xenserver vm tools install)

    1. 윈도우 7 VM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Install Citrix VM Tools…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

    클릭하면 Install 창이 뜹니다. 클릭해주시면되고요.

    윈도우7 안에서도 CD롬에 자동실행됩니다.

     

    개인서버구축

     

    2. 따로 설정할 부분 없이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

    중간에 설치 관련 세팅 부분이랑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것인지에대한 부분이 나오는데 그냥 무시하시고 Next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

     

    3. 윈도우 재부팅을 2~3회 정도 실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개인서버구축

    윈도우가 재부팅되면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잡습니다.

    그리고 또다시 반복해서 재부팅을 하니 2-3회정도는 재부팅 할 동안 지켜보면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재부팅이 완료되면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윈도우7 vm-tools 를 설치하면 좋아지는 점은 두가지 정도입니다.

     

    VM-TOOLs 설치할 경우 달라지는 점

    1. 높은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1024*768 이 최고 해상도입니다.

    툴즈를 설치해야지만 그 이상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표준 그래픽카드로 설정을 해야하는데 아래 문서를 확인하고 명령어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젠서버 윈도우7 게스트 해상도 높이기 1920×1080 안되요

     

    2. TEXT 클립보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VMWARE처럼 파일 드래그 전송과 이미지 클립보드 공유는 되지 않지만 TEXT 글자에 대해서는 복사 붙여넣기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팀뷰어로 원격접속하면 딱히 필요없기는 합니다. 처음 세팅할때만 필요한 부분이라서 저는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 젠서버 윈도우7 게스트 해상도 높이기 1920×1080 안되요

    젠서버 윈도우7 게스트 해상도 높이기 1920×1080 안되요

    젠서버 윈도우 7 해상도 높이기

    1920 x 1080 해상도는 변경 할 수 없습니다.

    대신 그와 비슷한 1920 x 1200 해상도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XenServer 윈도우 7 해상도 높이는 방법

    1. VM을 종료합니다.

    개인서버구축

    vm이 종료된 상태에서 설정을 변경해야합니다.

     

    2. Command Shell 콘솔창에서 가상시스템의 UUID를 확인합니다.

    개인서버구축

    xe vm-list
    
    uuid ( RO) : 8c565fd5-4226-6bec-0e78-81224c3e9fd7
    name-label ( RW): Windows 7 (32-bit) (1)
    power-state ( RO): halted

     

    8c565fd5-4226-6bec-0e78-81224c3e9fd7 이 UUID를 각자 시스템에 맞는것을 확인합니다.

     

    3. VGA 변경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xe vm-param-set uuid=<UUID> platform:vga=std
    xe vm-param-set uuid=<UUID> platform:videoram=16
    
    xe vm-param-set uuid=8c565fd5-4226-6bec-0e78-81224c3e9fd7 platform:vga=std
    xe vm-param-set uuid=8c565fd5-4226-6bec-0e78-81224c3e9fd7 platform:videoram=32

     

    혹시라도 에러가 발생하거나 잘못 입력하여 오류가 발생한다면

    아래처럼 명령어를 입력하여 되돌릴수 있습니다.

    xe vm-param-remove uuid=<UUID> param-name=platform param-key=vga
    xe vm-param-remove uuid=<UUID> param-name=platform param-key=videoram

     

    4. VM을 실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윈도우7 이 부팅되는 동안 따로 무언가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5. 해상도를 확인하고 원하는 해상도로 변경 합니다.

    개인서버구축

    표준 VGA 그래픽 어댑터가 설치되었다는 알림을 보게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원격으로 접속할 경우 해상도가 HOST PC보다 더 클 경우 화면을 스크롤로 움직여야합니다.

    그래서 저는 1920 x 1200 해상도 대신에 1680 x 1050 해상도를 선택하였습니다.

    개인서버구축

     

    해상도를 꼭 1920 x 1080으로 해야한다면 GPU를 이용하여야하는데 일단 유료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젠서버 무료버전에서는 윈도우7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것만으로도 감사할뿐입니다.

    젠서버 8.2부터는 윈도우7를 사용할수 없거든요.

  • 젠서버에 윈도우 7 SP1 설치하기

    젠서버에 윈도우 7 SP1 설치하기

    지난번  젠서버 8.1 버전 설치 방법 글을 통하여 젠서버를 직접 구축 할 수 있습니다.

    8.2 버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8.1버전을 선택한 이유는 윈도우 7 ISO를 설치하기 위해서입니다.

    개인서버구축

    아직 설치를 안했다면 설치 글을 확인하셔서 다운받으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젠센터는 NEXT만 누르면 설치 되므로 어렵지 않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XenCenter 를 처음 실행하면 마스터 패스워드를 입력해야합니다.

    저는 이미 입력해놓은 상태라서 접속을 위해 입력하였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아래처럼 XenCenter 를 실행하고 이 글을 보고 따라 하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젠서버 8.1에서 윈도우 7 SP1 설치하기

    1. Server 항목에서 Add… 클릭하여 젠서버 8.1 정보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젠서버를 추가를 하면 아래처럼 추가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이제 젠서버 8.1 서버에 VM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VM 항목에서 New VM…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템플릿에 윈도우 7 (32비트 64비트) 선택하여 Next 버튼을 누릅니다.

    개인서버구축

    가상화 이름을 지어주는데 임의로 윈도우 7 이라고 적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3. ISO library 또는 DVD 드라이브에 부팅 가능한 윈도우 7 미디어를 넣습니다.

    젠서버에 ISO파일 등록하는 글을 보시고 ISO파일 부터 업로드 해야합니다.

    젠서버에 ISO 파일 업로드 하는방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업로드한 윈도우 7 SP1 ISO 미디어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생성할 VM의 하드웨어 정보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윈도우 7 운영하려면 메모리 1기가~ 2기가정도와 하드용량 24GB ~ 50GB 정도 세팅하면됩니다.

    실제로는 이정도도 필요없지만 젠서버 정책상 HDD 최소 등록 용량이 24기가입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CPU, Memory, Storage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네트워크 설정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잡힌 네트워크를 그대로 수정없이 Next를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최종적으로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하고 Create Now 버튼을 클릭하면 윈도우 7 설치가 진행됩니다.

    개인서버구축

     

    만약 이때 [ HVM is required for this operation ] 이라고 경고창이 뜨면서 에러가 발생한다면 CPU 세팅을 바꿔야 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xe vm-list

    개인서버구축

    참고 문서: https://www.ibm.com/docs/ko/sva/9.0.5?topic=xs-converting-your-virtual-machine-from-pv-pv-hvm

    [root@localhost iso]# xe vm-list
    uuid ( RO) : 85b7d75b-7003-dcec-bdac-19a944d0d4de
    name-label ( RW): Windows 7 (32-bit) (1)
    power-state ( RO): halted
    
    
    uuid ( RO) : 4b60349b-8f11-42ed-bfdd-f5410f664b34
    name-label ( RW): Control domain on host: localhost
    power-state ( RO): running
    
    
    [root@localhost iso]# xe vm-param-set uuid=85b7d75b-7003-dcec-bdac-19a944d0d4de
    [root@localhost iso]# xe vm-param-set uuid=85b7d75b-7003-dcec-bdac-19a944d0d4de PV-bootloader=""
    [root@localhost iso]# xe vm-param-set uuid=85b7d75b-7003-dcec-bdac-19a944d0d4de HVM-boot-policy="BIOS order"
    
    

     

    젠서버 PC의 CMOS에서 가상화를 Enabled 시켜야합니다.

     

    5. 윈도우 7 설치를 진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대부분 [ 다음(N) ]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파티션이라던지 사용계약서 등등은 각 상황에 맞게 변경하고 승인 하면됩니다.

    개인서버구축

     

    윈도우 7 새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랫쪽 [ 사용자 지정(고급)(C) ] 항목을 클릭해서 진행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화면이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Scale 이라고 아랫쪽에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체크를 하게되면 화면에 맞는 크기로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시스템 사양이 워낙 고사양이라서 윈도우7 설치 시간이 엄청 빠릅니다.

    보통 10분안에 설치가 마무리됩니다.

    개인서버구축

     

    10분정도 지나면 설치가 다 되고 로그인 정보와 윈도우 7 세팅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사용자 생성, 인증, 네트워크, 시간 등등 입력이 완료되면 우리가 자주 보던 그 윈도우 화면을 보게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윈도우 7 SP1 ISO를 이용하여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이제 vm-tools 를 설치하고 해상도랑 설정을 맞춰서 사용하면 됩니다.

    생성된 VMs 항목에서 Windows 7 VM을 클릭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팝업창이 뜹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설치가 다 되면 2~3회 윈도우가 재부팅됩니다.

    그리고 해상도를 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PC와 VM PC사이에 클립보드(TEXT)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젠서버 무료버전에서는 1920*1080 해상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그와 비슷한 1920*1200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하지만 관련하여 글을 작성해놓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젠서버에 윈도우7 미디어 ISO파일 업로드 하는방법

    젠서버에 윈도우7 미디어 ISO파일 업로드 하는방법

    젠서버를 설치했다면 윈도우 또는 리눅스를 설치 하기 위해 ISO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젠서버에 ISO 파일 업로드 방법은 여러가지 있습니다.

    1. wget을 이용하여 서버에서 다이렉트로 다운로드 받을수 있습니다.

    2. lrzsz 명령어를 이용하여 SSH에서 4GB 용량의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 SSH를 이용하려면 젠서버의 원격 접속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을 해야합니다.

    개인서버구축

    3. FTP 명령어를 이용하여 서버에 ISO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그 이외 알고 있는 방법으로 우선 ISO파일을 젠서버에 업로드 합니다.

     

     

    /iso 라는 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그곳에 ISO 파일을 모두 추가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젠서버 8.1 ISO 미디어 등록하는 방법

    1. ISO파일을 iso 폴더에 추가합니다.

    mkdir /iso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이때 주의할 점은 한글 이름으로 작성하면 등록이 안됩니다.

    모두 영어로 적으시고 공백이 없는 파일이름으로 변경해야합니다.

     

    2. iso 파일을 젠서버에 등록합니다.

    개인서버구축

    xe sr-create name-label=iso device-config:location=/iso device-config-legacy_mode=true content-type=iso type=iso

     

    iso파일을 등록하면 iso 폴더에 대한 UUID 정보가 나옵니다.

    개인서버구축

     

    이제 VM을 설치할때 install from ISO library or DVD drive 항목에서 iso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이제 윈도우 7 ISO를 이용하여 젠서버에서 윈도우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7 SP1 설치하기

  • XenServer 8.1 설치방법 Citrix Hypervisor 8.1 Express Edition

    XenServer 8.1 설치방법 Citrix Hypervisor 8.1 Express Edition

    XenServer 8.1 설치방법 직접 설치 하고 글로 작성

    개인서버구축

    이번에 설치하는 젠서버 버전은 Hypervisor 8.1 Express Edition 입니다.

    이 버전을 설치하는 이유는 Windows 7 VM 을 설치하기 위해서 입니다.

    젠서버 설치 방법 (Hypervisor 8.1 Express Edition)

    1. Citrix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여 젠서버 하이퍼바이저 8.1 익스프레스 에디션을 다운받습니다.

    XenServer 8.1 설치방법

    젠서버 다운받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로그인을 해야지만 다운이 가능하니 일단 가입부터 하시고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개인서버구축

    위의 설치 ISO와 윈도우에서 접속할 수 있는 XenCenter Management Console 을 다운 받습니다.

    2. ISO를 다운 받았다면 Rufus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제작합니다.

    개인서버구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받으세요.

    3. USB를 이용하여 젠서버를 설치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지금부터는 사실 어렵지 않습니다.

    대부분 Next 위주로 눌러주면됩니다.

    4. 설치 언어와 환경설정을 지정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라이선스 동의에 대한 수락 버튼을 클릭합니다.

    개인서버구축

    하드웨어 환경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고 진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사용할 하드 디스크의 Thin Provisiong 을 사용 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이때 체크를 하면 VM용량을 서로 공유하면서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서버구축

    장단점이 있지만 하드용량이 250GB SSD 정도라면 씬프로비저닝을 선택하는것이 여러 VM의 용량을 조금 더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VM 용량을 (Windows 7 기준) 24GB 지정해야합니다.

    하지만 Thin Provisioning 을 사용하게되면 사용한 용량만큼만 HOST에서 차지하기때문에 24GB를 한꺼번에 사용하지않습니다.

    예를들어 10개의 VM을 생성하게되면 원래는 240GB의 용량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씬프로비저닝을 사용할 경우 윈도우가 각각 7GB씩 사용할경우 70GB만 HOST에서 할당되니 170GB를 여유있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VM갯수를 더 늘릴수 있다는 이야기죠.

    개인서버구축

    미디어 소스를 선택하고 OK 누르면 됩니다.

    개인서버구축

    미디어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부분이라 그냥 스킵하시고 진행해도 상관없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관리자 암호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네트워크 환경은 DHCP 선택하여 자동으로 아이피를 할당받습니다.

    고정 아이피가 있다면 Static configuration을 선택하여 아이피 정보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HostName과 DNS정보를 입력합니다.

    개인서버구축

    Time Zone을 선택합니다. (한국은 Asia -> Seoul)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NTP 서버를 사용하여 시간 동기화를 합니다.

    시간 동기화 서버 주소를 모른다면 그냥 DHCP에 의해서 제공받는 서버로 세팅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드디어 모든 세팅이 마무리되었고 하드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지워지는 경고와 함게 Install 을 진행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인스톨 준비과정이 끝나면 바로 젠서버 설치가 진행됩니다.

    개인서버구축

    Supplemental Packs 설치를 따로 하지 않았습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이제 설치 USB를 제거하고 재부팅 하면 젠서버 처음 화면이 나타나며 모든 설치가 완료됩니다.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개인서버구축

    Load Kernel Modules 에 FAILED 뜬것은 무시하면됩니다.

    개인서버구축

    현재 (2022년 5월 26일 기준) 젠서버 하이퍼바이저 8.2버전이 릴리즈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처음에 언급 한 것처럼 젠서버 8.2 (Citrix Hypervisor 8.2 LTSR) 에서는 윈도우 7 가상화를 만들 수 없습니다.

    템플릿 자체를 제거하였으며 윈도우7 뿐만 아니라 윈도우 2008 서버까지 제거된 상태입니다.

    개인서버구축

    원본보기

    윈도우7과 윈도우 서버 2008을 제거하면서 대체방법으로 윈도우의 업그레이드를 꺼냈으니 답은 없는듯합니다.

    여러가지 보안과 기능은 좋아졌으나 윈도우 7을 사용할 수 있는 하이퍼바이저의 최고 버전은 8.1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