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서버 만들기

    개인서버 만들기

    나만의 ✔️ 개인서버 만들기 성공❗️❗

    어제 제 개인서버 3대를 구축하였습니다.

    리눅스 20개 서버를 새로운 서버에 이동시켰고

    그 서버는 나만의 개인서버 만들기^^ 완성❗️❗~

    시스템을 총 3대 구축하였습니다.

    개인서버 1대는 리눅스 서버 20개로 구성되어져있고 데이터베이스 서버까지 원래 잘 돌아가는 서버였습니다. 새로운 2대는 포맷부터해서 동영상 콘텐트를 다룰 수 있도록 구축하였습니다.

    다 완성하고나서 돌려보니 아주 잘 돌아가네요

    IDC처럼 서버랙을 구입할 시기가 된듯합니다.

    현재 개인서버를 16대 만들어놓은 상태입니다.

    최근에 CPU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개인서버를 많이 만들다보니 어떻게 구성하면 저렴하게 만들수 있는지도 스스로 터득하게 되었네요. 혹시라도 개인서버 만들기 도전하는 분들이 계신다면 덧글이나 문자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도와드릴수 있다면 도와드릴께요.

    스마트폰에서 아래 문자보내기를 클릭하면 문자를 남길 수 있습니다

    문자보내기

     

  • NAS 개인서버 만들기

    NAS 개인서버 만들기

    NAS 개인서버 만들기 위해서는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일단 NAS를 구입해야겠죠!

    이미 구입한 나스가 있다면 NAS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버를 이용해도되며 리눅스가 지원한다면 나스자체에 FTP나 HTTP 아파치서버를 설치해서 서버로 만들수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몇가지 상품에서 NAS를 이용해서 개인서버를 만들수 있더군요

    파일서버가 아닌 실제로 돌아가는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입니다.

    개인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 적당한 용량크기는 따로 있지는 않지만 보통 파일도 업로드 다운로드 해야하니 기본적으로 2TB정도면 적당해보입니다.

    그리고 웹서비스를 운영할 목적이라면 무리해서라도 1TB SSD정도 나스를 이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래야지만 파일도 업로드하고 기본적으로 웹서버도 만들서 방문자도 어느정도 유지시킬수가 있죠.

    요즘에는 NAS 종류가 워낙 많아서 뭘 사야할지도 잘 모를겁니다.

    제가 NAS살때 알아야 하는것중에서 특히 개인서버를 운영할분들이라면 이 포인트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일단 리눅스 콘설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와 SSH 접속이 가능한지만 알아내더라도 큰도움이 될겁니다.

    그다음으로 외부에서 내 개인서버로 직접 접속되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즉 DDNS 기능이 지원해야합니다. 이 기능 지원안해서 공유기로 DDNS사용하는 분들 계시는데 진짜 불편합니다. 자체 DDNS기능이 지원하는지 꼭 ! 확인하고 구입하세요

    외부에서 접속되고 SSH접속되고 그리고 속도 빠르면 !땡!!

    나머지는 안정성과 발열 낮은제품을 구입하면됩니다.

     

    SSH접속을 통해서 리눅스의 대부분 기능을 이용할수있습니다.

    그럼 당연히 서버는 설치해서 사용하면되죠

    다나와에서 추천 눌러서 구입하지마시고요

    내가 사용할 용도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시작해야합니다

    개인서버 만들분들은 제가 알려드린 포인트를 잘 확인하셔서 구입하시면됩니다.

    개인서버는 무조건 SSD 입니다!

    잊지마세요!

    SSH접속되고 용량은 뭐 필요한크기대로 구입하시고 최소 512SSD 이상 사면 좋습니다!

    혹시 NAS 개인서버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있으시면 문자 남겨주세요.

    문자문의하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