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분은 각 도메인 업체에 웹 DNS 같은 부가서비스 항목으로 제공하기때문에 도메인 업체마다 참고하셔서 등록해야합니다.
아래 내용을 자신의 홈페이지 도메인에 맞게끔 넣어야합니다.
vi /etc/httpd/conf/httpd.conf
<VirtualHost *:80>
ServerAdmin 이메일주소@이메일.com
DocumentRoot /홈페이지폴더주소
ServerName 도메인명
ServerAlias 서브도메인명
ErrorLog logs/error_log
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Directory /홈페이지폴더주소>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VirtualHost>
1부에서도 말씀드렸다싶이 큰 틀 위주로 설명을 빠르게 진행합니다.
그 이유는 제가 이 글을 작성하면서 실제로 서버구축과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지금 카페에서 서버 구축하면서 글도 함께 작성하는 중입니다. 도중에 스냅샷 만들기 위해서 또 삭제하고 반복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도 빨리 만들어야해서 중간중간 설명까지 다 할수 없어 큰 틀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있는것입니다.
vhost 등록도 예전에 글로 다 작성해놓았기에 군데군데 필요한 부분들을 리눅스맨 블로그에서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아래 데이터베이스 생성과 워드프레스 설치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메인도 오늘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오늘 글 작성(2021년 10월 12일) 하기 직전에 구입하였습니다.
지난번에 워드프레스 만들때에는 애드센스 얼마를 벌수 있을까? 하고 막연했는데..
오늘 만드는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는 글로벌하게 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서비스라서 엄청난 수익으로 늘어날듯합니다.
아! 그리고 저는 제가 만들 프로그램 중에서 vHost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덕분에 vHost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않고 도메인명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미리 짜여진 스크립트대로 결과물이 만들어집니다.
암튼 위에 제가 vhost 간단하게 올려놓았으니 그부분이라도 보시고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됩니다.
4.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vhost가 등록되었고 도메인에 아이피가 포워딩 되었다면 이제 도메인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user와 database를 생성하고 나오면 됩니다.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유저명을 영어로 만들고 아래쪽 동명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모든 권한을 부여. 체크한 다음 생성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까지 만들어집니다.
호스트명에는 꼭 % 대신 localhost 로 지정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해킹 걱정을해야합니다. 로컬로 바꾸셔도 관리 소홀하면 해킹은 마찬가지긴하지만 그대로 조금 더 안심이 됩니다.
5. 워드프레스를 설치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는 그냥 프로그램 설치보다 더 쉽습니다.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모든부분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아래처럼 설치 언어를 묻고 진행합니다.
만약 위의 언어선택이 나오지 않고 아래처럼 나온다면 권한문제입니다.
Let’s go!
Database Name 과 Username 그리고 Password를 입력합니다.
Submit
아랫부분은 wp-config.php 파일을 아래 내용그대로 복사해서 서버에 입력하라는 이야기입니다.
Run the installation
저는 에디트플러스를 이용하여 위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고 다시 실행하였습니다.
보통 이 부분이 진행되는데 왜 이렇게 뜨냐하면… 권한 지정을 안해주어서 그렇습니다.
저도 이거 하면서 생각난 부분입니다.
꼭 워드프레스 복사 하고나서 chown apache.apache -R 워드프레스설치된폴더명 해주시고 또 chmod 이용해서 701 권한도 주어야합니다.
644 권한인데 그부분도 제 리눅스 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644검색하면 자세히 나온 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