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데이터베이스 백업 복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데이터베이스 백업 복원

    이번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한대를 시범적으로 운영해보기 위해서 신청하였습니다.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 복원 명령어는 보통 덤프이용하면 복원도 되었는데… 이상하게 안되더군요.

    그래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받은 서버에서는 mysql 명령어로 입력하였습니다.

    혹시라도 덤프 왜 복원 안되냐고 삽질 하고 계신다면 아래처럼 mysql 에 직접 명령어를 넣으면 바로 해결되실겁니다.

    mysql backup command

    mysqldump -uroot --p databaseName > backupFileName.sql

     

    mysql restore command

    mysql-uroot --p databaseName < backupFileName.sql

     

     

    첫 결제 등록을 하게되면 마이크로 서버 1cpu, 1RAM, 50GB HDD 한대를 1년동안 제공해줍니다.

    그 서버를 공인아이피 넣어 월 대략 5000원정도로 운영해보려고 합니다.

     

     

    서버 신청이라던지 접속이라던지 어려운 부분은 없었습니다.

    다만 헤깔렸던 부분은 ACG 설정에서 외부 나가는 포트를 막아야하는데 내부 UTP설정을 자꾸 해서 적용이 안되었던 기억을 제외하고는 나름 쉽게 설치를 하였습니다.

    제가 설명을 꼼꼼하게 잘 읽엇으면 이 부분도 다 잘 나와있어서 쉽게 했었을텐데 … 괜히 제 생각을 먼저 앞세우다보니 삽질좀 했습니다.

     

    웹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함이니 80포트와 443포트를 열어놓았습니다.

    이렇게 해놓으면 SSL적용이 되기때문에 외부 접속은 전혀 문제가 안됩니다.

    일단 지금은 DB를 4기가정도를 옮기고 있어서 시간이 조금 걸리고 있습니다.

    다 옮기고 나면 기존 서버의 워드프레스 파일 그대로 복사해서 옮길 예정입니다.

    SSL파일도 폴더 그대로 복사해서 옮기면 되는거라서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서버를 옮겨서 월 5천원씩 내면서 저에게 오는 이득은….

    1. 기존 서버의 다른 워드프레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기대

    2. 네이버 포칸터 서비스의 독립서버로 인한 안정적 기대

    3. 새로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

    대략 이정도입니다.

     

    아마존 AWS 도 예전에 신청하고 싶었는데 서버가 국외라보니 해외 워드프레스 운여이 아니라면 느릴꺼같아 그냥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본적이 있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도 처음에는 제가 운영하는 가상서버보다 설마 빠르겠지? 라는 생각으로 추진한거라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속도도 괜찮고 쓸만하다고 판단된다면 모든 서버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얹을생각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무실접는거죠 ㅎㅎㅎ

    현재 IDC 서버 2개 운영과 개인사무실에 20대정도의 물리 서버 그리고 가상서버 70개정도가 돌아가고 있습니다.

    거의 뭐 100개정도의 서버를 운영하다보니 한달에 유지비도 만만치 않게 나오고 있는데 … 대략 200만원 정도 더 나오는듯합니다.

    네이버에 월 500만원정도 지불하면 사무실이랑 IDC 청산해도 될꺼같네요. 이게 좋은 이유가 제 하드웨어 유지보수가 필요없다는 점입니다.

    그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은 100만원짜리 PC 수십대를 년단위로 유지보수를 해야하는데.. 이런부수적인 부분들을 대기업에서 다 알아서 해주니 엄청 편하죠.

    네이버에 다 맡겨놓고 저는 해외로 떠나면서 지낼려고요…

    기번기회에 아마존도 함께 테스트해서 1년동안 누가 더 좋은지 성능비교해보고

    결정해야겠네요!!

  • 개인서버 구축방법

    개인서버 구축방법

    [a]99999[/a]

    개인서버 구축방법에 대해서 기술합니다.

    여러가지 목적에 따라 개인서버는 다양하게 나뉠수가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웹서버를 구축하여 HTML을 운영할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모으기 위한 DB서버를 구축하여 MYSQL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파일(프로그램, 동영상, 각종 유틸리티)을 모아놓고 공유할 수 있는 FILE서버을 하여 친구들과 주위 동료들과 함께 사용할수도 있으며 회사에서 인트라넷 연결시켜 편하게 이동할 수 있죠. 파일서버를 보통 스토리지서버라고 부르기도 하며 파일 종류에 따라서 이미지서버, 동영상서버(스트리밍서버)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죠.

    최근에는 이 파일서버를 마치 구름위에 띄어놓고 사용한다하여 클라우드서버 라는 이름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CDN서버의 경우 미리 만들어진 라이브러리(dll, javascript, function) 함수를 띄어놓고 가져와서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었죠. jquery, ajax 등 여러 CND 서버가 있습니다.

    서버의 이름은 앞으로도 계속 많아지게되겠죠! 내가 만들면 그게 또 곧 서버가 될테니깐요. 그러면 이러한 서버는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요? 대형 큰 서버구축은 여러가지 장비가 들어가지만 개인서버 구축방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PC 1대만 있으면 누구나 개인서버를 만들수 있기때문이죠.

    이제 윈도우로 만들지 리눅스로 만들지 이 선택만하면됩니다.

    물론 OS를 설치하는 개념이라서 포맷을 해야하기때문에 부담스러울수 있습니다. 그럴때에는 vmware같은 가상윈도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리 설치해보는 실습을 해도 됩니다. 가급적이면 남는 pc에 통으로 설치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리눅스로 개인서버 만드는 큰 그림을 알려드리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각 설치와 세팅 그리고 단계별로 많다보니 이 문서에서는 전체적으로 어떻게 해서 웹서버가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웹서버 구축방법

    1. PC에 리눅스를 설치합니다. (이곳에서는 센트OS만 다룹니다.)
    2. CentOS 설치후 root세팅, 기본 언어 및 세팅을 해줍니다.
    3. WAS (apache서버, httpd)를 설치합니다
    4.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합니다
    5. PHP 를 설치합니다
    6. PHP와 HTML 연동 세팅을 합니다
    7. PHP와 MYSQL 연동 세팅을 합니다
    8. MYSQL 언어설정, 환경설정을 합니다. 이때 root암호도 넣어주세요
    9. 워드프레스 설치형 블로그를 설치합니다. (이때부터 cafe24 서비스와 동일)
    10. 기본테마를 받아서 워드프레스 사용하듯 하면됩니다

    각 단계마다 세팅할 부분이 많아 큰 그림을 우선저으로 보여드렸습니다.

    집에서 개인서버 운영할 분들은 이 블로그의 각 세부적인 부분들을 확인하셔서 개인서버 하나정도 장만해보시기 바랍니다. 초보자도 가능하지만 처음 접하는 부분이라 조금 어렵게 느껴질수있습니다. 그러나 한번 고생만하면 평생을 나만의 개인서버와 함께 할 수 있답니다^^ 제 개인서버 처럼요

     

    여러분들의 개인서버 오늘부터 지금 바로 만들어보세요!

    [a]9999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