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mware esxi 시간 NTP 동기화

    vmware esxi 시간 NTP 동기화

    vsphere ESXi 7 시간 설정 NTP 동기화 방법입니다.

    오늘 ESXi 서버 시간을 확인해보니 2020년으로 나오더군요.

     

    일단 콘솔로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콘솔작업을 하게되면 항상 SSH 공격이 들어와서 로그인에 문제가 생기더군요.

    그래서 웹 클라이언트에서 바로 설정을 바꿨습니다.

     

    ESXi 7 시간 설정 NTP 동기화 방법

    1. 관리 -> 시간 및 날짜 항목을 클릭 합니다.

    NPT 설정 편집이라고 보이실겁니다. (ESXi 7 기준)

     

    2. 시간 동기화를 위해 NPT 설정을 합니다.

     

    만약 NPT 서버가 중지 되어져 있다면 서비스 항목에서 실행해야합니다.

    초기 기본설정이 중지됨 상태이므로 대부분 이 항목을 수정해야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 시작을 합니다.

    따로 시작이 안되더라도 시간 설정을 해놓으면 시간은 동작합니다.

    ESXi 7 시간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해결 ] 사용자 이름이나 암호가 잘못되어 로그인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 해결 ] 사용자 이름이나 암호가 잘못되어 로그인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현재는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현재 사용중이니 ROOT 사용자를 접속 못하게 막아보세요.

    vSphere 설치하여 현재 ESXi 버전 7.0.3 으로 서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웹클라이언트로 로그인을 하고 사용을 잘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로그인이 안되고 아래처럼 메시지가 나오더군요.

    사용자 이름이나 암호가 잘못되어 로그인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처음에는 이 문자가 나오면서 관리자 접속이 안되어 매우 당황했습니다.

    이렇게 관리자 접속이 안될때에는 Brute force attack 기능이 작동하였기때문입니다.

    이 경우에 해당하면 로그인 실패를 특정횟수 반복하면 자동으로 300초 접속 제한이 생깁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풀리지만 해킹업체에서 가만히 나둘리가 없죠.

    일단 서버가 바로 옆에 있으면 그냥 재부팅 한번 해주시면되지만…

    원격지에서 재부팅을 할수 없는 상황이라면 미리 사설 IP로 관리자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합니다.

    근본적으로 해결 방안으로는 방화벽이지만…사설 IP를 이용해보세요.

    내부(사설)아이피를 이용하여 관리자를 접근하도록 제한을 걸어두시고

    또 보안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ACL을 이용해보세요.

    저는 사설 IP쪽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사설 아이피는 공유기 하나 연결시켜서 보조 PC로 접근해도 되고요.

    아니면 VPN을 설정해서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아이피를 어디에서든 사설 IP로 만들어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 aws 결제 카드 변경 결제안하면 2개월후 인스턴스 사라집니다

    aws 결제 카드 변경 결제안하면 2개월후 인스턴스 사라집니다

    AWS 결제 카드 변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아마존 AWS를 운영하면서 카드 한도로 인해 결제가 2개월동안 안되었습니다.

    일단 문구가 날라와서 이번달까지 결제가 안되면 모든 AWS 인스턴스가 강제로 사라진다는 강력한 팝업창이 뜨더군요.

    제가 이것을 못 볼 정도로 아마존 AWS는 유지보수가 잘 되어져있습니다. 접속을 잘 안하니 모르고 있었죠.

    ※ 아마존 AWS 카드결제 등록 후 2개월동안 카드가 정리 혹은 한도 초과로 결제 안되더라도 운영할수 있습니다.

    물론 이를 악용하면 안되지만 결국 돈은 내야합니다.

    암튼 오늘은 사업자 카드로 변경하여 다시 결제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AWS 결제 카드 변경 방법

    1. AWS Cost Explorer 항목을 접속합니다

    aws 결제 카드 변경

    이곳에 접속하면 이번달 요금 청구 금액과 카드 변경 등 여러가지 결제관련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결제방법 항목을 클릭하여 카드를 변경합니다.

    왼쪽 항목을 보면 [ 결제방법 ]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이 항목을 클릭하여 카드추가도 할 수 있으며 기본값으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카드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세팅을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 AWS 카드 결제 가능하려면 VISA와 MASTER카드 이면 됩니다.

    저는 두 카드를 모두 사용하고 있으며 회사 사업자로 등록하여 계산서 발급과 연동을 해놓았습니다.

    해외 결제는 보통 계산서 발급이 안되어서 비용처리가 안되는데 이렇게 직접 사업자 카드로 연결시켜놓고 비용처리하면 관련 항목이라면 처리가 되니 이 점도 확인하셔서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이번달 청구 금액은 대략 20만원 정도 나왔습니다.

    지난달에 불필요한 서버 몇개가 있어서 정리를 했더니 기존보다 조금 줄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서버를 조금 더 늘려야할것같아 월 50만원 정도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 사무실에 있던 가상화 PC를 모두 아마존 AWS로 옮길 계획입니다.

    그리고 사무실은 월세를 놓던지 매매를 하던지 생각중입니다.

    아마존 AWS 카드 결제 변경을 해보았는데요

    혹시라도 아마존 관련하여 궁금하신 분들은 저에게 톡톡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컴퓨터 갑자기 느려짐 KB5011487 업데이트 제거 후 빨라졌어요

    컴퓨터 갑자기 느려짐 KB5011487 업데이트 제거 후 빨라졌어요

    제가 사용하는 서버 컴퓨터가 갑자기 느려졌습니다.

    이전에도 동일한 현상으로 분명 윈도우 업데이트를 제거했는데… 이번에 또 조용히 설치되었더군요.

    신기하게도 당장 삭제하고 재설치가 되더라도 한동안은 빠르게 동작합니다.

    어느순간 지나면 또 느려지는걸보니 아마도 원격제어라던지 어떤 알수없는 통제가 있는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갑자기 느려짐

    1. 제어판 업데이트 설치 제거 항목에서 KB5011487을 확인합니다.

    2. 항목을 확인하였다면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 팝업을 클릭합니다.

    바로 ‘이 업데이트를 제거하시겠습니까?’ 라는 항목이 나오는데 “예(Y)” 버튼을 눌러주세요.

     

    업데이트 설치가 제거되는 동안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라는 항목이 나오며 대략 5분정도 기다리니 재부팅 버튼이 나오더군요.

    보통 이때 그냥 사용해도 빨랐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느림현상이 유지가 되어 재부팅을 하였습니다.

     

    다시 시작하기를 눌러 재부팅하면 업데이트가 진행되더군요.

    역시 이번에도 윈도우 KB5011487  보안업데이트 설치더군요.

    보통 제거되면 재설치가 안되어야 정상인데.. 어느순간부터 계속 재설치하더군요.

     

    제 경우에는 제거를 하였는데 바로 설치가 되어 삭제가 되지 않았지만 혹시라도 제거되신분들이 계실겁니다.

    저는 그래서 재부팅하지않고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재부팅되면 또 다시 자동으로 설치가되는데 또 삭제하고 재부팅안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버라서 재부팅을 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일단 버틸때까지 버텨보려고요.

    일단 지금은 빨라진 컴퓨터를 사용중입니다.

    참고하셔서 삭제하시고 그래도 안되시면 멀웨어를 체크하는 바이러스 디펜더를 제외시켜야 합니다.

  •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개인 NAS 서버 구축 Synology ds220j 나스 사용하세요

    Synology ds220j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ds220j 흰색

    개인 NAS 서버 구축하실분들은 알아야 할 몇가지 사항이 있는데 혹시 알고 계신가요?

    중요한 정보를 알려드릴테니 정독으로 천천히 읽어보시고 필요하신분들은 아래 쿠팡에서 구입하시면 되십니다.

    외장하드, 온라인 웹하드, 안전한 나만의 클라우드 하나정도 갖고 싶다면 오늘 이 글은 너무 중요한 글이 되실겁니다.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를 구입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개인 나스를 저렴한 금액에 구입했으면 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어제(2021년 10월 29일) 저희 교회 목사님께서 저에게 나스 하나를 구입하고 싶다며 어떤 브랜드, 어떤 모델, 몇테라의 하드를 구입해야할지 물으셨습니다.

    일단 저는 예산부터 질문을 드릴수 밖에 없었습니다.

    사진찍어놓은게 나스에서 찾아야하니 이것도 참 난감하네요 ㅎㅎ

    나중에 찍을때 20장~50장씩 찍어놓고 찾기 쉽게 해야할듯합니다.

    결국 지역별로 검색해서 사무실 지역에서 하나 겨우 건졌습니다.

    예전에 사무실은 또 다른 지역이라 집이랑 겹치더군요.

    제가 사용하는 나스는 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DS918+ 모델에 8TB * 4 (24TB)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구입하려면 대략 150만원 정도의 금액이 들어갑니다.

    개인 나스를 구입하기 위해서 이렇게 큰 비용을 지출하기엔 대부분 무리가 있으실겁니다.

    보통 직장인, 학생 등 일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모델을 굳이 구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금액이 높든 낮든 상관없이 모든 유틸리티를 사용할수 있기때문에 낮은 금액대의 나스를 구입하시더라도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얼마까지 구입할수 있는지 예산을 먼저 알아야합니다.

    그 예산에 맞춰서 이미 나스 모델과 하드 용량이 정해져있기때문입니다.

    저희 목사님의 경우에는 50만원정도의 예산을 제안해드렸습니다.

    (3일걸려서 도착했습니다) Synology ds220j

    50만원 다음으로는 대략 70만원 이렇게 갑자기 20만원씩 확 올라가게됩니다.

    모델은 같지만 하드용량이 4TB에서 8TB로 늘어나기때문이죠.

    시놀로지 나스 서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

    시놀로지 나스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은 DS120j 모델을 구입하면됩니다.

    [a]나스ds120j[/a]

    시놀로지 나스 DS 모델 서버 만드실분 클릭해서 쿠팡에서 구입하세요

    하드는 지금 갖고 계신 하드 아무꺼나 1TB이상 꽂으시면 온라인 1TB 나만의 개인나스 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새로운 하드를 구입해서 나도 2TB, 4TB 혹은 8TB 운영해보고 싶다면 10만원~20만원 정도 더 추가된다고 보면됩니다.

    대부분 집에 사용중인 외장하드 3.5인치 하나 정도 있으시죠? 그거 꽂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스 ds220j
    나스 4TB 하드

    생각해보니… 저도 집에 8TB 한개가 놀고 있는데… 이 모델 하나 더 구입해서 개인서버 하나 더 만들고 싶어지네요.

    최근에 이메일 서버를 하나 더 만들고 싶었는데… 14만5천원이면… 지르고 싶어지네요.

    ※ 8TB, 10TB, 12TB, 14TB, 16TB 대용량은 아마존에서 구입해야합니다.

    개인 NAS 서버 구축 할때 꼭 알고 있어야 할 몇가지 사항

    1. 어떤 모델명의 나스를 구입해야하는가? DS118, DS220j, DS220+, DS918+, DS920+ 등등

    2. 내가 사용하는 용도는 어느 용도인가? 자료 동기화, 자료 백업, 사진 클라우드, 이메일 서버운영,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운영 등등

    3. 나스 예산은 얼마인가? 30만원,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등등

    이 글은 시놀로지 나스 구축을 하시는 분들이 대상입니다.

    다른 나스 모델을 구입하셔도 되지만 제가 특별히 시놀로지만을 강조하는 이유는 몇가지 있습니다.

    UI가 화려한 다양한 유틸리티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솔찍히 저도 다 사용못할정도입니다.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이 모든 서비스를 다 이용하기란 어렵죠.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사용하면됩니다.

    모델명에 따라서 유틸리티 서비스 제한이 없습니다. 이게 시놀로지 나스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럼 모두 가장 저렴한 모델을 구입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하드를 넣을 수 있는 BAY 갯수라던지 CPU성능이라던지 RAM용량 등등이 시놀로지 나스의 가격을 대부분 차지합니다.

    1베이 2베이 짜리에 아무리 용량이 큰 16TB를 꽂는들 제가 사용하는 24TB를 넘을수 없기때문이죠.

    저도 4베이짜리 모델이기에 16TB를 4개 꽂아서 업그레이드 해버리면 순식간에 64TB 용량의 서버를 만들수 있습니다.

    지금 24테라 용량도 거의 다 사용해 가는데… (대략 3년정도 걸린듯합니다)

    대부분 유튜브 영상촬영으로 인해서 동영상이 차지합니다.

    유튜버라던지 영상을 다루시는분들이라면 나스 용량이 클수록 유리하실테니 4베이에 16테라꽂기보다는 8베이에 16테라 꽂으시는게

    훨씬 더 유리하게되는겁니다.

    개인용 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DS120j (1BAY) RAM 512MB - 145,000원
    DS220j (2BAY) RAM 512MB - 246,000원

    기업용으로 사용하는 모델 가격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금액은 올라갑니다) 2021년 10월 30일 현재 가격

    Synology ds220j
    DS220+ (2BAY) RAM 2GB - 436,000원
    DS720+  (2BAY) RAM 2GB - 582,000원
    DS920+ (4BAY) RAM 4GB - 692,000원
    DS1520+ (5BAY) RAM 8GB - 974,000원
    DS1621+ (6BAY) RAM 4GB - 1,310,000원
    DS1821+ (8BAY) RAM 4GB - 1,455,000원

    가격대별 나스 모델

    15만원대 (DS120j 모델 + 집에서 사용하는 HDD)

    [a]나스ds120j[/a]

    개인나스를 구축하실때에는 DS120j 모델에 원하시는 수준의 하드용량을 구입하시면됩니다.

    하드는 집에 사용중인 1TB 라던지 남아돌고 있는 하드를 구입하시면됩니다.

    메모리가 512MB라서 실제 사진 변환이라던지 인덱싱할때 시간이 더 많이 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저렴한 금액대로 나스를 하나 만들수 있고 외부에서 언제든지 자료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괜찮은 모델이죠.

    30만원대 (DS120j 모델 + 2TB, 4TB)

    [a]나스ds120j[/a]

    30만원대라고해서 나스 모델이 바뀌진 않습니다.

    DS220j 모델 + 1TB *2개 장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용량이 훨씬 많이 줄어들게되죠.

    15만원대와 비슷하게 안정성보다는 용량위주의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아도 될 자료들 위주로 관리하실때 좋은 전략입니다.

    2베이로 올리는 순간 25만원정도의 나스 비용이 발생하므로 구입 가능한 하드용량이 줄어들게되죠.

    30만원대에는 그냥 ds120j 모델과 2TB 또는 4TB 하나 꽂아서 사용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5만원~30만원대 나스를 구입하신분들은 갑작스럽게 하드가 깨지거나 에러나는 경우를 대비할수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저렴한 금액으로 뭔가 사진 클라우드라던지 개인 서버를 집에서 운영해볼수 있다는 경험정도로 사용해 볼만 합니다.

    이메일 서버가 필요한데 자료는 오랫동안 보관할 필요가 없다~ 이럴때에도 20만원대로 구성하면 좋죠.

    DS112j + 2TB 이정도면 멋진 이메일 서버가 됩니다.

    50만원대 (DS220j 모델 + 4TB *2)

    [a]나스ds220j[/a]

    이때에는 모델이 2베이 상품을 구입 할 수 있습니다.

    30만원대 상품과 용량적인 부분에서는 큰 차이는 없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때부터는 레이드(RAID)구성으로 가야하기때문에 하드 1개를 백업용으로 사용해야합니다.

    30만원대와 큰 차이라면 하드 한개가 도중에 날라가더라도 남은 1개가 버티면서 자료를 안전하게 계속 유지해나갈수 있습니다.

    언제 하드가 날라갈지 모르는 불안감을 갖고는 있지만 사실 하드가 그리 쉽게 날라가진않습니다.

    저도 지금 3년 넘도록 5개의 8TB가 단 한개도 날라가지 않았습니다.

    70만원대 (DS220+ 모델 + 4TB*2)

    [a]나스ds220+[/a]

    50만원대 나스환경과 70만원대도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용량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으며 50만원대에 하드를 2배로 늘려서 70만원대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지금처럼 모델을 한단계 올려서 성능이 조금 더 높다보니 모든 면에서 빨라집니다.

    이 모델은 메모리가 일단 2GB 이며 모든 성능이 50만원대보다 한단계가 높습니다.

    소규모 기업용으로 저렴하게 사용하기에도 좋은 모델입니다.

    DS220j 모델보다 사진 클라우드의 변환속도가 빨라지고 문서 정렬등등 색인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는 수준입니다.

    저는 70만원 금액대에 나스를 운영하신다면 50만원대 나스모델에 하드만 2배로 늘려서 8TB 사용하시는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150만원대 (DS920+ 모델 + 14TB*4 아마존해외직구)

    [a]시놀로지나스[/a]

    이 모델은 제가 사용하는 모델과 매우 비슷합니다.

    제가 2018년도에 구입했기때문에 ds918+모델을 사용하는것이고요. 이 모델은 918+ 후속 모델이며 여러모로 성능이 좋아진 모델입니다.

    보통 소규모 기업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이 다음모델부터는 금액이 백단위로 올라가기때문에 4베이로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싶은 분들이 사용하는듯합니다.

    저도 처음에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2베이로 할지 4베이로 할지 4베이 중에서도 조금 낮은 모델을 사용할지 등등….

    제가 918+모델을 구입한 이후로 지금까지 매우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었고 성능이 느리다거나 사용중에 에러가 난다는 등

    잘 못느꼈기때문에 앞으로 개인 1인 사업자 대표님들이 기업용으로 쓸만한 모델을 권해달라고 한다면 전 이 모델을 세팅해드릴듯합니다.

    그리고 저처럼 8TB를 4개 꽂아 사용하시면 1개는 백업용으로 사용되고 3개 즉 24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가성비가 12TB에 있다보니 12TB 4개를 구입하시면 150만원대에 만드실수 있습니다.

    DS뒤의 숫자는 보통 베이스와 년도라고 보시면됩니다.

    9라고해서 9개는 아니고요.

    9는 4베이 제품을 뜻합니다.

    20은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 뜻입니다.

    1520+ 5베이 제품이고 20년도에 출시되었다는것이죠.

    1621+  6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1821+ 8베이 제품이고 21년도에 출시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최신 출시 제품들이 CPU성능이라던지 메모리 성능이 그당시 모델로 출시되어 더 유리한부분은 있습니다.

    이 글이 만약 시간이 지나더라도 DS918+와 DS920+ 를 구입하고 싶다면

    지금 년도를 확인하셔서 9시리즈를 구입하시면 딱 좋으실듯합니다.

    2023년도에 신모델이 나왔다면 DS923+ 모델이겠죠!

    이상 가격대별로 어떤 나스모델과 하드용량을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알려드렸습니다.

    Synology ds220j 시놀로지 나스 서버 결론

    개인사용자

    싼맛에 이런 신세계가 있구나 그리고 중요한 자료가 아닌 언제든지 날려도 되지만 잠시 자료를 모아야 한다면 DS120j 모델을 사용

    나는 안정적이고 백업 위주로 하실려면 DS220j 이상 모델을 구입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30~50만원정도면 개인 나스 서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50만원정도 나스 비용 생각하시고 구입하시면 개인에게는 딱 좋습니다.

    기업사용자

    (작은기업입니다. 저처럼 1인기업이나 5인이하 소규모입니다)

    그냥 DS920+ 처럼 9시리즈로 가시기 바랍니다.

    하드는 가성비 따지고 해외직구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14TB이니깐 아마존에서 구입하셔서 설치하면됩니다.

    150만원~200만원 정도 생각하시고 나스 구축하시면됩니다.


    아래 사진은 올해 8월 한참 더울때 사진이 저장되어져있는건데….

    제 918+ 나스에 올라온 사진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뭐가 이상한지 한번 맞춰보세요~

    재미있고 소중한 나의 사진들 추억들, 에피소드를 잘 지켜야합니다.

    이제 랜섬웨어라던지 하드깨짐현상에 의해서 날리는 불상사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3년전에 하드 깨져서 여행 사진, 동영상 싹 날리면서 뒤늦게 깨달은게 많습니다.

    무조건 소중한 내 자산은 내가 지켜야한다!

    감사합니다.

  • crontab every 5 minutes day of week sun mon tue wed thu fri sat 시간 요일 설정

    crontab every 5 minutes day of week sun mon tue wed thu fri sat 시간 요일 설정

    crontab -e

     

    00 03 * * * /root/autoDeleteLogs.sh
    */30 * * * * rdate -s time.bora.net
    00 00 * * *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1 * * * * python3 /root/_PYTHON3/memcheck_httpd_restart.py

     

    cron job example

    linux crontab settings
    The 1st item - > Minute 0 ~ 59
    The 2nd item  -> Hour 0 ~ 23
    The 3rd item -> Day of month 1 ~ 31
    The 4th item -> Month 1 ~ 12 o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The 5th item  -> Day of week 0 ~ 6 or sun, mon, tue, wed, thu, fri, sat

     

    Scheduler can be created through the Crontab-e command.

    crontab 시간 5분마다 설정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세팅하면 됩니다.

    */5 * * * * rdate -s time.bora.net

     

    분을 5분마다 나누면 5분마다 반복하게됩니다.

    위의 명령어는 5분마다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는 명령어입니다.

     

    이제 1분마다 반복하려면 */1 하면 되겠죠?

    만약 정각 5시에 5분마다 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5 05 * * * 명령어

    위처럼 세팅하면됩니다.

     

  • 프로세서 코어 쓰레드 2개 3개 세팅

    프로세서 코어 쓰레드 2개 3개 세팅

    가상머신 세팅을 위해 Processors 갯수를 정해야할때가 있습니다.

    이때 아래처럼 Number of processors 갯수는 2개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 갯수는 3개로 지정하면됩니다.

    그럼 토탈 프로세서 코어 숫자가 6개로 만들어집니다.

    8코어 16쓰레드일때 코어 2개와 쓰레드 3개는 1/4수준이며 30%보다는 조금 안되는 수치입니다.

    이 수치를 유지하게되면 30% 정도의 자원으로 가상머신을 운영할수 있게됩니다.

    가상머신을 운영하고 계시는분들께서 게스트 코어당 몇개를 넣어야 할지 모르신다면 30%정도 수준으로 잡아주면 적당합니다.

    이정도 코어를 잡게되면 인텔 i7 8코어 기준으로 3개의 게스트를 원할하게 동작시킬수 있습니다.

    외부 원격제어라던지 각 사용자별로 할당을 해줄때 매우 좋은 수치입니다.

     

    저도 자녀들에게 이렇게 30%씩 코어를 할당시켜서 원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외부에서는 노트북 1대와 듀얼모니터 1대만 갖추면 언제 어디서나 나만의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어를 할수 있게됩니다.

    물론 자원이 30%정도 사용되고 있으니 pc사용하는 동안 느림현상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인터넷 속도만 5G로 받춰준다면 카페에 있더라도 집에 있더라도 외부에 있더라도 심지어 KTX를 타고 움질일때라도 식당에서 밥을먹을때에도

    마치 메인pc를 옆에 두고 사용하는 느낌을 받게되실겁니다.

     

     

  • aws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초보도 따라해보세요

    aws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초보도 따라해보세요

    aws 워드프레스 설치

    우선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깔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설명부터 해드리겠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 하기 위해서는 우선 호스팅 서버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집이 필요하듯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그곳의 이름을 호스팅서버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수 많은 호스팅 업체가 있는데… 서버를 모아 관리하는곳을 보통 IDC라고 말합니다.

    요즘에는 클라우드 업체에서 서버를 VM모드로 조립할수 있어 원하는 서버를 만들수가 있죠.

    워드프레스를 아마존 AWS(Amazon Web Server)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로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서버가 필요합니다.

    AWS는 EC2 인스턴스를 구입하여 설치를 하면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미 구입한 AWS 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어디에서 다운받아야 하며 초기에 어떠한 세팅들을 해야하는지를 안내해드릴겁니다.

    AWS를 이미 운영하고 계신다면 초보라도 보고 따라 할 수 있으실겁니다.

    aws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1.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AWS에서는 아래 명령어로 최신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wget https://wordpress.org/latest.zip

    2. 워드프레스 악축해제 명령어로 설치 파일을 폴더에 저장합니다.

    AWS에 바로 받으신 분들은 압축부터 풀어야합니다.

    zip 파일로 되어져있을테니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압축이 풀립니다.

    unzip lastest.zip

    압축을 풀었다면 웹서버 가상호스트에 등록하면 됩니다.

    이 부분은 EC2 웹서버 설치 관련 글을 참고하셔서 vHost를 생성하면됩니다.

    각자 자신들의 폴더와 서버이름을 입력해서 작성하면됩니다.

    처음 압축을 풀면 소유자가 root로 나옵니다.

    chown apache.apache wordpress/ -R

    이라고 명령어를 치면 워드프레스 이하 모든 파일,포더에 대해서 아파치 소유자로 변경됩니다.

    3.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웹서버에 phpmyadmin이 설치되어져있다면 아래처럼 사용자계정을 생성해주면서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동명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모든 권한을 부여. 라는 부분에 체크하면 됩니다.

    이때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명과 유저명 그리고 암호를 잘 기억해야합니다.

    다음 항목에 나올 워드프레스 설치에 입력해야하기때문이죠.

    4. 워드프레스 설치를 합니다.

    vHost까지 이미 생성된 분들은 도메인명을 입력하면 바로 설치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저는 한국어를 클릭해서 설치했습니다.

    큰 차이는 없으나 관리자 모드에서 한글로 나오는 정도입니다.

    계속 버튼을 클릭하고 제가 위에서 이미 말씀드렸던 부분에 대한 설명이 나올겁니다.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는 내용이죠. 그냥 시작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다음으로 넘어가는데 그때 입력하면됩니다.

    아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전에 만들때 입력했던 정보 그대로 입력합니다.

    정상적으로 똑같이 입력했다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만약 이때 오류가 발생한다면 분명 뭔가 놓치신겁니다.

    암호가 틀렸거나 데이터베이스명 철자가 틀렸거나 로컬이 아닌 %로 입력했다거나 그럴겁니다.

    설치 실행을 클릭하면 대부분 10초안에 끝납니다.

    만약 이때 시간이 오래 지연된다면 데이터베이스 연결이 잘 안된다고 보시면되십니다.

    잘 설치되셨다면 위의 성공 멘트와 함께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관리자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5. 테마와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저는 기존 설치된 테마와 플러그인을 모두 삭제하였습니다.

    테마는 구글 검색과 네이버 검색이 잘 되어야하므로 SEO가 어느정도 검증된 테마를 골라야합니다.

    플러그인은 SEO 플러그인과 꼭 필요한 몇가지 플러그인들이 있는데 그러한 플러그인을 설치하면됩니다.

    마음에 든다고 하여 무조건 설치해서는 안됩니다.

    꼭 검증된 플러그인과 검증된 테마를 설치해야합니다.

    이제 회사 소개와 검색 유입을 위한 키워드로 글을 작성하면됩니다.

    네이버 검색과 구글 검색은 웹마스터도구와 애널리틱스를 이용하면 노출이 서서히 되기 시작합니다.

    웹사이트 1등 잡는 노하우가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워드프레스 태그 항목을 로얄키워드를 이용하여 등록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홈페이지 이전 워드프레스 서버 바꿀때 주의할점

    홈페이지 이전 워드프레스 서버 바꿀때 주의할점

    이번에 의뢰하신 대표님께서는 기존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계십니다.

    닷* 업체에서 사용중이신데… 뭐 이유는 여러가지시고.. 도중에 홈페이지가 다운되는 뭐 그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습니다.

    결국 저에게 의뢰하셔서 AWS로 워드프레스를 이전하게되었습니다.

     

    이번에 소스 전체를 확인해보니 대략 1.2기가 정도였고 데이터베이스 사용량은 200메가 정도 이었습니다.

    AWS (아마존 웹서버)로 이전하면서 파일 하나하나를 검토하게되었는데요..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favicon.php 파일이 존재하였고 (동적으로 이미지를 바꾸는건가 싶었죠…) 용량이 이상하게 너무 컸습니다.

    대략 5메가 정도 되는 용량이엇는데… 프로그래밍 파일 크기가 그정도 용량이 되면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특히 웹서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밍 사이즈가 기껏해봐야 10k~50k 수준인데 5000k라면 거의 100~500배정도 큰 사이즈라는거죠.

     

    결국 제가 내부를 확인하게되었고 로그를 기록하는 단순 text 파일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파일은 강제로 wp-load.php 파일이 로딩될때 자동으로 생성(추가) 되도록 되어져있더군요.

    $today = date( "Y.m.d H:i:s",time()); 
    $content = "time= ". $today. "\t\tIP= ". $_SERVER['REMOTE_ADDR']. "\t\tagent= ". $_SERVER['HTTP_USER_AGENT'];
    $content .= "\r\n\r\n";
    
    $filepath = "./favicon.php";
    $file=fopen($filepath, "a");
    fwrite($file, $content);
    fclose($file);

     

    개발자들은 위의 소스코드를 보면 뭘하는지 아실수있을겁니다.

    바로 시간과 아이피와 접속한 유저의 브라우저 정보를 차곡차곡 저장하는 소스코드입니다.

     

    문제는 이 로그를 누가? 왜? 만들었을까 문제입니다.

    당연히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을 의뢰하신 대표님께서는 모르고 계셨고 닷* 호스팅 담장자에게 관련하여 아는정보 있냐고 여쭈어보았지만

    금시초문이라는 내용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만들었습니다. 없는게 갑자기 뿅하고 생기지는 않습니다.

     

    테마 혹은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통하여 추가되었을수도 있고요.

    지금도 계속 생성되고 있으시고 외부에서 그 페이지를 인위적으로 접근하게되면 서버는 부하걸리게됩니다.

    뺑글뱅글 돌아가는거 보이시죠?

    외부에서 누가 내 홈페이지에 어떤 아이피가 접근하고있는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것이죠.

    어쩌면 해킹으로 연결될수있는 중요한 문제이기도합니다.

     

    자! 이부분을 제가 수정해드렸습니다.

    쓸데없이 이상한 기능을 누가 추가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삭제했습니다.

    그리고 무사히 닷* 호스팅 업체에서 AWS로 홈페이지 이전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제가 해드린 작업은 이렇습니다.

     

    홈페이지 이전 방법

    1.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소스를 기존 호스팅업체의 서버에서 AWS로 옮기기

    2.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DB 백업 및 AWS로 옮기기

    3. 도메인 연결된 IP 주소를 AWS로 변경하기 (가비* 사용하고 계시더군요)

    4. SSL 보안서버 1년 추가 (기존 닷* 호스팅 업체에서는 보안파일을 따로 제공하지 않더군요)

    5. 워드프레스 전체 업데이트 및 모든 기능 정상 동작여부 확인

    완료!

     

    서버 옮기실때 꼭 홈페이지 소스에 바이러스가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이전하기 전에 꼭 모두 제거하시고 문제가 없을때 옮기셔야합니다.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 필요하신 분들은 언제든지 저에게 네이버 톡톡 또는 문자로 연락주세요.

    스마트폰에서 문자보내기 부분을 클릭하면 문자를 보내실 수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들의 홈페이지를 안전하게 AWS로 이전시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시놀로지 포토 얼굴인식 이름으로 사진 찾기

    시놀로지 포토 얼굴인식 이름으로 사진 찾기

    시놀로지 포토 기능중에 얼굴인식 하여 이름으로 사진 찾기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서 정말 재미있는 나만의 개인 서버 시스템을 만들수 있습니다.

    바로 가족들 사진들을 몽땅 모아놓고 각 이름별로 찍은 모든 사진들을 구분 할 수 있다는것입니다.

     

    위의 인물 사진들은 제가 그동안 촬영해온 스마트폰 속에 들어 있는 인물입니다.

    저를 포함한 저희 가족과 그리고 친구, 지인들 모두~ 이곳에서 검색 할 수 있습니다.

    장소 검색과 사물 검색도 되지만 오늘 알려드릴 부분은 인물 검색에 대한 부분입니다.

     

    Synology Phots 기능으로는 사진, 앨범, 공유, 검색 이렇게 나눌수 있습니다.

    검색 방법으로는 사람 이름 검색, 장소 이름 검색, 태그 검색, 그리고 사물 등 관련 이름을 검색하면 검색이 됩니다.

     

    사람 인물 검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물검색으로 분류된 사진들에 한명한명 이름을 부여해야합니다.

    아래 보시는것처럼 인물 사진중에 제가 여러사진으로 분류되어 나옵니다.

    아래는 8개로 분류되었지만 실제로는 10개 이상 분류되어져있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모자를 쓰고 있거나, 나이가 들어 점점 얼굴형태가 바뀌었거나, 사진이 각도가 돌아갔거나, 웃거나, 마스크를 착용했거나, 안경을 착용하고 안하고 차이일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여러가지 상황을 Ai 인공지능이 해결하기에는 아직 벅찬듯합니다.

    이를 위해 [ 누구입니까? ] 라는 항목을 만들어 강제로 [ 문호영 ] 이라고 넣어주면됩니다.

     

    그리고 2번이상 겹치는 이름(동명인)에 대해서 병합할것인지도 물어보게됩니다.

    만약 여러개로 이름이 나뉘어져있다면 모두 마우스를 각각 클릭하셔서 병합하면됩니다.

     

    이렇게 병합을 하고나면 [ 문호영 ] 이라고 검색할 경우 제 사진만 분류되어 나오게됩니다.

    정말 편합니다.

    물론 저 혼자만 나온 사진이 아닌 제가 포함된 모든 사진들이 나오는것입니다.

    자! 어떠한가요? 인물검색 시놀로지 나스 포토 기능 하나로 이러한 것들을 누릴수 있습니다.

     

    이게 왜 편하냐하면…. 지금 당장은 내 사진과 가족사진에 대한 구분이 필요없으실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추억과 자신만의 사진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는 날이 오게됩니다.

    그날이 저는 이미 지금입니다.

    제 사진을 사용하여 마케팅도 해야하고 브랜드 사진에 활용도 해야하다보니 그동안 찍어온 사진을 찾아야합니다.

     

    암튼 필요한 날들이 다가오게될겁니다.

    여러분들의 자녀가 성장했을때 그 성장 일기를 년도별로 포토 앨범 책으로 만든다거나 영상을 만들고 싶을때

    당장 이런 기능이 얼마나 좋은지 알게됩니다.

     

    단순 추억용도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인물검색뿐만 아닌 사물검색, 장소검색, 태그검색을 할 수 있다보니 사진을 잘 정리하여 마케팅 용도로 사용하실수도 있습니다.

    가령 내가 운영하는 업체가 100개 업체가 되는데, 각 업체별로 사진들을 취합하고 싶고 정리하고 싶을때!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실껀가요?

    각 지점 업체대표님들에게 사진 모두 찍어서 각각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하고 취합하실건가요?

    아니면 저처럼 그냥 시놀로지 포토 앱 설치해놓고 마구마구 ~ 찍어만 주세요 하고 자동으로 필터링 되도록 관리하실건가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앞선 대표님들께서 선택사항인것으로 보입니다.

    시놀로지 나스는 기업용으로는 아래 제품 918+, 920+ 이러한 모델을 구입하시면됩니다.

    920모델이 아무래도 신형이니 몇마원 더 비싸더라도 920모델구입하시는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18년도에 구입을 했기에 918+모델을 사용중입니다. 만약 지금 구입한다면 저도 920+모델을 구입합니다.

     

    [a]시놀로지나스[/a]

     

    이 글이 마케팅 뿐만 아니라 가족 사진 저장 관리에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인터넷 연결 안됨 지구본 모양이 나올때

    인터넷 연결 안됨 지구본 모양이 나올때

    우와… 인터넷 연결 안됨 진짜 짜증나는줄 알았습니다.

    지구본 모양 계속 나왔다가 사라졌다가…

    안되는것도 아니고 되다가 안되다가.. 반복하니깐 사람 속을 뒤집더군요 ㅎㅎ

    오늘 제가 해서 고친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다들 아실수도 있지만 의외로 이 3가지방법으로 대부분 해결됩니다

    [coupang]

    보통 제가 참을성이 많다고 느꼈지만…

    될때도 있고 안될때도 있고….

    특히… 제가 무슨 작업을 잘 하고 있는데..

    특정 어느순간에만 계속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겁니다.

    정말 사람의 한계를 시험하는줄 알았습니다.

    보통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여러가지 생각을합니다.

    갑자기 인터넷 안될 때 점검해야하는 부분

    1. 모뎀과 공유기가 연결되어져 있다면 제일 먼저 동시에 모두 끄고 켜보세요.

    대부분 이 경우에 해결됩니다.

    2. 네트워크 이더넷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해서 해결하는경우도 있습니다.

    랜카드를 새로 교체하는 경우도 있지만.. 우선 랜카드 드라이버부터 새로 제거하고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랜카드는 보통 5천원~1만원정도면 구입이 가능하므로 제가 알려드린 3가지 방법을 모두 해보시고 안되시면 구입하면됩니다.

    이번 기회에 무선랜카드 구입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a]lancard[/a]

    3. 백신을 설치하여 바이러스를 잡습니다.

    저는 이 경우였습니다.

    제가 이미 공유기 모뎀 몇번씩 끄고 켰으며, 네트워크 드라이버도 삭제해보고 또 새로운 랜카드까지 꽂았기때문입니다.

    최종적으로 McAfee  정품 구입해놓은게 있어서 이를 설치했더니 신기하게도 인터넷이 안끊기고 잘 됩니다.

    1년에 2만원정도 하는 제품인데 시스템에 너무 무리가 가는것 같아 제거하고 지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도저히 안되는것같아 다시 설치를 했는데 신기하게 네트워크 연결 끊김 뿐만 아니라 제가 c#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동작하네요.

    국산 백신을 사용하고 싶지만…

    이미 무료백신과 유료백신을 다 써본 입장으로…McAfee 만한게 없네요.

    혹시 McAfee 정품이 필요하신분들 계신가요?

    제가 사용하는 정품은 1 유저인줄 알았는데… 몇개를 사용하더라도 잘 동작하더라고요..

    일련번호는 정식 사이트에서 구입한거라서 정품이며 10유저와 1유저 무제한을 사용중입니다.

  • m.2 인식 불가 SSD 안나와요

    m.2 인식 불가 SSD 안나와요

    m.2 인식 불가 상태로 지금 SSD를 사용하지 못하고 계신가요?

    제가 지금 그렇습니다.

    해결 방법으로 변환 어댑터를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도록 아랫쪽에 알리주소 넣어놓았습니다.

    제가 구입한 모델은 m.2 SATA 방식의 250기가 모델입니다.

    그리고 제가 구입한 메인보드는 안타깝게도 NVMe PCIe Gen3 X4 라고 적혀있더군요.

    두개의 메인보드 모두 그렇습니다.

    아마도 NVMe 전용 보드같습니다. 눈물이 나오려합니다.

    기능이 더 좋은 메인보드가 이렇게 아쉬움이 남을줄은 꿈에도 생각못했습니다.

    보통 하위버전을 지원해주는걸로 알고 있는데… CMOS에 들어가보니 NVME SSD가 없다고 나오더군요.

    그래서 우선 m2 SATA 변한 컨버터 구입을 해볼까해서 구글에 검색을 해보았죠.

    아래에 보시는것처럼 배송비 포함해서 최소 1만5천원을 지불해야지만 구입 가능하더군요.

     

    그래서 다시 또 알리를 찾았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에 m2 sata를 마치 sata 3 케이블처럼 연결할수 있는 장비가 있더군요.

    SSD 슬롯에 장착해서 과거 2.5인치 크기의 SSD처럼 사용가능합니다.

    그외에도 PCI-e 카드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부품도 보이더군요.

    추가 연결하는 선이 필요없어서 좋을것 처럼 보이지만… 금액대가 6달러정도가 나와서 큰 관계없으신분들은 구입해서 사용하셔도 되지만…

    저는 일부로 SSD도 가성비를 따지기 위해서 구입한 모델이라 이러한 부분을 생각했었다면 처음부터 NVMe 모델을 구입했을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찾게된 모델이 바로 아래 모델입니다.

    아래의 두 모델인데.. 배송비를 포함하더라도 2천원 조금 넘는 금액입니다.

    우선 전에 SSD 250기가 모델을 3개 구입했기에 3개를 구입하였습니다.

     

    (※ 이 포스팅은 알리 제휴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는 이중에서 중간 검정색 SSD 장착용으로구입하였습니다.

    6천원에 3개 구입했으니 개당 2천원에 소포비 포함해서 구입했습니다.

    이제 SSD처럼 사용가능해졌네요.

    필요하신분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알리에서 구입해보세요.

    보통 배송은 7일~15일정도 걸리는데…

    제가 받아본경우로는 잘 보내주는사람들은 7-9일사이에도 꽤 많이 왔습니다.

    알리 주문만 100건정도 되어가는데요… 그중 절반이상이 10일안에 도착했습니다.